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이 이야기하는 5가지 맛의 약성 [五味藥性] 의 비밀

작성자건강지킴이|작성시간24.03.06|조회수68 목록 댓글 0

 


 5가지 맛의 약성[五味藥性]
 
만물의 성질을 보면 서로 반대되는 것과 맞는 것(즉 離合)이 있다.

범이 고함치면 바람이 불고
용이 울면 구름이 생기며
자석은 바늘을 끌어 당기고 호박은 먼지를 거두어 들이며 옻은 게(蟹)를 만나면 흩어지고 참기름은 옻을 만나면 끓어번지며 계피나무는 파를 만나면 연해지고 나무는 계피나무를 만나면 마르고 융염(戎슳)은 알(卵)을 쌓아올리게 하고 수달의 담(膽)은 잔을 갈라지게 한다.

그 기운이 서로 연관성과 감수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렇게 되는 일이 많은데 그 이치는 알아낼 수 없다[서례].

 ○ 털이나 날개를 가진 동물[毛羽之類]은 다 양에서 생기지만 음에 속한다. 비늘이 있는 물고기나 조개 같은 것은 음에서 생기지만 양에 속한다. 이 이치와 같이 공청(空靑)은 나무를 본따서 빛이 푸르다[靑]. 그러므로 그 기운은 주로 간으로 간다. 주사는 불을 본따서 빛이 붉다[赤]. 그러므로 그 기운은 주로 심으로 간다. 운모는 금을 본따서 빛이 희다[白]. 그러므로 그 기운은 주로 폐로 간다. 석웅황은 흙을 본따서 빛이 누렇다[黃]. 그러므로 그 기운은 주로 비로 간다. 자석은 물을 본따서 빛이 거멓다[黑]. 그러므로 그 기운은 주로 신으로 간다[서례].


○ 황제가 “5가지 맛이 음과 양으로 작용한다는 것은 어떻게 한다는 것인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매운 맛[辛]과 단맛[甘]은 발산(發散)시키므로 양에 속하고
신맛[酸]과 쓴 맛[苦]은 토하게 하고 설사시키므로[涌泄] 음에 속하며
짠 맛[옣]도 토하게 하고 설사시키므로 역시 음에 속한다.
슴슴한 맛[淡味]은 스며 나가게 하므로 양에 속한다.
이 6가지가 수렴하게도[收] 하고 헤쳐지게도[散] 하며 늦춰지게도[緩] 하고 땅겨지게도[急] 하며 마르게도[燥] 하고 눅여 주기도[潤] 하며 연해지게도[軟] 하고 굳어지게도[堅] 한다. 그러므로 필요한 것을 써서 기운을 조화시켜 평행이 되게 하여야 한다”라고 하였다[내경].

 ○ 매운 맛은 헤쳐지게 하고[辛散] 신맛은 수렴하게 하며[酸收] 단맛은 늦춰지게 하고[甘緩] 쓴 맛은 굳어지게 하며[苦堅] 짠 맛은 연해지게 한다[옣軟]. 독이 있는 약은 병사[邪]를 치고 5가지 곡식은 보양하며 5가지 과실은 도와주고 5가지 집짐승의 고기는 보해주며 5가지 채소는 보충해준다. 그러므로 기미를 잘 배합하여 쓰면 정력을 보하고 기운을 도와주게 된다. 이 5가지는 매운 맛, 신맛, 단맛, 쓴 맛, 짠 맛을 가지고 있고 각기 이익되게 하는 곳이 있다. 그리고 헤쳐지게 하고 수렴하게 하며 늦추어지게 하고 땅겨지게 하며 단단해지게 하고 연해지게도 한다. 그러므로 4철과 5장의 병에 맞게 5가지 맛을 골라 써야 한다[내경].

○ 음(陰은 5장을 말한다)은 5가지 맛에서 생기를 받지만 음인 5관(五官)은 이 5가지 맛에 상할 수 있다. 5가지 맛이 비록 입에 맞는다고 하여도 먹을 때에는 반드시 지나치게 먹지 말고 자체로 조절하여 먹어야 한다. 지나치게 먹으면 원기가 상한다[내경].


 ○ 대체로 5가지 맛이 위(胃)에 들어갔다가는 각기 제가 좋아하는 곳으로 간다. 즉 신맛은 먼저 간으로 가고 쓴 맛은 먼저 심으로 가며 단맛은 먼저 비로 가고 매운 맛은 먼저 폐로 가며 짠 맛은 먼저 신으로 간다. 기운이 오랫동안 몰려 있으면 일정한 변화를 일으키는데[物化] 이것은 법칙이다. 그러므로 한 가지 맛만 오랫동안 먹는 것은 수명을 줄이는 원인으로 된다[내경].

 ○ 한 가지 기운이 오랫동안 계속 세지면 어느 한 장기의 기운이 치우쳐 세지게 된다. 한 장기의 기운이 치우쳐 세지면 다른 한 장기의 기운은 끊어진다. 이렇게 되면 갑자기 죽을 수 있으므로 한 가지 기운만 오랫동안 세지게 하는 것은 수명을 줄이는 원인으로 된다. 음식을 먹지 않고 약간 먹는데도 갑자기 죽지 않는 것은 무슨 까닭인가. 그것은 5곡의 맛을 치우치도록 도와주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시 음식을 치우쳐 먹게 되면 역시 일찍 죽을 수 있다[내경주].

○ 매운 맛은 맺힌 것을 헤쳐주고[散結] 마른 것을 눅여 준다[潤燥]. 쓴 맛은 습한 것을 마르게 하고[燥濕] 굳은 것을 연해지게 한다[軟堅]. 신맛은 늘어진 것을 조여들게 하고[收緩] 흩어진 것을 거두어 들인다[收散]. 단맛은 팽팽한 것을 늦추어주고[緩急] 짠 맛은 굳은 것을 연해지게 하며[軟堅] 슴슴한 맛은 구멍을 잘 통하게 한다[利竅][동원].

 ○ 5가지 맛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신맛은 조여들게 하고 수렴하게 하며[酸束而收뵴] 짠 맛은 움직이지 못하게 하면서 굳은 것을 연해지게 하며[옣止而軟堅] 단맛은 떠오르게 하여 발산시키고[甘上行而發] 쓴 맛은 내려가게 하여 설사시키고[苦直下而泄] 매운 맛은 가로가게 하여 발산시킨다[辛橫行而散][동원].

 ○ 약의 5가지 맛이 5장에 들어가면 보(補)하기도 하고 사(瀉)하기도 하는데 매운 맛이 발산시킨다는 것은 겉이나 속에 몰려 있는 기운을 흩어지게 한다는 것이다. 신맛이 거두어 들이게 한다는 것은 소모되고 흩어진 기운을 거두어 들인다는 것이다. 슴슴한 맛이 스며 나가게 한다는 것은 속에 있는 습기를 스며 나가게 하여 오줌이 잘 나가게 한다는 것이다. 짠 맛이 연해지게 한다는 것은 화열(火熱)로 대변이 뭉쳐 굳어진 것을 묽어지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쓴 맛이 설사가 나게 한다는 것은 떠오르는 화를 사한다는 것이고 단맛이 완화시킨다는 것은 몹시 차거나 더운 것을 완화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입문].

 ○ 신맛이 지나치면 간기(肝氣)가 넘쳐나고 비기(脾氣)가 끊어진다. 짠 맛이 지나치면 굵은 뼈의 기운[大骨氣]이 약해지고 힘살이 켕기며 심기(心氣)가 억눌린다. 단맛이 지나치면 심기로 숨이 차지고[喘] 가슴이 그득해지며[滿] 몸이 거멓게 되고 신기(腎氣)가 고르지 못하게 된다. 쓴 맛이 지나치면 비기가 습윤하지 못하고 위기(胃氣)가 세진다. 매운 맛이 지나치면 힘줄과 혈맥이 상하거나 늘어지고 정신이 잘못된다. 그러므로 5가지 맛을 고르롭게 하면 뼈가 든든해지고[骨正] 힘줄이 부드러워지며[筋柔] 기혈이 잘 돌고 주리(쑗理)가 치밀해진다. 이렇게 되면 오래 살 수 있다[내경].

 ○ 5가지 맛에서 어느 것이나 할 것없이 치우치게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신 것을 많이 먹으면 비가 상하고 쓴 것을 많이 먹으면 폐가 상하며 매운 것을 많이 먹으면 간이 상하고 짠 것을 많이 먹으면 심이 상하며 단것을 많이 먹으면 신이 상한다. 이것은 5가지 맛이 5장을 억제하는 것이며 5행의 자연스러운 이치이다[내경].

 ○ 매운 것 5가지에서 마늘의 기운은 가슴[心]으로 가고 생강의 기운은 볼[頰]로 가며 파의 기운은 코로 가고 겨자의 기운은 눈으로 가며 여귀[蓼]의 기운은 혀로 간다[강목].


 다섯 가지 맛, 오미(五味)

한의학의 음양오행의 원리에 따라 다섯가지 맛은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으로 나누고 있습니다. 오행의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
기운 과 통하며 각각 고유한 특성을 지닌다고합니다,
신맛은 수렴하고
쓴맛은 굳게 하고
단맛은 느슨하게 하고
매운맛은 흡어지게하고
짠맛은 부드럽게 한다

단맛

소화기 계통과 관련
단맛의 원천은 포도당으로 맛의 기본 입니다.
단맛은 원기를 보해주고 비, 위장을 편안하게 해 주는 성질이 있습니다.
약의 독성을 줄여주고, 통증을 완화시켜 주어 허약한 증상이나 통증이 있을 때
사용하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1. 긴장된 것을 이완시킨다
2. 뇌의 에너지원
3. 도파민과 세로토닌 분비를 자극
4. 통증 완화와 해독작용
5. 일시적 기분전환에 효과적이나 내성이 생겨 중독성이 있다.
단맛을 지나치게 섭취하면 소화기 장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혈액이 끈적해져
당뇨, 고혈압 등 심혈관 질환을 일으 킬수 있습니다.

매운맛

폐, 호흡기, 대장, 피부와 관련
매운맛은 뭉친 것을 풀어주고 건조한 것을 적셔 주는 역할을 하여 감기나 기혈이 막힌 증상이 있을 때 사용합니다.
속이막힌느낌이 들거나 몸이 차가울 때는 매운 음식이 도움 될 수 있습니다.

1. 체온을 올려 노폐물 배출
2. 혈액순환을 돕는다.
3. 기혈순환으로 통증완화
4. 기침, 가래등 호흡기 질환 치료.
매운맛은 따뜻한 성질을 지니는데 지나 치면 매운맛 자체의 자극으로 속 쓰림.
위염, 위궤양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속에 열이 많거나 염증이있는 경우에는 덧나게 할 수 있어 좋지 않습니다.

짠맛

신장, 방광과 관련
짠맛은 단단하거나 뭉친 것을 연하게 풀어 주는 작용을 합니다. 변비가 있을 때
미역이나 다시마를 먹으면 변비가 해소 되듯이 체질적으로 소화와 흡수가
잘 되지 않는 사람들은 적당한 짠맛이 도움 될 수 있습니다.

1. 조직을 부드럽게 한다.
2. 다른 맛을 강화해 주는 역할
3. 부패를 막아준다.
4. 소변배출이 잘되게 한다.

짠맛을 과하게 섭취하면 몸이 늘어져 힘이 없고 혈압을 상승시켜 성인병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신맛

간기능과 관련
신맛은 늘어진 것을 추스르고 흩어진 기운을 모으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진액이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잡아 주고 땀을 많이 흘려 허약해지는 것을 막아 줍니다.

1. 조직을 부드럽게 한다.
2. 다른 맛을 강화해 주는 역할
3. 부패를 막아준다.
4. 소변배출이 잘되게 한다.
1. 살균, 해독 작용
2. 수렴하는작용
3. 피로해소, 식욕증진
4. 지방, 노폐물 분해

적당한 신맛은 몸의 활기를 주고 식욕을 돋우지만 과하면 위장에 부담을 주고 폐
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며 뼈와 차아를 약하게 하는 부작용이 있습니다.

쓴맛

심혈관계와 관련
쓴맛은 독성분으로 인해 사람들이 본능 적으로 피하는 맛입니다. 상한 음식이
쓴맛을 내고 독초가 쓴맛을 내기 때문입니다.
설익은 열매나 씨앗에는 독성이 있어 쓴맛을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1. 열을 내려 머리를 맑게 해 준다.
2. 위액분비를 촉진하여 소화를 돕는다.
3. 염증억제, 불순물제거
4. 살균작용, 이뇨작용

쓴맛은 찬 성질을 가지고 있어 기운이 가라앉고 무기력하면서 우울감이 심한 경우 쓴맛을 먹으면 더 심해집니다.
면역력이 떨어져 있거나 해독기능이 약한 경우에도
쓴 것을 한꺼번에 많이
먹으면 구토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요약
다섯 가지 맛은 각각 고유한 성질이 있으며 오장육부에 작용하는 효과가다르
다고 합니다.
다섯 가지 맛에 속하지 않
지만 곡물류와 같이 맛이 없는 듯한 담담한 맛도 있습니다. 우리 몸의 건강을
위해서는 다섯 가지 맛을 균형 있게 먹는 것이 이롭습니다.
현대인들은 단맛, 매운맛, 짠맛에 길들여져 있습니다. 단맛, 매운맛, 짠맛으로
치우친 입맛은 내성이 생겨좀 더 자극적인 맛을 요구하게 되고 대사질환 등성인병을 일으키게 됩니다.

-이천시민건강원-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