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고의 보물 쑥 이야기

작성자녹림처사|작성시간23.03.26|조회수429 목록 댓글 2

◐ 지고의 보물 쑥 이야기 ◑

 

어느덧 꽃피고 새우는 성춘(盛春)이 되었어요

봄에는 어느 산야(山野)에서나 흔히 볼수 있는것이 쑥이지요

쑥은 아무데서나 쑥쑥 자란다고 해서 "쑥"이란 이름이 붙여졌다 하는데

전세계 많은 나라에서 자생하고 있지만 유독 우리나라와 중국에서만

이를 식약용으로 사용할수 있다 하니 큰 행운이 아닐수 없어요

 

쑥은 식물중 생명력이 가장 강할뿐만 아니라 번식력 또한 가장 왕성하여

일단 뿌리를 내리면 1년안에 이른바 "쑥대밭"을 만든다 하지요

그 이유는 다른 식물들은 거의 벌과 나비가 수정하는 충매화(蟲媒花)인데 비해

유독 쑥 만큼은 바람으로 수정하는 풍매화(風媒花) 인지라 언제 어디서든 바람만 불면

수정할수 있어 사막에서도 자생할 정도로 그 번식력과 생명력이 끈질기다 하지요

 

그래서 그런지 1945년 원자폭탄이 투하된 히로시마에서 그 황폐된 땅에 가장 먼저

싹을 티운 식물이 쑥이었다 하니 그 얼마나 생명력이 강한 식물인지 짐작이 가지요

그렇게 생명력이 강한 식물이라 그런지 옛날부터 수많은 약재로 사용되었고

그 효능 또한 탁월하여 지금은 동서양 어디서나 그 쑥을 "의초(醫草)라 부르고 있어요

 

쑥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크게 나누면 참쑥,물쑥, 산쑥,제비쑥,사철쑥으로

나뉘는데 나무처럼 생긴 "더워지기쑥"도 있다 하지요

전세계에는 250여종의 쑥이 있다 하는데 식약용으로 사용할수 있는 쑥은 15종에 불과하며

그중 우리나라 쑥이 전세계에서 으뜸이라 하네요

우리나라에서 보통 국거리나 떡 거리로 사용되는 쑥을 참쑥이라 하는데

이 참쑥 뒷부분에 나 있는 흰털로 도장 찍을때 사용되는 인주(印朱)를 만든다고 하지요

 

그런데 사람들은 쑥 하면 인진쑥을 떠올리고 있지요

그러면서 인진쑥이 어느고을 어느 고장에서 생산되는 특별한 품종으로 알고 있어요

그러나 그것은 잘못 알고 있는 것이지요

보통 약재로 사용되는 쑥을 "인진(茵蔯)"또는 "애엽(艾葉)이라 하고

이중 사철쑥을 "면인진" 더워지기 쑥을 "한인진"이라 하지요

또 애엽은 강화에서 생산되는 싸주아리쑥과 사자발쑥을 말린것을 말하며

주로 몸을 따뜻하게 하는 약재로 사용되며 특히 뜸을 뜰때 사용되고 있어요

흔히 한방에서는 보통 일침이구삼약(一鍼 二灸 三藥)이라햐여

침이 으뜸이고 다음이 뜸이요 마지막이 약이라 하지요

그래서 뜸을 뜰때는 애엽을 많이 사용하고 있어요

 

옛날 중국의 어느지방에서

얼굴색은 마치 생강같이 노랗고, 눈은 쑥 들어가고, 삐쩍마른 한 병자가 있었어요

그가 지팡이를 짚은채로 힘겨운 걸음을 옮겨 명의 화타(華佗)를 찾아 갔지요

"의원님 제 병을 좀 고쳐주세요"

화타가 보니 그가 황달에 걸려 있는것을 금방 알수 있었어요

그때는 황달이 불치의 병으로 치료하는 의원은 한분도 없었지요

"저도 황달은 어쩔 도리가 없군요"

병자는 천하의 명의 화타마져도 치료하지 못한다는 말을 듣고 

크게 낙담하며 무거운 발걸음을 돌렸어요

이젠 죽기만을 기다는 일 밖에는 아무런 방도가 없었지요

집으로 돌아와 죽을날만 기다리던 병자는 가세가 점점 기울자 먹을 양식마저 떨어 졌어요

그러나 질기디 질긴것이 사람목숨인지라 죽으려 해도 죽지못해 초근목피로 연명하며

그렇게 반년을 살아 있었지요

 

그런데 어느날 명의 화타가 그곳을 지나다가 우연히 황달에 걸려있던 병자를 만났어요

화타는 깜짝 놀랐지요

벌써 죽었어야 할 병자 였는데 오히려 얼굴색이 전보다 좋아 졌으며

황달병도 거의 치료된것 같았어요

"당신의 병을 어느 의원이 치료 했읍니까?

 저에게도 알려 주십시오

 제가 그 의원에게 가서 의술을 더 배워야 하겠읍니다 "

"무슨 말씀을 하시는지요?

 저는 의원님을 뵌 이후로 그 어떤 의원에게도 찾아간 적이 없읍니다"

그러자 화타는 믿지 못하겠다는 얼굴로 다시 물었어요

"그러면 어떤 약을 먹었읍니까?"

"저는 죽기만을 기다리며 아무런 약도 먹지 않았읍니다"

"참으로 이상한 일이군요

 아무런 약도 먹지 않았는데 불치의 병 황달이 이토록 치료가 되다니 ..."

화타는 머리를 갸웃거리며 깊이 생각 했어요

"그러면 그동안 무얼먹고 지냈나요?"

그러자 병자가 말을 했어요

"초봄에 양식이 떨어져 산에 있는 풀을 뜯어먹고 살았어요"

그러자 화타는 무릎을 딱 치며

"맞아 바로 그거였군요!!"

 풀에는 약의 성분이 들어 있어서 당신도 모르는 사이에 병이 치료된 것이오

 저에게 그 풀을 알려 주시겠읍니까?

 어떤 풀을 먹었는지? 또 얼마나 먹었는지?"

"이름은 잘 모르지만 산에 있는 풀을 한달 가까이 먹었읍니다"

 

화타는 병자가 도대체 어떤풀을 먹었는지 알고싶어 그와 함께 산에 올랐어요

병자은 산허리쯤 올라가 양지비른 곳에 돋아난 풀을 가리켰지요

그런데 병자가 카리킨 풀은 다름아닌 흔하디 흔한 이었어요

그러면서 화타는 속으로 중얼거렸지요

'이것은 쑥이 아닌가? 이것이 황달을 치료하는 약제란 말인가?

 그럼 이 쑥을 뜯어다 한번 시험을 해보자!!'

 

화타는 병자가 가리킨 쑥을 한아름 뜯어와 황달에 걸린 환자에게 복용케 했어요

그러나 한달을 복용시켰지만 황달에 걸린 환자들은 아무런 차도가 없었지요

화타는 예의 황달병 환자가 약초를 잘못 알려준것이 아닌가 싶어 그를 다시 찾아 갔어요

"당신이 정말 이 풀을 먹었읍니까?"

"네 맞아요

 바로 이 풀이에요

 틀림 없어요!!"

그 병자는 확신했지요 화타는 잠시 생각하다가 다시 물었어요

"당신이 언제 이 쑥을 먹었나요?"

"그러니까 음력 3월경쯤 될꺼에요 그때 양식이 떨어졌으니까요!!"

그러자 화타는 속으로 중얼거렸어요

'맞아 바로 이거였어

 춘삼월에는 만물이 생기를 충만하게 받지

 맞아!! 춘삼월 쑥이 약효가 있는거야 !!'

 

이듬해 봄이되어 춘삼월이 왔을때 화타는 그 풀을 뜯어다 황달 환자에게 다시 복용시켰어요

이번에는 효과가 아주 좋았지요

실험을 한 환자들은 점점 병이 호전되고 있었어요

이때 화타는'춘삼월이 지난 쑥은 아무런 효과가 없다는 것'을 알아냈지요

화타는 쑥의 효능을 알아내기 위하여 매년 실험을 했어요

달마다 채집한 쑥의 뿌리,줄기, 잎을 구분하여 보관하고 환자에 복용시켰지요

마침내 춘삼월 새싹의 잎과 줄기에서 황달에 효능이 탁월하다는것을 알아냈어요

 

그래서 화타는 '황달이 치료되지 않는것은 오래된  쑥으로 인한 것이다'라는 의미로

'이유나 원인'을 뜻하는 "인(因)"과 베푼다는 것을 뜻하는 "진(陳)"을 합해 인진(因陳)으로 했다가

다시 인진(因陳) 에 풀초 변(艹)을 붙여 인진(茵蔯)으로 이름을 지어

사람들로 하여금 쑥은 구분하여 써야됨을 일깨워 주었다고 하지요

그러면서 화타는 이런 시를 남겼어요

 

삼월적봉규인진(三月的蓬叫茵蔯)
사월생적지시봉(四月生的只是蓬)
희망후인요뢰기(希望後人要牢記)
삼월적인진능치병(三月的茵蔯能治病)
사월적봉지능당시소(四月的蓬只能當柴燒)


삼월의 쑥은 인진이라 부르고,
사월의 생긴 것은 쑥이다.
후세 사람들은 꼭 기억하길 바란다.
삼월의 인진은 병을 치료하지만,
사월의 쑥은 단지 불쏘시개감이다

 

위에서 본바와 같이 인진쑥은 품종이 아니고 춘삼월에 채취한 쑥을 말함인데

채취하는 쑥중 대표적인 쑥이 사찰쑥과 더워지기 쑥이며 댕강쑥, 생당쑥도 있어요

사철쑥은 겨울에도 줄기가 죽지않고 사철 살아있다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더워지기 쑥은 무더운 여름철에 더위를 이기게 해준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지요

 

보통 약제로 쓰이는 쑥은 인진 또는 애엽이라는 약명으로 쓰이는데

이중에서 인진(茵蔯)은 면인진(사철쑥)과 한인진(더워지기쑥)으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인진의 온포기를 말린것을 '인진호'라 부르고 있어요

또 면인진은 사철쑥 대신 비쑥을 사용하기도 하지요

 

 애엽(쑥의잎) 이라는 것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약쑥(싸주아리,사자발쑥)의 잎을 말린것인데

같은 쑥인데도 인진과 애엽을 따로 구분하는 것은 그 성질이 정반대이기 때문이지요

애엽의 성질은 따뜻하여 아랫배가 차갑고 생리가 고르지 못한 경우 코피,토혈,자궁출혈 등의

지혈과 통증억제 특히 뜸 용으로 많이 쓰이며

인진은 성질이 차가워 간질환이나 황달, 소화기계통 등을 다스리는데 주로 사용되지요

 

쑥은 남자들 보다는 여자들에게 좋은 약제 이지요

말린 쑥을 헝겁주머니에 넣어 한번 삶아서 울어나온 진한즙을 목욕물에 타서 목욕을 하면

피부가 매끈해지고 탱탱해지며 항균소염작용이 있어 습진, 피부트러불, 알르레기를 치료해주고

경락과 자궁을 따뜻하게 해주어 냉증이나 생리불순,갱년기 장애증후군을 치료하는데

탁월한 효능이 있다고 하지요

특히 몸이 찬 사람이 이물에 지속적으로 목욕을 하면 기초체온이 올라가고

또 감기에 걸렸을때 약쑥 목욕을 하면 즉각적인 효험이 있다고 하지요

 

우리나라 에서는 강화쑥을 제일로 치는데 사계절이 뚜렸하고 염분이 섞인 바다바람과 바다안개를 

먹고자란 쑥이라 좋으며 섬지방이라 여러 잡종과 교접되지 않은 순수 자생종이라 더 없이 좋다 하지요

강화쑥에는 '싸주아리쑥'과 '사자발쑥'이 있는데

싸주아리쑥은 약쑥으로 향이 높고 잎 뒷면이 희고 새의 날개모양으로 생겼다고 하지요

사자발쑥 또한 약쑥으로 사용되며 마치 사자발바닥 처럼 생겼다고 하여 사자발쑥이라 하는데

이 두종류의 쑥의 효능에는 별반 차이가 없이 모두 좋다고 하지요

강화 약쑥은 단오때 채취하여 바닷바람이 통하는 그늘에 꺼꾸로 매달아 3년간 말리면

그윽한 박하향이 나는데 7년묵은 오래된 병을 3년묵은 강화쑥으로 다스린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그 효능이 탁월하다 하네요

 

쑥에는 단백질, 식이섬유,비타민,미네랄 등이 많이 들어 있고 특히 비타민A와 비타민C가 많아

감기 예방과 치료, 노화방지에 탁월하며 특히 고혈압 환자에 좋은 칼륨도 많이 들어 있다하니

이 새봄에 많이 채취하여 복용해 보는것도 좋을듯 하네요

 

쑥을 식용으로 먹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쑥튀김,쑥밥,쑥된장국,쑥떡,쑥차,쑥생즙등이 있으며 쑥을 태워 가루로 먹거나 바르기도 하는데

쑥에는 신경을 마비시키는 환각성 독이 있다고 하니 

요즘같은 봄나물은 괜찮지만 다 자란 쑥을 식용으로 할때는 

먹기전에 삶아서 하룻밤 울거낸후 먹으면 탈이 없다 하네요

 

1. 쑥은 체질개선에 좋아요

쑥은 알카리성 식품으로 산성화된 체질을 중화시켜주는 효과가 있다고 하지요

우리몸이 산성체질이 되면 제일먼저 혈관질환이나 성인병,관절염등이 생길수 있어요

쑥처럼 알카리성 식품을 섭취하므로서 밸런스를 맞추어 주는것이 우리몸에 좋아요

 

2. 쑥은 피를 맑게 해 주지요

쑥은 피를 맑게 해주는 정혈작용을 하므로 형액순환에 도뭄이 되지요

 

3. 쑥은 피부재생이나 노화방지에 탁월하다 하네요

쑥에는 비타민A와 비타민C가 풍부하여 피부노화방지와 피부 재생효과에 탁월하다 하지요

 

4. 쑥은 장을 튼튼하게 하지요

쑥은 대장의 수분을 조절해주고 많은 식이섬유가 들어 있어서 장운동과 점액분비를 도와

변을 부드럽게 만들어 주지요 특히 변비에 탁월하다 하네요

 

5. 쑥은 다이어트에 매우 좋아요

쑥은 지방 대사를 도와주기 때문에 다이어트에 탁월하다 하지요

2~3개월간 쑥즙을 꾸준히 마시면 우선적으로 자기 자신도 모르게 몸무게가 현저하게 내려간다 하네요

 

6. 쑥은 간에 아주 좋아요

쑥에는 간기능을 도와주고 활성화시켜주는 영양소와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하여

간을 보호해주고 음주후 숙취제거에 탁월하다 하네요

 

7. 쑥은 여성에게 아주 좋은 음식이지요

쑥은 특히 여성들에게 좋은 음식인데 '본초각목'에서 이르기를 쑥은 성질이 따뜻해

허한성월경통, 월경부조, 복통 등에 탁월한 효험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지요

 

아무튼 우리 옛조상들은 음력 3월삼짓날(음3월3일)이 오면 부드러운 쑥잎을 따서

쌀가루에 버므려 쩌서 먹었으며  단오날(음5월5일)에는 쑥떡을 해서 먹었다 하지요

지고의 보물이라 일컷는 쑥의 비험(秘驗)을 이번 봄에는 꼭 몸소체험해 보시기 바래요

 

-* 언제나 변함없는 녹림처사(一松) *-

▲ 사철 쑥을 채취한 인진 쑥 ...

▲ 사철 쑥 ...

▲ 더워지기 쑥 ...

▲ 참 쑥 ...

▲ 강화 싸주아리 쑥 ...

▲ 강화 사자발 쑥 ...

▲ 3년간 그늘에서 말린 강화 약쑥 ...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자두나무 | 작성시간 23.03.27 유익한글 감사히
    보고 갑니다
    건강하십시요 ~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녹림처사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3.03.31 그래요 고마워요
    수많은 약초중에 쑥 보다 좋은것은 없다 하지요 ~~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