CAFE

지식 게시판

[스크랩] 4차 산업혁명... 두렵지 않으세요?

작성자예파 성백문|작성시간20.05.03|조회수84 목록 댓글 0
 

Related image

 

스페셜 리포트. 4차 산업혁명, 한마디로 요약하면 '디지털-피지컬 통합'. 스페셜 리포트는 풍부한 취재 노하우와 기사 작성 능력을 겸비한 뉴스룸 전문 작가 필진이 새롭게 선보이는 기획 콘텐츠입니다. 최신 업계 동향과 IT 트렌드 분석, 각계 전문가 인터뷰 등 다채로운 읽을거리로 주 1회 삼성전자 뉴스룸 독자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초읽기 들어간 제4차 산업혁명. 순서 1차 2차 3차 4차. 연도 1784 1870 1969 ?. 특징 증기, 물, 기계적 생산설비/ 분업, 전기, 대량생산/ 전자, IT, 생산 자동화/ 디지털-피지컬 시스템 통합

 

디지털-피지컬 통합

 

4차산업혁명시대도 인류가 기술의 주인이 될 것이다

4차 산업혁명  

불교신문에서 읽은 내용이다.

"3D 안경 없이 볼 수 있는 홀로그램을 통해 펼쳐지는 ‘시공간의 이동’으로 더 이상 절에 갈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다. 대량의 빅데이터가 들어간 분석 시스템을 통해서 직접 만나기 힘들었던

스님과 면대면(面對面)으로 상담도 하고 대화도 나눈다. 손톱보다 작은 칩 하나엔 8만 1,258개에

달하는 대장경판 뿐 아니라 세계 곳곳에 흩어진 경전 자료가 들어 있어 그 어느 불교학자, 

심리학자보다 전문적이고 깊이 있는 정보 취득과 학습이 가능하다. 캐릭터 로봇 스님 얘기다.

아마 로봇 목사님도 등장할 것 같다. 로봇에게 말한다. 우리 교회 아무개 목사님의 설교 

스타일을 아시지요? 로봇이 답한다. 그 목사님의 목소리와 설교 스타일 뿐 아니라 모자라고 

부족한 면 까지 내가 잘 알고 있지요. 그러면 그 목사님의 설교를 좀 보완해서 한편의 은혜로운(?)

설교를 들려 주시지요. 

그러세요. 헤드폰을 머리에 끼시지요. 로봇 목사님은 정말 은혜로운 설교를 들려 주었다.

종교는 물론 수술이며 운전 그리고 정밀을 요하는 산업현장에서 로봇이 사람보다 훨씬 더 

섬세하고 정밀한 작업 그리고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작업 환경조건이나 임금인상과 같은 

근로조건이니 노사충돌도 있을리 없다.

당신이 기업주라면 사람과 로봇 중 어떤 노동자를 선택할 것인가? 소설이나 영화로 나오는 

얘기가 아니다. 4차 산업혁명으로 우리 앞에 펼쳐지고 있는 현실이다. 19세기 초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혁명 후 일어났던 러다이트(기계파괴운동, Luddite Movement)운동 같은 것이 

일어나지 않을까?

미국이나 다른 나라들이 일자리 창출이라는 비상한 슬로건을 내 걸고 발버둥을 치고 있다. 

그런데 로봇 노동자시대가 도래 하고 있 데 일자리 창출이 그리 쉬울까?  

변화의 사각지대를 사는 민들… 산업혁명이든 신자유주의든 변화에 숙명처럼 살아온 

교회나 교인들이기에 4차 산업혁명도 그렇게 준비 없이 맞아도 되는 것일까? 지금 당장 교회의

기도제목이 무엇인가 한번 살펴보란 말이다.  

산업혁명이 무슨 가난을 극복하고 살맛나는 세상을 만들어 줄 것이라고 신앙처럼 믿고 뛰었지만,

결과는 어떻게 됐는가?

공해와 오염 그리고 산업쓰레기로 지구촌은 몸살을 앓기 시작하고 곳곳에 노동해방을 부르짖는 

노동자들의 절규가 들끓고 있다. 정경유착으로 나타나는 양극화문제, 기업하기 좋은 세상이 만든

독과점, 분배정의는 실종되고 말았다. 자본은 승리의 개가를… 노동자들은 ‘인간답게 살고 

싶다’며 노동해방을 부르짖고 있다. 산업혁명, 신자유주의가 그랬듯이 4차산업혁명도 그런 

전철을 밟을 것이 아닌가?

농업사회가 산업사회로 이행하면서 몰고 온 후폭풍이 가라앉는가 했더니 정보화 사회, 

신자유주의라는 거대한 쓰나미가 다시 지구촌을 휩쓸고 있다. 결과적으로 공해와 대량실업 

그리고 양극화문제는 자본에게는 은혜로, 다수의 대중에게는 재앙으로 상처뿐인 영광을 만들어

놓았다.

과연 다가 올 4차 산업사회는 우려(憂慮)불식(不息)하고 가난한 사람들이 원하는 세상, 풍요의

세상을 안겨 줄 것인가?

지금 우리는 필연처럼 다가 올 4차산업사회의 변곡점에 서 있다. 4차산업사회는 어떤 모습일까? 

양극화와 3포(연애·결혼·출산 포기)시대, 나아가 N포(모든 것을 포기) 시대 그리고 무한경쟁 

시대가 그치고 정의가 지배하는 평등세상으로 바뀔까?

GMO라는 괴물이 지구촌을 엄습하고 있다. 병충해 없는 농산물, 수박만한 감자… 병들지 않는 

가축을 키워 생산력을 높이면 풍요가 찾아올까? 자연의 섭리를 초월한 인간의 지혜는 자연 속에

사는 사람들에게 어떤 결과로 다가 올 것인가?

봄, 여름, 가을, 겨울 없이 전기로 꽃을 피워 인공 나비가 찾아드는 그런 꽃을 보면 사람들은 

행복을 느낄까? 아름다움에 감탄할까?

돈이 되는 거라면 자연 따위야 파괴되든 말든 정복의 대상일 뿐이다. 꽃이며 나무며 그런 게 뭐 

대수일까? 인공 꽃을 피우고 노동자의 파업은 로봇으로 얼마든지 대체할 수 있는데… 이제 

자본은 노동자들의 파업이며 근로조건의 개선 요구에 귀찮아하지 않아도 좋은데… 자본을 

찬미하는 문학, 예술, 교육, 종교가 등장해 지구촌의 인류는 승리의 개가를 부를 수 있을 것인데…

전기 꽃을 피우고 심부름은 드론에게 맡기면 된다. 전쟁이 일어나도 걱정할 게 없다. 드론이 

폭탄을 실어 나르고 일선 학교에 선생님보다 더 실력 있는 로봇 교사들이 등장하고 운전도 환자의

수술도 로봇이 감당하고 로봇 목사님이 등장해 설교해 주고

사람들은 노동현장에서 서서히 사라져 가는 노동자의 모습을 호기심의 눈으로 지켜보지만, 

결과는 어떻게 될까? 기계가 사람의 영역을 차지해 사람이 할 일을 앗아가면 그렇잖아도 고령화

시대에 빈둥빈둥 노는 사람들이 많은데 심각한 문제는 어떻게 될까? 의사도 변호사도 

서비스업 영역까지 침범하는 기계가 그저 고맙기만 할까?

자본의 본질은 무엇인가? 인간중심인가? 착한가? 정의로운가? 자본이 만들어 가는 세상은 

배분의 정의가 실현될 수 있는가?

자본의 본질은 이윤의 극대화다. 이익이 되는 것이라면 살상무기도 만들고 인체에 유해한 

식품첨가물을 만들고, 법망을 피해 가며 GMO 식품을 만들어 판매한다. 자본의 욕망을 채워주는

상품으로 온통 시장이 넘쳐 나 소비자가 병들면 그것은 운 나쁘게 걸린 개인의 책임이란다.

지금 우리 눈앞에 전개되고 있는 4차산업 사회는 인간중심의 가치관이 아닌 자본중심의 

가치관으로 세뇌된 사람이 저항 조차할 수 없는 기계의 노예가 되게 하고 있는데....  이런 때 

교회는 어떤 기도를 해야 하는가?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서울대동문카페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