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대 채소 중의 채소! 무의 종류와 효능, 부작용

작성자건강지킴이|작성시간24.02.18|조회수97 목록 댓글 0

무는 배추, 고추와 함께  3대 채소로 불립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재배되었던 듯 하지만, 문헌상으로는
고려시대에  '중요 채소'라는 기록이 시작입니다.


 무를 다른 이름으로  '동삼'이라고도 부르는데, 겨울에 먹으면 삼과 같은 효능이 있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생약명으로는 '나복'이라 하며 무의 잎은 '나복엽 ' 그리고 씨앗을
'나복자' 라고  부릅니다.

 나복은 서늘한 성질로 달고 맵고, 나복엽은 평이한 성질로 맛은 맵고 쓰고,
나복자는 평이한 성질로 맛이 맵고 답니다.


 무는 기본적으로 독성이 없고 폐와 위에 작용하여 소화를 돕고
담을 없애주며 기침을 멎게 돕습니다.

 씹으면 나오는 쌉쌀하면서도  단 무즙은 답답한 기분도 풀어 주지요.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는 무에 대하여, 종류와 효능 그리고 부작용을 알아보고, 맛있고
간단한 무밥과깍두기 도 만들어 봅니다.


 무의 종류

 1.  품종에 따라
북지무와 남지무로 나누어집니다.

  북지무는 우리나라와 중국 북부에서 주로 재배하며, 우리의 풍토에 맞게 자란
 토종 무가 이에 속합니다.

 남지무는 중국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동남아시아와 일본 등지에서 재배하는 무입니다.

 2.  모양에 따라


조선무 : 우리나라에서 재배하는 둥근 무를 부르는 이름입니다.

 무청은 말려 시래기로  만들어 나물로  주로 이용하고,
무는 김치와 말랭이, 장아찌등 다양한 음식의 재료가 됩니다.

육질이 단단하고 저장성이 뛰어납니다.


 왜무: 일본에서 들여온 무입니다.
모양은 일자로 길게 쭉 매끈하게 뻗어 있으며 주로
단무지를 만듭니다.
샐러드로도  이용합니다.


 총각무:북지무의 작은 품종으로알타리무, 달랑무라고도  부릅니다.
뿌리가 작으며 줄기도 억세지 않아 무와 함께 무청도 김치를담습니다.
  그 김치가 총각김치이지요.


 열무:   여린 무라는 뜻으로 뿌리가 작습니다.
주로 줄기와 잎으로 김치를 담가 먹지요.

3.  계절에 따라

봄무, 여름무, 가을무, 겨울무로 나눕니다.


 가을무는 전국적으로 재배하며 맛과 품질이 좋으며 김장 김치에 이용합니다.

 무의 효능

1.    소화에 도움

동의보감에 의하면 소화를 돕고 기를 내리며 담을 삭이고 독을 풀러 준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디아스테제라는 효소가 탄수화물 소화에 매우 도움을 줍니다
이소시오시아네이트라는 성분이 들어 있어 위장을 보호합니다.

2.    장 건강 도움
무 100g당 식이섬유가 1.1g 정도 들어 있으며 그중 불용성 식이섬유는
약 0.7g 정도 들어가 있답니다.

불용성 식이섬유는 장내 청소부라고 하지요.

 3.   다이어트 
무는 약 94%의 수분과 6%의 고형분으로 이루어져  칼로리가 낮기 때문에
 다이어트에 좋습니다.
또한 포만감도 주어 다이어트에 도움이 됩니다.

4.  항암효과
 이소티오시아네이트라는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암세포 성장 억제와
사멸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5.   항산화 효과 
비타민C와  베타카로틴 등의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
세포의 노화와  손상의  예방을 돕습니다.

 무의 부작용

 1.  요산이 많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과한 섭취를 주의합니다.

 2.  위장장애 주의
무에는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소화가 어려울 수 있으며, 과다 섭취 시 복통과 설사,
복부팽만이 생길 수 있습니다.


겨울철 대표음식 무밥

겨울철 무밥은 별미입니다. 

무로 밥을 지으면 탄수화물과 지방, 단백질이 골고루 들어있어서 건강에도 좋습니다.

무밥은 무와 쌀만으로 만들었을 경우도 있고, 표고버섯무밥, 소고기무밥, 콩나물무밥, 굴무밥, 홍합무밥등 여러 가지 재료를 넣고 무밥을 만들어 먹습니다. 무밥에는 무엇보다도 양념장이 맛있어야 무밥의 맛이 한결 더 좋아집니다. 그래서 오늘은 무밥 짓는 법과 무밥양념장 만드는 법 그리고 무의 효능, 무밥의 칼로리도 기록합니다.

 무밥 맛있게 짓는 법:

재료:

무 1/3개 (300g)

쌀 2컵

양념장재료

쪽파 10개

진간장 6스푼

참기름 1스푼

고춧가루 1T 스푼

통께 1스푼


1. 1/3등분으로 자른 후 채 썰어줍니다.

 


2. 밥솥에 씻어놓은 쌀을 1/2 정도 먼저 안칩니다.

 쌀은 깨끗이 씻은 다음 건져놓았다 밥솥 바닥에 깔릴 만큼 먼저 넣어줍니다. 야채밥을 할 때 누룽지가 앉는데 무가 밑으로 들어가면 무가 탄 것 같은 색이 돌아서 보기 싫어요. 



3. 쌀을 넣은 위에 무채 썬 것을 얹어 줍니다.




4. 무채선것을 넣고, 그 위에 남은 쌀을 모두 넣은 다음 가장자리로 물을 넣어주고 주걱으로 골고루 눌러주고 취사를 누릅니다.

쌀과 물의 양 1:1, 어떤 야채밥을 해도 쌀과 물의 양은 1:1입니다.

야채밥코너가 있는 밥솥은 야채밥을 누르고, 저는 무쇠솥밥으로 취사를 합니다.

전가밥솥으로 짓는 법을 쓰고 있는데요.

냄비에다 밥을 지을 때는 위의 밥 안치는 법은 똑같고요. 

중불에서 뚜껑을 덮고 밥이 끓으면 가장 약한 불로 25분 끓인 후 3~5분 뜸을 들이면 냄비로 무밥 짓기가 됩니다.


5. 밥이 지어지는 동안 쪽파를 썰고 양념(진간장, 고춧가루, 참기름, 통깨)을 넣고 저어서 양념장을 만듭니다.

※ 양념장을 만들 때 쪽파보다 대파로 만드는 것이 파냄새도 더 진하고 맛이 있어요. 저는 쪽파가 김치하고 남아서 사용합니다.

6. 양념장을 만들고 났더니 무밥이 완성되었습니다.


7. 완성된 무밥을 주걱으로 저어줍니다. 약간 누룽지가 앉았는데 맛있게 되었습니다.


무밥은 무의향이 향긋하고 겨울저장무는 달콤해서 양념장과 비벼먹으면 정말 맛있어요.

무의 효능:

무는 성질이 차고 맵습니다. 무는 위를 튼튼하게 하는 채소로 소화를 잘 시켜줍니다. 가래를 없애주어 기침을 멈추게 하고 기운을 아래로 내리면서 중초를 넓혀주어 속을 편하게 해주는 작용이 있으며 진액을 만들어 갈증을 해소하고 이뇨작용과 지혈작용이 있으며 숙취를 해소하며 암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무의 효능 출처: 약선식품 동의보감)


무밥의 칼로리:

무밥 100g당 133.09칼로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무밥 100g에는 0.64 지방과 3.66g의 단백질, 그리고 28.17g의 탄수화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무밥은 이 외에도 나트륨, 칼륨,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베타카로틴, 엽산등의 미네랄과 아미노산, 비타민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무밥은 아이들보다 어른들이 더 좋아하는데요. 아이들도 어려서부터 먹여버릇하면 좋아합니다. 그리고 밥은 굴무밥도 맛있고, 무밥을 한 다음 삼겹살을 구워서 채 썰어 넣어주면 아이들이 좋아합니다. 겨울철 비타민C가 풍부한 무를 이용해서 여러 가지 재료를 넣어서 밥을 해 먹는 것도 겨울철만의 별미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겨울철 무밥을 할 때면 어른들께서 무밥이 무릇하다고 하시며 좋아하시던 생각이 납니다. 겨울철 김장김치가 알맞게 익었을 때 무밥과 함께 먹으면 정말 맛있습니다.


 깍두기 만들기

 무 1개, 쪽파 10개, 마늘 1 큰 스푼, 양파 반 개, 배 한쪽,  밥 2 큰 스푼, 매실청 2 큰 스푼, 굵은소금 2 큰 스푼

설탕 3 큰 스푼, 새우젓 1 큰 스푼, 액젓 3 큰 스푼, 고춧가루 150cc

1.    무는 깍둑썰기를 하여 굵은소금  2 큰 스푼과  설탕  2 큰 스푼을 넣고  섞어  30분 정도  절여 줍니다.

 2.    4CM 내외로 쪽파를 썰어 놓습니다.

 3.    밥에 새우젓, 마늘, 배, 양파를 넣고 믹서로 갈아 줍니다.

 4.   믹서에 갈아 준비한 재료에 액젓과 설탕 1 큰 스푼을 넣고, 매실액과
고춧가루도 넣어 섞어 줍니다. 

 5.   절여진 무를 물에 한번 살짝 헹구고, 물을 빼어 줍니다.

 6.   무에 준비한 양념을 섞어 주고, 마지막으로 쪽파를 넣어
가볍게 버무리면  완성입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