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CM3] 기초배우기

구체적인 트레이닝 방법 2 - 능력치별/포지션별 훈련방법, 스케줄짜기, 선수옮기기, 훈련은 어떻게 진행되나... [프리챌자료]

작성자FeelTheSoccer|작성시간06.10.08|조회수1,038 목록 댓글 0

1. 능력치별 트레이닝 방법

 

그냥 트레이닝에 들어가서 선수들을 각 트레이닝 칸으로 집어넣으면 됩니다.

CM시작할 때부터 디폴트로 맞춰져 있는 거라서...손댈게 별로 없을 겁니다.

 

능력치별 훈련을 시키려 할 때에는...그냥 각 트레이닝 칸으로 들어가서...

edit을 눌러보구선...트레이닝 강도가 어떻게 지정됐는지 정도 확인해 보면 됩니다.

그런 강도를 조정하는 게 트레이닝의 효과를 좌우하니까여.

(edit를 보는 방법은 아래 포지션별 트레이닝의 설명을 참고하세여...)

 

능력치별 훈련을 시킬때에는...보통...

골리들은 GK에 넣고...

수비수들은 General이나 Tactics에 넣고...

미드필더들과 공격수들은 Skills에 넣습니다.

 

 

 

2. 포지션별 트레이닝 방법

 

1) 포지션별 트레이닝 칸 만들기

 

  Schedule은 다른 트레이닝 방법이 저장된 파일을 불러오는 메뉴입니다.

  overview와 no training에선 안 나타납니다. 두 가지 칸은 꼭 있어야 하니까여.
  CM관련사이트 등에서 훈련스케줄 파일을 다운받은 후에는, CM폴더 내의 training폴더에 넣습니다. 

  각 트레이닝 칸에서 불어오면 됩니다.

 

  Edit는 각 트레이닝 칸으로 들어가면 있는데, 이게 젤 중요합니다.

  많은 분들이 이걸 못찾아서 헤매던데, 트레이닝에서 변화를 주거나 할 때에는 항상 여기를 이용하게 됩니다. 

 

  edit을 누르면 우선 칸의 이름을 바꿀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에선 general로 돼 있져. 그 이름을 바꾸고자 하는 이름으로 바꾸면 칸의 이름이 바뀝니다.

  (아래에선 예를 드느라 general을 들었는데...이왕이면 general은 바꾸지 마세여...필요한 칸입니다.)

  이름을 정했으면, 그담으로는 각 훈련의 강도를 정하게 됩니다.

  훈련에는 fitness, tactics, shooting, skills, goalkeeping의 5가지가 있는데...

  각각 None, Light, Medium, Intensive라는 훈련강도가 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none(효과없음, 하락), light(완만하락), medium(완만상승), intensive(상승)으로 보면 될 겁니다.

  좌에 있는 훈련강도는 전부 이 4가지의 앞 글자를 따서 쓴 겁니다.

 (ex. 골리의 훈련강도인 M-M-L-M-I 는...

     fitness부터 차례대로 Mdium - Medium- Light - Medium - Intensive로 지정하라는 겁니다.)

 

 

(각 트레이닝 칸으로 들어가서 Edit을 누르면, 위 그림과 같은 화면이 뜹니다.

  여기서 칸을 훈련하고자 하는 바대로 바꿔주면 되져. 위 그림은 general을 예시로 든 겁니다. )

 

edit에 있는 new positionnew side는 따로 트레이닝 각론에서 따로 설명할 겁니다.

 

 

2) 포지션별 훈련시 트레이닝의 강도 (스케줄짜기)

 

아래의 강도는 제가 현재하는 트레이닝 스케줄입니다.

이부분은 절대적인 기준이 없습니다. 제 경우와는 다른 스케줄들도 있으니 그냥 참고용으로만 보세여.^^

앞 글에서 설명한 훈련에 따른 능력치의 성장을 참고해서 보심되겠져.

 

훈련강도     fitness     tactics   shooting   skills   goalkeeper

칸 이름

  ↓

GK          -          M               M               L              M               I

D(F)      -          M               I                 L              M           L 또는 N

M           -          M               M               M               I            L 또는 N

DM         -          M                I                M               I           L 또는 N

AM         -          M                L               M               I            L 또는 N

F/SC    -           M               M                I               M           L 또는 N

 

Wing     -            I               M               M               I            L 또는 N

Youth   -            I               M               M               I            L 또는 N

                   또는  I                I                 I                I           

 

스케줄을 보면 알 수 있듯이..저는 현재 포지션별 훈련을 시키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Overview, No Training, General 외에...7개의 칸을 Youth만 빼고서 쓰고 있져.

저는 Youth 훈련을 따로 잘 시키지 않습니다. 그냥 포지션별로 보통 선수들과 같이 집어넣져.

또한 위의 스케줄을 보면....L이 많이 없는 편인데...

트레이닝을 시키다 보면...능력치가 하락하는 부분들이 나타납니다.

대부분의 경우에는...선수의 포지션과 상관없는 부분들이 하락하는 편인데...

(예를 들어..수비수에게서 finishing, off the ball 등이 하락하는 것처럼여...)

그럴 땐...shooting을 L에 두었다가 M으로 올려주곤 합니다.

다른 선수들도 비슷한 경우구여..

(즉, 떨어지는 능력치 부분이 나타나면...약하게 강도를 정한 부분...L로 한 부분이겠져.

 이런 부분을 M이상으로 올려줘 본 후에...대략 1달 이상 기다려 봅니다.

 그래도 변화가 없으면...general에도 넣어보면서 또 지켜봅니다...)

 

혹시 체력이 약한 선수들을 비시즌중에 별도로 훈련을 시키려 한다면.....아래의 스케줄을 이용합니다.

 

칸 이름

Fitness       I      L     L    M     L 또는N

 

 

또한 다중 포지션인 선수의 경우에는...트레이닝이 좀 애매합니다.^^;

(특히 예를들어....D/AM이나 M/SC 같이 비슷하지 않은 포지션이 중첩되는 선수의 경우에는....)

- 이런 선수들은 일단 주로 쓸 포지션을 생각해서...그에 맞는 트레이닝 칸에 넣어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혹시나 하락하는 능력치가 있다면...그 능력치를 보고서 스케줄을 조정해 주면 되구여.

- 불안하다면 그냥 general에 넣어둬도 별 지장은 없습니다.

 

 

Goalkepeer의 경우....의견이 두가지가 있습니다. 골리들이야 당연히 I로 하구여....

다른 선수들의 경우 goalkeeper부분을....

N으로 해도 된다는 견해와...

L로 해야 positioning이 감소하지 않는다란 견해가 있습니다.

(그래서 'L 또는 N'이라고 썼습니다.)

 뭐 제 경우엔 N으로 해도 별 문제는 없더군여. 그냥 참고해 보세여.

 

 

트레이닝 시키는 건....매니져 게임으로서 CM이 유저의 능력을 평가하는 부분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남이 만든 스케줄을 참고해서...자신만의 스케줄을 만드세여.

가장 잘 맞는 스케줄을 저장해 놓고서 트레이닝을 새로 시작할 떄마다 불러오면 아주 편하겠져.

 

훈련강도는 한 포지션에서 I를 두가지 넘게 지정하는건 바람직하지 않다고들 합니다.

그렇게 따지면...차라리 all I로 해버리는게 젤 좋을 테니까여.

여러가지 강도조정이 가능하다는건...다시말해...세밀하게 조정을 할 필요가 있다는 걸 뜻합니다.

 

 

3) 선수 옮기기

 

선수들을 옮길 떄에는...선수 이름을 클릭한 상태에서 드래그& 드롭으로 끌고가서 각 칸의 이름에 갖다 놓으면 자동으로 그칸으로 옮겨갑니다.

제대로 옮겨졌는지는 그 칸으로 직접 가보거나, 아님 선수 이름앞의 파란칸에 선수가 어느 칸에 있는지 나오기 때문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선수들이 새로 영입됐을 경우, 부상선수가 회복한 경우에는...

선수가 no training이나 general에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확인해 보구서...알맞은 칸으로 옮겨 줘야 하겠져.

단, 부상에서 회복한 선수는 바로 본래의 훈련칸으로 보내기 보다는 일단 제너럴에서 며칠 있게 하는 것도 좋습니다. 특히 부상을 잘 당하는 선수는여.

 

 

4) 트레이닝은 어떻게 진행된는가...

 

트레이닝을 지정해 놓고서...컨티뉴 게임을 눌러서 날짜를 보내면...

트레이닝은 알아서 됩니다.

 

알아서 된다고 해서 오해하면 안될것이...

트레이닝이 알아서 된다는게...반드시 능력치들이 전부다 상승한다는 뜻이 아닙니다.

여기서 알아서 된다는건...죽이 되든 밥이 되든...날짜를 보내야 트레이닝이 이뤄진다는 거져.^^@

이미 CM을 이런 게임이다라고 CM시작하기 강좌의 맨 첫글에서 설명했습니다.

CM에선 날짜가 가야지 어떤 결과가 나타난다구여.

 

단, 매니져가 go on holiday을 가면 트레이닝은 중단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