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답글

  • 논어 자로편 중
    자왈子曰
    군자화이부동 君子和而不同
    소인동이불화 小人同而不和.

    공자 해석
    군자는 남과 조화를 이루되 남에게 무조건 맞추기만 하지 않으나
    소인은 남과 어울림이 지나쳐 남에게 무조건 맞추기만 한다

    정약용의 풀이
    군자유동덕지인 君子有同德之人
    미상불이소친밀 未嘗不以心親密
    이불이세력상결 而不以勢力相結
    소인유력리지교 小人有勢利之交
    미상불립력수당 未嘗不竝力樹黨
    이불이심의상고 而不以心義相固

    군자는 덕을 함께 하는 사람이 있어
    항상 마음으로 친밀하게 지내기에
    세력으로 결탁하는 일이 없으나
    소인은 세력과 이익으로 사귀니
    언제나 힘으로 어울려 당파를 만들며
    마음과 의리로 친분을 굳게 하지 못한다

    정약용, <논어고금주>(1813년) 일부
    작성자 견환 작성시간 24.02.20

댓글 쓰기

메모 입력 폼
입력된 글자수0/600
+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