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태양 광구 H- 연속흡수 (천천서 257p)

작성자최강한화| 작성시간24.03.27| 조회수0| 댓글 10

댓글 리스트

  • 작성자 SNbega 작성시간24.03.27 흑체가 될려면 불투명도가 높아야하고,
    불투명도 높이는 애들이 태양에서는 수소들입니다. 수소애들이 흑체복사를 만드는 놈들입니다. 빛을 흡수하는 방식이 자유자유 천이 이런 것들이고, 다양한 파장대에서 다른 방식으로 흡수합니다.
    종합하면 수소가 흑체복사에 가까운 빛을 방출하구요, 실제 흑체랑 그래프가 다른 이유는 그냥 완벽한 흑체가 아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일단 기억나는대로 적었으니 틀릴수도 있으나 아니라면 추후 수정하겠습니다. 확실한거는 연속복사를 우리가 흑체성질이라고 인식하고 있고, 어느 파장대의 연속복사를 방출하는 소스는 수소같은 특정 원자들입니다.
  • 답댓글 작성자 최강한화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4.03.29 선생님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아래 답변까지 읽어봤는데요! 그럼 이 설명이 맞을까요?

    광구의 수소가 자유자유, 속박자유 천이로 태양 안쪽에서 오는 빛을 흡수한다. 불투명도가 높아져서 안쪽의 빛에 의한 스펙트럼은 관측하지 못한다.

    대신 수소가 흑체 성질의 빛을 재방출하여 연속 스펙트럼이 나타나긴한다. 완벽한 흑체가 아니라 플랑크곡선과 조금 다르다.

    잘 이해한걸까요..? ㅠㅠ
  • 답댓글 작성자 SNbega 작성시간24.03.29 최강한화 맞습니다. 실제로 어떤 불투명도가 높은 층에서 빛을 흡수 후 방출하면 그 층을 우리가 보게 되는 것입니다.

    불투명도 그래프 때문에 헷갈리실텐데, 불투명도를 평균하고 계산한 복사세기가 흑체복사로 정의되고, 평균불투명도보다 크거나 작은 불투명도 보이는 특정 파장에 대해서는 흑체세기보다 강하거나 약하게 세기가 찍힙니다.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 SNbega 작성시간24.03.29 최강한화 근적외선, 가시광 영역에서 그런 작용으로 흑체에 가깝게 나타납니다.
  • 답댓글 작성자 최강한화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4.04.03 SNbega 설명 정말정말 감사드립니다!!! ㅠㅠ
  • 작성자 갈맥잉 작성시간24.03.28 와! 저도 이 부분이 궁금해서 질문쓰려고 들어욌다가 글을 보게되었는데요. 저는 처음에는 1번처럼 연속흡수스펙트럼이 ‘광구의 복사 + H-이온의 연속흡수’로 인해 만들어진다고 이해를 했는데 뒤에 프라운호퍼 흡수스펙트럼 설명을 보면(259쪽 왼쪽 두번째줄) ‘태양의 연속스펙트럼은 H-이온의 희박한 가스가 만드는 것’이라는 설명이 있어서 2번처럼 이해하는게 맞나보다 했어요. 위에 댓글 달아주신 선생님께서 이야기하신 부분도 2번 설명과 일치하는 것 같은데.. 제가 잘 이해한건지 저도 궁금하네용…ㅎㅎ
  • 답댓글 작성자 SNbega 작성시간24.03.28 자유자유, 속박ㅡ자유 등에 의한 방식으로 빛들을 재방출하게 되고, 이런 빛들이 흑체복사에 가까운 형태로 파장ㅡ세기 그래프를 완성하게 됩니다.
    천천서 맥락은 이겁니다. 빛이 흑체형태에 가까운 그래프로 나타난다 따라서 태양 내부는 밀도가 높은 소스가 필요하다. (흑체조건이 불투명도가 높은 층,물질덩이 입니다)
    이 소스가 수소 음이온이고, 수소가 불투명도를 유발하는 방식이 자유자유,속박자유. 그래서 재방출된 빛이 흑체 성질입니다. 이것들의 태양 내부에서의 방출위치가 광구층입니다.

    동시에 완벽한 흑체 그래프가 아닌 이유는 재방출된 빛들이 특정파장에서 불투명도 차이에 의해 세기가 더 감소하게되는 형태로 도착하기도 하고(흡수선 형성), 완벽한 흑체조건이 아니라서 특정파장에서 도착하는 세기가 흑체복사 세기랑 다를 수도 있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 스트레스 작성시간24.04.09 SNbega 선생님 질문이 있어서 댓글 남겨요...
    수소음이온이 태양중심의 연속복사를 연속흡수하고 다시 재방출하여 광구의 연속복사가 생긴다는것은 이해했는데요.
    광구의 가스밀도가 복사를 불투명하게 만들 정도로 크지 못하여 거의 흑체의 연속복사를 방출한다는건 무슨 뜻인가요?
    광구의 가스밀도가 크지 못하면 연속흡수가 잘 안되어서 재방출도 적어지니까 흑체의 연속복사와 크게 달라지는것 아닌가요?ㅜㅜ
  • 답댓글 작성자 SNbega 작성시간24.04.09 스트레스 1.밀도값은 흑체를 형성하기에는 작다. (밀도에 의한 불투명도 작음.)
    2. 하지만 수소음이온이 불투명도 값을 높임.
    요런 의미입니다
  • 답댓글 작성자 스트레스 작성시간24.04.09 SNbega 아 이해했습니다! 답변 감사해요!!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