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고종실록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고종실록(8권8년)

작성자山房山(榮國)|작성시간09.12.14|조회수234 목록 댓글 0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고   종   실   록

                                                             

 고종 8권, 8년(1871 신미 / 청 동치(同治) 10년) 3월 16일(병오)

 

   시호(諡號)를 추증(追贈) 하다.

 

시호(諡號)를 추증(追贈)하였다.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이병상(李秉常)은 문청공(文淸公)으로, 이조 판서(吏曹判書) 윤치정(尹致定)은 문청공(文淸公)으로, 공조 판서(工曹判書) 변치명(邊致明)은 효헌공(孝憲公)으로, 증이조판서(贈吏曹判書) 전유형(全有亨)은 의민공(義愍公)으로, 평원 대군(平原大君) 이임(李琳)은 정헌공(定憲公)으로, 증 공조 판서(贈工曹判書) 박동명(朴東命)은 충경공(忠景公)으로, 증 이조 판서 임훈(林薰)은 효간공(孝簡公)으로, 증 좌찬성(贈左贊成) 김동헌(金東獻)은 효정공(孝貞公)으로, 증 좌찬성 이채(李采)는 문경공(文敬公)으로 추증하였다.

보문각 직제학(寶文閣直提學) 성사제(成思齊)는 정절공(貞節公)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임홍망(任弘望)은 효정공(孝貞公)으로, 이조 판서 박기수(朴綺壽)는 효문공(孝文公)으로, 이조 판서 박승휘(朴承煇)는 문정공(文貞公)으로, 증 영의정(贈領議政) 이준(李準)은 숙헌공(肅憲公)으로, 이조 판서 이경증(李景曾)은 효정공(孝貞公)으로, 우참찬(右參贊) 정익하(鄭益河)는 충헌공(忠獻公)으로, 계성군(桂城君) 이순(李恂)은 희정공(僖靖公)으로, 금원군(錦原君) 이영(李坽)은 효문공(孝文公)으로,

 

영의정 강순(康純)은 장민공(莊敏公)으로, 증 병조 판서(贈兵曹判書) 최희량(崔希亮)은 무숙공(武肅公)으로, 예조 판서(禮曹判書) 성수묵(成遂默)은 효헌공(孝憲公)으로, 증 이조 판서 이민환(李民寏)은 충간공(忠簡公)으로, 형조 판서(刑曹判書) 이윤성(李潤成)은 효숙공(孝肅公)으로, 양원군(楊原君) 이개(李愷)는 정혜공(貞惠公)으로, 봉화백(奉化伯) 정도전(鄭道傳)은 문헌공(文憲公)으로, 증병조 판서 송덕영(宋德榮)은 충장공(忠莊公)으로, 증 이조 판서 임성주(任聖周)는 문경공(文敬公)으로, 증 영의정 박신규(朴信圭)는 청숙공(淸肅公)으로 추증하였다.

증 병조 판서 채이장(蔡以章)은 충정공(忠貞公)으로, 청은 부원군(靑恩府院君) 심호(沈浩)는 효숙공(孝肅公)으로, 좌참찬(左參贊) 이성규(李聖圭)는 효정공(孝貞公)으로, 우의정(右議政) 임백경(任百經)은 문정공(文貞公)으로, 증 이조 판서 윤심형(尹心衡)은 청헌공(淸獻公)으로, 증 좌참찬(證左參贊) 안정복(安鼎福)은 문숙공(文肅公)으로, 증 이조 판서 최균(崔均)은 의민공(義敏公)으로, 증 좌찬성(證左贊成) 배흥립(裵興立)은 효숙공(孝肅公)으로, 증 이조 판서 김숙자(金叔滋)는 문강공(文康公)으로, 우참찬 김경선(金景善)은 정문공(貞文公)으로, 증 좌찬성 최현(崔俔)은 정간공(定簡公)으로, 증 병조 판서 유응수(柳應秀)는 충장공(忠壯公)으로, 견성군(甄城君) 이돈(李惇)은 경민공(景愍公)으로, 봉안군(鳳安君) 이봉(李㦀)은 정민공(貞愍公)으로, 우의정 이지연(李止淵)은 문익공(文翼公)으로, 경창군(慶昌君) 이주(李珘)는 효헌공(孝獻公)으로, 주계군(朱溪君) 심원(沈源)은 문충공(文忠公)으로 추증하였다.

우찬성 강시영(姜時永)은 문헌공(文憲公)으로, 증 영의정 이시원(李是遠)은 충정공(忠貞公)으로, 증 이조 판서 이노(李魯)는 정의공(貞義公)으로, 은신군(恩信君) 이진(李禛)은 충헌공(忠獻公)으로, 복성군(福城君) 이미(李嵋)는 정민공(貞愍公)으로, 증 호조 판서(增戶曹判書) 홍림(洪霖)은 충강공(忠剛公)으로, 선성군(宣城君) 이무생(李茂生)은 양정공(良靖公)으로, 진안위(晉安尉) 유적(柳頔)은 효숙공(孝肅公)으로, 임성군(任城君) 이호생(李好生)은 정혜공(靖惠公)으로, 무산군(茂山君) 이종(李悰)은 효정공(孝貞公)으로, 완성군(完城君) 이천계(李天桂)는 효민공(孝愍公)으로, 종의군(從義君) 이귀생(李貴生)은 공안공(恭安公)으로, 증 호조 판서 정옥량(鄭玉良)은 효정공(孝貞公)으로, 창원군(昌原君) 이성(李晟)은 장소공(章昭公)으로,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신명순(申命淳)은 정무공(貞武公)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이산두(李山斗)는 청헌공(淸憲公)으로, 증 이조 판서 이준(李埈)은 문간공(文簡公)으로, 병조 판서(兵曹判書) 박계손(朴季孫)은 정절공(貞節公)으로, 호조 판서(戶曹判書) 채귀하(蔡貴河)는 정의공(貞義公)으로, 증 이조 판서 박심문(朴審問)은 충정공(忠貞公)으로, 전성군(全城君) 이변(李忭)은 숙민공(肅愍公)으로, 영명위(永明尉) 홍현주(洪顯周)는 효간공(孝簡公)으로, 흥안군(興安君) 이제(李瑅)는 효희공(孝僖公)으로, 경선군(慶善君) 이백(李伯)은 효헌공(孝憲公)으로, 우의정(右議政) 이서구(李書九)는 문간공(文簡公)으로, 증좌찬성 송국택(宋國澤)은 효정공(孝貞公)으로, 증 영의정 이원정(李元禎)은 문익공(文翼公)으로, 증 이조 판서 김익복(金益福)은 충경공(忠景公)으로, 경명군(景明君) 이침(李忱)은 정민공(貞敏公)으로, 증 이조 판서 김회련(金懷鍊)은 충민공(忠敏公)으로, 증 이조 판서 김익훈(金益勳)은 충헌공(忠獻公)으로, 증 이조 판서 이홍무(李弘茂)는 충숙공(忠肅公)으로, 형조 판서 조용화(趙容和)는 문헌공(文憲公)으로, 신성군(信城君) 이후(李珝)는 충정공(忠貞公)으로, 해운군(海運君) 이연(李槤)은 효안공(孝安公)으로, 증 판돈녕부사(贈判敦寧府事) 박진영(朴震英)은 무숙공(武肅公)으로, 호조 판서 이목연(李穆淵)은 문정공(文貞公)으로, 영의정 유전(柳琠)은 문정공(文貞公)으로, 증 이조 판서 송희규(宋希奎)는 충숙공(忠肅公)으로, 예조 판서 서기순(徐箕淳)은 청문공(淸文公)으로 추증하였다.

회산군(檜山君) 이염(李恬)은 정간공(貞簡公)으로, 경평군(慶平君) 이륵(李玏)은 정간공(貞簡公)으로, 용성 대군(龍城大君) 이곤(李滾)은 장의공(章懿公)으로, 임해군(臨海君) 이진(李珒)은 정민공(貞愍公)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강유(姜游)는 효헌공(孝憲公)으로, 이조 판서 이현일(李玄逸)은 문경공(文敬公)으로, 은전군(恩全君) 이찬(李禶)은 효민공(孝愍公)으로, 은언군(恩彦君) 이인(李裀)은 충정공(忠貞公)으로 추증하였다.

 

                                                                   - 終 -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