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산지석과 반면교사

작성자녹림처사|작성시간23.07.31|조회수501 목록 댓글 2

◈ 타산지석(他山之石)과 반면교사(反面敎師) ◈

 

타산지석(他山之石)이란 말이 있어요

또 반면교사(反面敎師)란 말도 있지요

이 타산지석(他山之石)과 반면교사(反面敎師)는

생활 속에서 자주 사용하는 사자성어 이지요

얼핏 비슷한 뜻이어서 혼동되기도 하는데

같은 뜻으로 알고 있기도 하고, 또 좋은 일을 본받는 데는 타산지석,

안 좋은 일일 경우에는 반면교사를 사용하는 것으로 생각하기도 하지요

어떤게 맞을까요?

 

타산지석은 시경(詩經) 소아편 학명(鶴鳴)에서 비롯되었지요

여기에 ‘다른 산의 돌이라도(他山之石:타산지석)

이로써 옥을 갈 수 있네(可以攻玉:가이공옥)’라는 구절이 있어요

돌을 소인(小人)에, 옥을 군자(君子)에 비유한 것인데

군자도 수양과 학덕을 쌓는데 소인으로부터 배울 점이 있다는 뜻이지요

 

다른 이의 하찮은 언행이나 자신과 상관없는 것이라도

자신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뜻이지요

이후 어떤 사건이나 사례를 자신에게 도움이 되게끔

교훈으로 삼자는 뜻으로 통용되고 있어요

 

그런데 20세기 들어 신조어인 ‘반면교사’가 등장하면서

‘타산지석’을 대신해 사용되는 경우가 늘어났지요

‘반면교사’는 중국의 마오쩌둥이 1957년 중국공산당 간부들 앞에서

제국주의자와 반동파, 수정주의자를 가리키며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고 말한데서 유래했어요

이후 안 좋은 사례에서 가르침을 받아 자신에 도움이 되도록 하자는

뜻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지요

 

이처럼 ‘타산지석’이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자신에게 좋게 교훈을 얻는 뜻으로 오랫동안 사용돼 오다가

‘반면교사’가 등장하면서 일부 역할분담이 이뤄지고 있어요

 

그러니까 주로 사례가 좋은 경우일 때면 “타산지석으로 삼자”,

부정적인 것일 때는 “나는 저렇게 안 되어야지” 라는 뜻으로

‘반면교사’가 사용되고 있지요

 

그러니끼 주로 좋은 일을 본받을 땐 ‘타산지석(他山之石)’

“나는 저렇게 되지 말아야지” 할때는 '반면교사(反面敎師)'를 사용하는 거지요

 

이순신 장군이 명량해전에서 12척의 배로 왜적 133척을 물리친 것은

전쟁에 미리 대비한 유비무환의 정신과 철저한 현장탐방을 통해

지형지물과 조류 등을 연구해 전략에 활용한 결과이지요

우리는 많은 분야에서 이순신의 사례를 '타산지석'으로 삼아야하는 이유이지요

그런데 이것을 ‘반면교사’로 삼겠다고 한다면 적절하지 못하지요

단, 일본측에서는 ‘반면교사’로 삼을 수 있는 것이지요

 

-* 언제나 변함없는 녹림처사(一松) *-

 

▲ 전남 해남 우수영과 진도 사이의 해역인 울돌목에서 과거 판옥선처럼 꾸민 선박이

포연이 가득한 가운데 명량해전 당시를 재연하고 있어요

>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박서연(수필 작가) | 작성시간 23.07.31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녹림처사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3.08.03 그래요 고마워요
    타산지석과 반면교사는 그 뜻이 비슷하지만
    쓰임새는 다르지요 ~~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