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후기"]덕룡-주작-두륜산(2023.11.24~2023.11.25)

작성자개구장이 스모프|작성시간23.11.30|조회수280 목록 댓글 0

덕룡산[전남 강진군 도암면]
주작산[전남 강진군 신전면, 해남군]
두륜산[전남 해남군 삼산면]을 다녀와서~

일    시 : 2023년 11월 24일 금요일 23시 28분부터 11월 25일 15시 12분까지
날    씨 : 아침 기온 영하 3˚ 낮 기온 영상 7˚ 맑고 바람 많이 불어옴 
산행구간 : 소석문 – 덕룡산 동봉 – 서봉 – 주작산 – 수양리재 – 작천소령 – 오소재 – 오심재 – 노승봉 – 가련봉 – 만일재 – 두륜봉 – 만일재 – 대흥사 – 대흥사 일주문
산행거리 : 약20.19㎞
소요시간 : 11시간 22분
함께하신 분 : 김명수외 26명(다음매일 산악회 회원들과 함께) 

오늘 산행은 한국의 산하 100대 명산 중 72번째의 산행으로 산행신청을 하고 산행 거리가 만만하지 않아 두려움도 있었고 지난번 달마산을 함께 산행을 하였던 산우님이 이번 산행을 하는 구간을 완주하는 것을 실패하였다는 기억이 떠올라 산행 준비와 사전 지도 정치를 열심히 하여두었다.
금요일 유연근무로 일찍 퇴근을 하여 다시 한 번 산행 준비물을 점검하고 저녁식사를 한 후 22시 집을 출발하여 마을버스를 타고 4호선으로 환승을 하여 사당역 10번 출구에 도착하니, 시계는 23시 10분을 가리키고 있다.

<사당역 10번 출구 전경>

 

23시 28분 사당역을 출발한 버스는 양재역, 죽변 버스정류장, 신갈 버스정류장에서 산우님들을 태운버스는 경부고속도로-논산천안고속도로-호남고속도로를 따라 이동을 하다. 고인돌휴게소에서 휴게시간을 가졌다.(02:10)

<고인돌휴게소 잔경>


2시 22분 고인돌 휴게소를 출발한 버스는 호남고속도로-광주외과순환고속도로를 따라이동을 하여 님광산TG를 나와 소석문에 도착을 하니, 시계는 3시 45분을 가리키고 있다.

<소석문 전경>


소석문에서 산행준비를 마치고 3시 50분, 소석문을 출발하여 어둠속을 헤치며 덕룡산 동봉으로 향하여서 소석문 0.28km/ 길 없음/ 동봉 2.08km 갈림길 이정표를 지나 길 없음/ 소석문 0.35km/ 동봉 2.01km 갈림길 이정표를 경유하여 동봉 0.87km/ 소석문 1.49km/ 길 없음 갈림길 이정표를 거쳐 소석문 1.64km/ 동봉 0.72km 갈림길 이정표를 지나 (우회로)동봉/동봉(위험등산로) 0.56km/ 소석문 1.80km 갈림길 이정표에서 위험등산로 방향으로 이동을 하여 소석문(우회로)/ 동봉 0.32km/ 소석문(위험등산로) 2.04km 갈림길 이정표를 지나 만덕광업(하산로) 0.82/ 소석문 2.16km/ 동봉 0.2km 갈림길 이정표를 뒤로한지 후 몇 분 후 덕룡산 동봉이 눈앞에 보였다.(05:30)

<소석문 0.28km/ 길 없음/ 동봉 2.08km 갈림길 이정표>

<길 없음/ 소석문 0.35km/ 동봉 2.01km 갈림길 이정표>

<동봉 0.87km/ 소석문 1.49km/ 길 없음 갈림길 이정표>

<소석문 1.64km/ 동봉 0.72km 갈림길 이정표>

<(우회로)동봉/동봉(위험등산로) 0.56km/ 소석문 1.80km 갈림길 이정표>

<소석문(우회로)/ 동봉 0.32km/ 소석문(위험등산로) 2.04km 갈림길 이정표>

<만덕광업(하산로) 0.82/ 소석문 2.16km/ 동봉 0.2km 갈림길 이정표>

<덕룡산 동봉 정상 전경>

<소석문 2.36km/ 서봉 0.28km 갈림길 이정표>


덕룡산 동봉을 뒤로하고 서봉으로 향하였는데 이동 중 삼거리 방향애서 서봉으로 이동을 하여야 하나 어둠으로 인하여 방향을 잘못 잡아 다시 동봉으로 이동을 하여 다시 서봉으로 서행으로 이동을 하다 삼거리에서 서봉 방향으로 등산로를 찾아 이동을 하여 소석문 2.47km/ (우회로)작천소령/ 서봉 0.17km 갈림길 이정표를 지나 소석문 2.54km/ 작천소령/ 서봉 0.08km 갈림길 이정표을 경유하여 서봉에 도착하니. 시계는 5시 57분을 가리키고 있다.

<소석문 2.47km/ (우회로)작천소령/ 서봉 0.17km 갈림길 이정표>

<소석문 2.54km/ 작천소령/ 서봉 0.08km 갈림길 이정표>

<서봉 정상 전경>

<동봉 0.28km/ 작천소령 3.85km 갈림길 이정표>

 

서봉을 뒤로하고 작천소령으로 등선 길을 따라 이동을 하니 점점 여명이 트는 듯 등산로가 보이기 시작한다, 그렇게 이동을 하여 작천소령 3.62km/ 서봉 0.23km/ (우회로) 서봉 갈림길 이정표를 지나 서봉 0.33km/ 작천소령 3.52km/ 수양마을(하산로) 1.7km 갈림길 이정표를 경유하여 서봉 0.48km/ 작천소령 3.37km 갈림길 이정표를 거쳐 서봉 0.7km/ 작천소령 3.15km/ 길 없음 갈림길 이정표를 지나 서봉 0.85km/ 작천소령 2.85km 갈림길 이정표에 도착하니, 곧 해돋이가 있을 예정인지 동측 하늘이 붉게 물들고 있다.(06:42) 

<작천소령 3.62km/ 서봉 0.23km/ (우회로) 서봉 갈림길 이정표>

<서봉 0.33km/ 작천소령 3.52km/ 수양마을(하산로) 1.7km 갈림길 이정표>

<서봉 0.48km/ 작천소령 3.37km 갈림길 이정표>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서봉 0.7km/ 작천소령 3.15km/ 길 없음 갈림길 이정표>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서봉 0.85km/ 작천소령 2.85km 갈림길 이정표>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서봉 0.85km/ 작천소령 2.85km 갈림길 이정표를 뒤로하고 암벽 구간을 지나 관광농원 1.21km/ 작천소령 2.61km/ 서봉 1.98km 갈림길 이정표를 지나 소석문 4.6km, 서봉 2.02km/ 소석문 5.79km 갈림길 이정표를 거쳐 주작산(주작산 주봉 2km, 작천소령 0.63km/ 소석문 5.70km 갈림길 이정표)에 도착하게 되었다,(07:41)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이동 중 바라본 전경>

<관광농원 1.21km/ 작천소령 2.61km/ 서봉 1.98km 갈림길 이정표>

<소석문 4.6km, 서봉 2.02km/ 소석문 5.79km 갈림길 이정표>

<이동 중 바라본 전경>

<해돋이 전경>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주작산 정상 전경>

<주작산에서 바라본 바다 전경>

<주작산(주작산 주봉 2km, 작천소령 0.63km/ 소석문 5.70km 갈림길 이정표)>


주작산을 뒤로하고 주위 경치를 둘러보며 이동을 하길 10여분, 수양리재에 도착하게 되었다.
수양리재에는 총 6개의 이정표가 있었고 개인택시 홍보 스티커가 여기저기 붙어 있는 것을 보니 많은 산우님들이 자주 이용을 하는 듯하다.(08:00)

<주작산에서 바라본 공룡능선>

<등산로 입구 이정표>

<덕룡산 이정표>

<대흥사/ 도림재 이정표>

<첨봉 6.7km/ 주작산휴양림 0.4km 갈림길 이정표>

<주작정상 2.2km/ 휴양림 2.33km/ 소석문 7.25km 가림길 이정표>

<용동리 4.5km/ 양촌제 5.4km 갈림길 이정표>

<수양리재에 있는 주작산 등산안내도>


수양리재를 뒤로하고 이동하길 몇 분, 주작산 정상 2.35km 이정표가 있는 작천소령에 도착하게 되었고 이곳에 조금 이동을 하여 주작산 1.68km/ 양란 재배장 0.32km/ 두륜산 갈림길 이정표에서 두륜산 방향으로 이동으로 이동을 하였는데 이구간은 본격적인 암릉 구간의 시작지점이었고 이곳에서부터 로퍼와 암벽등반이 지속적으로 이어졌고 오르락 내리락을 반복하는 구간으로 체력소모가 많은 구간이었으며, 많은 산우님들이 이동을 하며 쏠림 현상이 발생할 경우는 대피할 곳이 없어 이동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는 구간이었다.  그렇게 암벽시작 지점을 뒤로하고 오소재 3.2km/ 수양리재 1.3km 갈림길 이정표를 지나 오소재 2.9km, 제2 비상 탈출로 0.4km/ 제3 비상탈로 0.8km/ 수양리재 1.6km  갈림길 이정표를 바라보니 이곳의 등반 난이도가 그리 쉬운 구간은 아니 듯하다. 비상탈출로 이정표가 있는 것을 보니 말이다. (09:39)

<주작산 정상 2.35km 이정표>

<주작산 1.68km/ 양란 재배장 0.32km/ 두륜산 갈림길 이정표>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오소재 3.2km/ 수양리재 1.3km 갈림길 이정표>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오소재 2.9km, 제2 비상 탈출로 0.4km/ 제3 비상탈로 0.8km/ 수양리재 1.6km  갈림길 이정표>


오소재 2.9km, 제2 비상 탈출로 0.4km/ 제3 비상탈로 0.8km/ 수양리재 1.6km  갈림길 이정표를 뒤로하고 오소재 2.5km/ 제 3비상탈출로 0.4km/ 수양리재 2.0km/ 제 2비상탈로 1.1km 갈림길 이정표를 지나 수양리재 2.2km/ 오소재 2.3km 갈림길 이정표를 경유하여 오소재 2.5km/ 수양리재 2.5km, 제2 비상탈출로 0.5km 갈림길 이정표를 경유하여 수양리재 3.0km/ 오소재 1.5km 갈림길 이정표를 거쳐 오소재에 도착하니, 시계는 11시 20분을 가리키고 있다.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오소재 2.5km/ 제 3비상탈출로 0.4km/ 수양리재 2.0km/ 제 2비상탈로 1.1km 갈림길 이정표>

<수양리재 2.2km/ 오소재 2.3km 갈림길 이정표>

<오소재 2.5km/ 수양리재 2.5km, 제2 비상탈출로 0.5km 갈림길 이정표>

<수양리재 3.0km/ 오소재 1.5km 갈림길 이정표>

<오소재로 하산하는 등산로 전경>

<오소재 전경>

<오소재 주위 전경>


오소재에서 해우소르 들러 근심걱정을 비우고 약수터에서 부족한 식수를 보충하고 약간의 휴식을 가진 다음 두륜산으로 가는 두륜봉 3.4km, 가련봉 2.6km, 노승봉 2.2km, 흔들바위 1.86km, 오심재 1.km 이정표를 만나 오심재로 향하였는데 오르는 길은 지금껏 왔던 암릉 구간과 대조적인 잘 정비 된 등산로로 일반인들의 이동이 많은 듯하였다. 오소재를 뒤로한지 40여분, 오심재에 도착하게 되었다.(12:12)

<두륜봉 3.4km, 가련봉 2.6km, 노승봉 2.2km, 흔들바위 1.86km, 오심재 1.km 이정표>

<오심재 전경>

<두륜봉 1.8km, 가련봉 1km, 노승봉 0.6km, 흔들바위 0.26km/ 오소재 약수터 1.6km, 오소재주차장 1.6km/ 두륜봉(구름다리)1.7km, 천년수(만일암터) 1.2km, 북미륵암 0.6km 갈림길 이정표>


오심재를 뒤로하고 노승봉으로 이동을 하다, 오소재 약수터 1.84km, 북미를암 0.84km, 오심재 0.24km/ 흔들바위 20m/ 두륜봉(구름다리) 1.56km, 가련봉 0.76km, 노승봉 0.36km 갈림길 이정표를 지나 노승봉아래 헬기장을 경유하여 오소재 주차장 2.2km, 북미륵암 1.2km, 오심재 0.5km/ 두륜봉 1.3km, 가련봉 0.5km, 노승봉 0.2km 갈림길 이정표를 거쳐 계단을 따라 오르니 노승봉이 보인다.(12:46)

<오소재 약수터 1.84km, 북미를암 0.84km, 오심재 0.24km/ 흔들바위 20m/ 두륜봉(구름다리) 1.56km, 가련봉 0.76km, 노승봉 0.36km 갈림길 이정표>

<노승봉아래 헬기장>

<오소재 주차장 2.2km, 북미륵암 1.2km, 오심재 0.5km/ 두륜봉 1.3km, 가련봉 0.5km, 노승봉 0.2km 갈림길 이정표>

<노승봉을 오르다 바라본 전경>

<노승봉 정상 전경>


대흥사가 보이는 노승봉을 뒤로하고 가련봉으로 이동을 하여 노승봉 0.1km, 오심재 0.8km/ 두륜봉 1km, 가련봉 0.2km 갈림기 이정표를 지나 가련봉에 도착하니, 시계는 13시를 가리키고 있다.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이동 중 바라본 가련봉>

<노승봉 0.1km, 오심재 0.8km/ 두륜봉 1km, 가련봉 0.2km 갈림기 이정표>

<가련봉 정상 전경>


가련봉을 뒤로하고 만일재로 향하였는데 스님 한 분이 가련봉으로 오르고 계시어 합장하며 인사 나뉘고 만일재에 도착하니, 시계는 13시 18분을 가리키고 있다.

<만일재 전경>

<두륜봉 0.3km/ 오심재 1.5km, 가련봉 0.5km/ 오심재 1.4km, 천년수(만일암터) 1.2km 갈림길 이정표>


만일재에서 두륜봉을 올랐다 되돌아 와서 대흥사로 하산하기로 하여 만일재에 배낭을 두고 간편한 복정으로 두륜봉으로 향하여 대흥사 2.05km, 진불암 0.8km/ 대흥사 2.2km, 가련봉 0.8km, 천년수 0.5km, 만일재 0.3km, 구름다리/ 두륜봉 0.1km 갈림길 이정표를 지나 표충사 2.2km, 진불암 0.8km/ 두륜봉 0.1km 갈림길 이정표를 거쳐 두륜봉에 도착하개 되었다.(13:38)

<대흥사 2.05km, 진불암 0.8km/ 대흥사 2.2km, 가련봉 0.8km, 천년수 0.5km, 만일재 0.3km, 구름다리/ 두륜봉 0.1km 갈림길 이정표>

<표충사 2.2km, 진불암 0.8km/ 두륜봉 0.1km 갈림길 이정표>

<두륜봉 정상 전경>


두륜봉을 뒤로하고 올랐던 길을 되돌아오며 표충사 2.2km, 진불암 0.8km/ 두륜봉 0.1km 갈림길 이정표를 지나 두륜봉 0.1km/ 대흥사 2.05km, 진불암 0.8km/ 대흥사 2.2km, 가련봉 0.8km, 천년수 0.5km, 만일재 0.3km, 구름다리 갈림길 이정표를 거쳐 만일재 0.3km, 가련봉 0.7km/ 진불암, 두륜봉 갈림길 이정표를 경유하여 만일재에 도착하여, 배낭을 챙겨 대흥사로 향하였다.(13:57)

<표충사 2.2km, 진불암 0.8km/ 두륜봉 0.1km 갈림길 이정표>

<두륜봉 0.1km/ 대흥사 2.05km, 진불암 0.8km/ 대흥사 2.2km, 가련봉 0.8km, 천년수 0.5km, 만일재 0.3km, 구름다리 갈림길 이정표>

<구름다리 전경>

<만일재 0.3km, 가련봉 0.7km/ 진불암, 두륜봉 갈림길 이정표>

<만일재(두륜봉 0.3km/ 오심재 1.5km, 가련봉 0.5km/ 오심재 1.4km, 천년수(만일암터) 1.2km 갈림길 이정표)>


대흥사로 향하는 길은 정비가 잘 되어 있어 어려움이 없어 보였고 가져간 스프로 허기진 배를 채웠다. 그렇게 이동을 하여 대웅전, 천년수/ 가련봉 0.6km, 두륜봉 0.4km, 만일재/ 대웅전 2.3km, 오심재 1.3km, 북미륵암 0.8km, 천년수 0.2km 갈림길 이정표를 지나 북미륵암 0.6km, 천년수(만일암터) 0.1km/ 대웅전 2.2km, 진불암 0.7km/ 가련봉 0.7km, 두륜봉 0.5km, 만일재 0.2km 갈림길 이정표를 경유하여 오심재 1km, 북미륵암 0.4km/ 대웅전 1.3km, 진불암 0.4km/ 노승봉 1.2km, 가련봉 1km, 두륜봉 0.8km, 천년수(만일암터) 0.3km 갈림길 이정표가 있는 곳에 도착하니, 시계는 14시 12분을 가리키고 있다.

<대웅전, 천년수/ 가련봉 0.6km, 두륜봉 0.4km, 만일재/ 대웅전 2.3km, 오심재 1.3km, 북미륵암 0.8km, 천년수 0.2km 갈림길 이정표>

<북미륵암 0.6km, 천년수(만일암터) 0.1km/ 대웅전 2.2km, 진불암 0.7km/ 가련봉 0.7km, 두륜봉 0.5km, 만일재 0.2km 갈림길 이정표>

<오심재 1km, 북미륵암 0.4km/ 대웅전 1.3km, 진불암 0.4km/ 노승봉 1.2km, 가련봉 1km, 두륜봉 0.8km, 천년수(만일암터) 0.3km 갈림길 이정표>


  오심재 1km, 북미륵암 0.4km/ 대웅전 1.3km, 진불암 0.4km/ 노승봉 1.2km, 가련봉 1km, 두륜봉 0.8km, 천년수(만일암터) 0.3km 갈림길 이정표를 뒤로하고 대웅전 1.3km, 일지암 0.5km/ 진불암 0.3km/ 가련봉 1km, 두륜봉 0.8km, 북미륵암 0.4km, 천년수(만일암터) 0.3km 갈림길 이정표를 지나 가련봉 2km, 두륜봉(구름다리) 1.8km, 천년수(만일암터) 1.3km/ 대웅전 0.8km/ 일지암 0.1km 갈림길 이정표를 경유하여 대웅전 0.6km/ 두륜봉(구름다리) 2.1km, 가련봉 2.3km, 천년수 1.6km, 일지암 0.5km 갈림길 이정표를 지나 대흥사에 도착하니, 시계는 14시 37분을 가리키고 있다.

<대웅전 1.3km, 일지암 0.5km/ 진불암 0.3km/ 가련봉 1km, 두륜봉 0.8km, 북미륵암 0.4km, 천년수(만일암터) 0.3km 갈림길 이정표>

<가련봉 2km, 두륜봉(구름다리) 1.8km, 천년수(만일암터) 1.3km/ 대웅전 0.8km/ 일지암 0.1km 갈림길 이정표>

<대웅전 0.6km/ 두륜봉(구름다리) 2.1km, 가련봉 2.3km, 천년수 1.6km, 일지암 0.5km 갈림길 이정표>

<대흥사 전경>

 

대흥사에서 가을의 단풍을 마음껏 만끽해 보고 아스팔트길을 따라 대흥사 일주문으로 향하였다. 그렇게 이동을 하여 오도재 삼거리 1.4km/ 두륜 케이블카 2.3km, 해남유스호스텔 2.6km, 평활리 4.5km 갈림길 이정표를 지나 대흥사 1.5km. 봉동계곡 9.8km/ 두륜 케이블카 1.7km, 해남유스호스텔 2km 갈림길 이정표를 경유하여 대흥사 1.7km, 덕흥리 3.6km/ 두륜 케이블카 1.5km, 해남유스호스텔 1.8km 갈림길 이정표를 거쳐 두륜산 대흥사 일주문에서 오늘 산행을 마무리해 본다.(15:12)

<대흥사 단풍 전경>

<오도재 삼거리 1.4km/ 두륜 케이블카 2.3km, 해남유스호스텔 2.6km, 평활리 4.5km 갈림길 이정표>

<대흥사 1.5km. 봉동계곡 9.8km/ 두륜 케이블카 1.7km, 해남유스호스텔 2km 갈림길 이정표>

<대흥사 1.7km, 덕흥리 3.6km/ 두륜 케이블카 1.5km, 해남유스호스텔 1.8km 갈림길 이정표>

<두륜산 대흥사 일주문 전경>

오늘 산행이 안전한 산행이 될 수 있도록 리더해 주신 예의바른 신사 대장님께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산행 초께할 수 있는 산행이 되어 즐거웠던 산행이었습니다. 다음 산행 때 뵙겠습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