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2023 pt 19번

작성자흑호| 작성시간23.08.13| 조회수0| 댓글 6

댓글 리스트

  • 작성자 쑥인절미 작성시간23.08.13 틀릴 수도 있지만 제 해석은 이런식이었어요
    y축이 적응도라는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방향성 선택은 한 쪽 극단의 표현형 개체가 선호되는 상황이라서 x축이 형질이고 y축이 적응도라면 대각선으로 그어지는 선형그래프가 적절할 것 같아요
    (가)는 제 그림 속 ㄱ이라는 형질이 제일 적응도가 높고 그 좌우에 있는 형질은 점점 적응도가 낮기 때문에 안정성 선택이 아닌가 싶습니다..! 중간 표현형을 선호하고 양쪽은 제거하기 때문에 위로 볼록한 그래프인 것 같아요
    위로 볼록한 부분이 왼쪽으로 치우쳐져있어서 방향성이랑 헷갈리는 것 같습니다ㅠ 볼록한 부분이 어디 있든간에 위로 볼록한 모양이라는게 중요한 것 같아요
    ㄴ 보기는 오염 후(실선 그래프)만 보면 되는데 a는 내성이 약한 개체고 b는 내성이 강한 개체니까 b가 더 적응도가 높은 게 아닐까요...! b가 개체수가 더 많은것도 적응도가 높으니 개체수가 많은 것이겠구요
    ㄷ은 저도 암기해서 푼 내용이라 지식형 보기라고 생각했습니다...!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 흑호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3.08.13 정말 빠른 답변 감사합니다!! 답지가 없어서 어떡하나 했는데 덕분에 참고할 수 있을것같아요~ 천천히 정독하도록 할게요! 😄
  • 답댓글 작성자 랑연 작성시간23.09.27 맞는 것 같아요!!! y 축이 적응도 일 때 y=ax^2+b 형태(볼록) 면 안정성 선택, y=ax+b 형태(직선) 면 방향성 선택, y=-ax^2+b 형태(움푹) 면 분단성 선택 같습니다. 채점하면서 이게 왜 방향성이 아니지.. 싶었는데 선생님의 명쾌한 설명 덕에 해결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작성자 Securin 작성시간23.08.13 방향성 선택은 표현형 분포 범위 안에서 한 쪽 극단에 있는 표현형의 개체들이 선호될 경우 발생합니다.
    그리하여 표현형 특징들에 관한 빈도곡선을 한쪽 또는 반대쪽으로 이동시킵니다.
    (가)는 동물 X의 부리 크기에 따른 적응도를 나타낸 것이므로 자연선택의 유형 중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습니다. 자연선택 전 기존의 적응도가 어떠한지 정보가 제시되어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저는 이렇게 해석해서 풀었습니다!
  • 작성자 흑호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3.08.13 모두 감사합니다!
    y축을 개체수라고 착각하고 풀었네요ㅜ 덕분에 한번 더 확인하고 넘어갔습니다
  • 작성자 hemoglobin 작성시간23.08.23 ㄷ은 자연선택설로 생각하면 되세요 변이로 인해 더 잘 적응한 개체가 살아남아 적응도도 높고 개체수도 더 많아졌습니다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