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 과학교육론

[과학교육론]유비추리와 귀추법의 구분

작성자유니브|작성시간23.07.19|조회수496 목록 댓글 2

저는 ㄱ에 사용된 과학적 사고가 유비추리라고 생각했었는데요. 서로 다른 두 대상의 유사성을 근거로 해서 특수한 예에 관한 전제로부터 다른 특수한 예에 관한 결론을 이끌어낸다고 해서 유추가 맞지 않나 해서 귀납적 사고가 아닌가 했는데 귀추적 사고를 답으로 많이 제시하셔서...

왜 답이 유비추리보다는 귀추법인지 혹 설명해주실 수 있는 쌤 계실까요? ㅠㅠ
유비추리는 속성에 관한 이야기이고 귀추법은 원인에 관한 과정이라서인가요?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뿌꺄 | 작성시간 23.07.19 저도 처음 공부할 때 같은 고민을 했었어요. 기출문제를 많이 풀어보니 귀납의 유비추론에 해당되는 문제는 아직 한번도 출제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생각을 안하셔도도 되는 문제이고, 굳이 언급을 하자면

    유비추론은 귀납의 한 방법으로서 두 대상의 수많은 공통점이 존재할 때 다른 특성도 같을 것이라고 귀납적으로 추론합니다.

    귀추는 어떠한 현상을 설명하기위해 그와 유사한 원인적 설명자를 가져오죠.

    제가 설명한 내용을 잘 읽어보시고 위 사례를 보시면 어떤 뉘앙스 차이인지 느낌이 오실 것입니다.

    일본과 칠레 지형의 수많은 유사성을 근거로 두 대상이 같다 라고 결론짓고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점도 같을거라고 결정짓는 것이 유비추론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위 사례는 한가지 지형적 유사성을 가진 일본의 특성을 보고 칠레도 그렇지 않겠어? 라고 말했죠. ㄱ에 보면 잠정적인 설명이라는 단어도 대놓고 제시되어 있습니다.

    귀납은 보통 일반적인 추론, 서술적 추리 등 등의 워딩이 등장해요.

    뉘앙스를 잘 보셔야할 것 같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유니브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3.07.21 선생님 너무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덕분에 수월하게 이해할 수 있었어요. 유추가 기출에 등장한 적이 없는지 몰랐네요... ㅎㅎㅎ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