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 생물:MD·PEET

[MD]2022 MD 30번 : CREB, 웨스턴블롯, EMSA

작성자홍장군고양이|작성시간21.08.30|조회수1,550 목록 댓글 2

------------------------------------------
1. 글 제목 규칙
년도 시험명 번호 : 주제
예) 2015 MD 2번 : 삼투압

2. 공지 목록 확인하기
http://cafe.daum.net/S2000/9ffG/58
이미 풀이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기

3. 답변자님께 감사의 댓글 남기기
답변 받고 글 지우기 않기
------------------------------------------

 

 

30번.
웨스턴블롯 결과부터 해석하자. 
X만 존재하는 조건에서 유일하게 인산화된 CREB가 검출되었다. 
X가 CREB의 인산화를 촉진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X와 Y가 함께 있는 조건에서는 인산화된 CREB가 검출되지 않았다. 
Y에 의해 CREB 인산화가 방해를 받은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EMSA 결과를 해석하자. 
X만 존재하는 조건에서 32P-CRE는 대부분 CREB와 결합한 상태이다. 
그 외의 조건에서는 CRE와 CREB가 대부분 결합하지 못한 상태이다. 

루시퍼레이스 ORF 발현 결과를 해석하자. 
CRE와 루시퍼레이스 ORF가 연결되어 있다. 
루시퍼레이스가 발현된다면 CRE와 CREB가 상호작용을 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ㄱ. Y가 존재하면 X에 의한 효과가 무효화된다. O 
ㄴ. 인산화된 CREB가 있는 조건(X만 첨가한 조건)에서 CRE+CREB 밴드의 두께가 더 두껍다. O 
ㄷ. X만 첨가한 조건에서 루시퍼레이스의 발현량이 크게 높아졌으므로 CREB의 인산화가 전사활성에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O 

답 : 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임용공부햄 | 작성시간 21.09.26 CREB의 인산화가 루시퍼레이스의 발현을 높이는 것은 맞으나 CREB의 전사를 높인다는 근거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제 생각에서는 인산화된 CREB는 CRE에 결합, 해당 프로모터에 존재하는 단백질(위 실험에서는 루시퍼레이즈)의 전사를 촉진시킨다.로 해석을 했습니다.

    CREB의 인산화가 CREB의 전사에 필요하다면, CREB의 인산화 유무와 CREB의 밴드 굵기에서 차이가 났어야했다고 생각을 해서 ㄷ.을 틀린 보기로 생각했었거든요 ㅠㅠ
  • 답댓글 작성자황생물 | 작성시간 21.10.09 ㄷ보기의 CREB의 전사 활성이란 말은 CREB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전사를 촉진한다는 말이 아닙니다. CREB가 가진 전사 활성, 즉 CREB가 프로모터에서 다른 유전자의 전사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CREB가 인산화 되었을 때 루시퍼레이스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통해 CREB가 CRE에 결합하여 유전자의 전사를 촉진한다고 알 수 있습니다. 즉 인산화는 CREB의 전사 활성에 필요하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