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연주회소식

2월 17일ㅣ이화클라비어 앙상블 제6회 정기연주회 '하나를 위한 음악회'

작성자음악교육신문|작성시간19.01.14|조회수31 목록 댓글 0


이화 클라비어 앙상블 제6회 정기연주회

하나를 위한 음악회

Ewha Clavier Ensembel과 함께 하는

3.1100주년기념 문화예술제

여성독립운동가 추모연주

 

일 시 : 2019217() 7:30PM

장 소 : 세종문화회관 체임버홀

주 최 : 이화클라비어앙상블, 한국피아노음악교육연구소

주 관 : 음악교육신문

후 원 :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동창회, 코스모스악기, 공익인권법재단 공감, 강서모커리한방병원

협 찬 : 공항리무진, 인천공항서비스주식회사, 왕음회_왕명숙교수제자연구회

금 액 : R50,000, S30,000, A20,000

문 의 : 음악교육신문 02-549-1131 www.musiced.co.kr

 

PROFILE

이화클라비어앙상블 소개

이화 클라비어 앙상블은 왕명숙 교수의 제자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이화의 피아노 앙상블로, 2016년 창단되었으며, 한국피아노음악교육연구소와 함께 학구적인 연구, 연주활동과 함께 재능기부연주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습니다. 단원들은 피아노 연주자로서. 또 교육자로서 활동하면서, 전문음악인들로서의 교류뿐만 아니라 문화예술패러다임에서 소외된 이들과의 소통과 화합에 관심을 갖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예술계를 넘어 사회와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과의 공감과 융합을 통해, 문화예술만이 추구하고 만들어 낼 수 있는 가치창조의 예술적 승화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이화 클라비어 앙상블은 음악가들의 음악가들을 위한 음악회를 넘어 사회와 사람들과 소통하고 나누고 함께하는 음악회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독주악기인 피아노의 특성을 넘어, 상대방의 소리와 마음, 뜻에 귀 기울이는 앙상블을 통해 서로 소통하고 공감하는 하나의 우리가 되어가는 아름다운 과정을 배우며, 사회속의 음악인으로서 지역사회와 사람들에게 더 가깝게 다가가려 합니다.

 

6회 정기연주회는 나라의 독립을 위한 3.1운동이 일어난 지 백년이 되는 2019년에, 삼일절 100주년을 기념하는 문화예술제로 진행됩니다. 독립운동가를 떠올리면 대부분 남성이고 대표적 여성인 유관순열사 정도입니다. 현재까지도 독립운동가들 중 여성독립운동가들은 많이 알려지지 않았는데 영화 암살의 실제인물인 남자현, 최초의 여성의병대장 윤희순, 임시정부에서 남성독립운동가들을 도운 조마리아(안중근의 어머니, 국채보상운동), 정정화, 광복군대원으로 활약한 이화림, 오광심,, 박차정, 2.8독립선언문을 쓰고 대한민국애국부인회를 만든 엘리트 항일운동가 김마리아, 간호사 독립운동단체인 간우회를 만든 박자혜(신채호의 아내)등 나라의 독립을 위한 뜨거운 열정과 용기로 직접적 활동을 하신 여성독립운동가들을 클래식음악을 통해 재조명하고 그 뜻과 영혼을 기리는 의미있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자랑스러운 그들을 우리 가슴에 품으려 합니다. 알려지지 못하고 잠들어있는 많은 여성독립운동가들께 이 문화예술제를 통해 클래식음악으로 마음의 훈장을 보냅니다.

 

네 손이 하나 되어 두 대의 피아노로 연주하는 1부에서, 두 대의 피아노에서 많은 연주자들이 12개의 손들로 한 마음이 되어 연주하는 2부까지 클래식 음악계에서 국민주의 악파 등 민족주의 색채와 애국의 마음을 표현한 작곡가들과 작품들을 중심으로 아름다운 피아노 앙상블의 하모니를 통해, 대한민국 국민들의 정서와 한국을 대표하는 민요인 아리랑을 통해 연주자들과 관객 모두가 한마음이 되는 하나를 위한 음악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서울의 대표적 문화예술기관인 세종문화회관에서 여성독립운동가들을 재조명하고 알리는 뜻 깊은 문화예술제를 할 수 있도록 함께 하게 해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드리고, 광화문이라는 뜻깊은 장소에서, 모든 국민이 하나가 되었던 광화문에서, 음악을 통해, 이 문화예술제를 통해 하나로 공감되는 시간이 되길 진심으로 희망합니다. 끝으로, 문화예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끌어 갈 이화 클라비어 앙상블에 아낌없는 관심과 후원, 지속적 응원을 부탁드립니다.

 

 

이화클라비어앙상블 단원 l 김예은, 서수현, 이자람, 장효인, 전유진, 최수지

 

PROGRAM

S. Rachmaninoff

(18731943)

[추념곡]

 

 

Vocalise, Op. 34, No. 14

for Flute, Contrabass & Piano

 

 

Fl 박현숙

C. Bass 송성진

Pf 왕명숙

F. Chopin

(1810-1849)

Etude Op. 10, No. 12, ‘Revolutionary, 혁명

 

 

 

F. Chopin

(1810-1849)

Rondo in C Major, Op. 73 for 2 Pianos 4 Hands

 

김예은최수지

 

C. Saint-Saëns

(1873-1943)

 

Dance Macabre, Op. 40, 죽음의 무도

for 2 Pinos 4 Hands

 

 

서수헌장효인

 

 

M. Infante

(18411904)

Danses Andalouses for 2 Pianos 4 Hands

. Ritmo . Gracia

전유진이자람

 

I N T E R M I S S I O N

B. Smetana

(18241884)

Má Vlast 나의 조국

Die Moldau, 몰다우 for 2 Pianos 8 Hands

왕명숙장효인

서수헌최수지

J. Sibelius

(18651957)

Finlandia, 핀란디아 for 2 Pianos 8 Hands

 

왕명숙김예은

이자람전유진

아리랑

김수아 편곡

(b. 1992)

Arirang for 2 Pianos 12 Hands

 

 

이화클라비어앙상블

왕명숙전유진이자람

장효인서수헌김예은

최수지()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