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 투수교육

[스크랩] 변화구(사진)

작성자야구레전드|작성시간23.12.03|조회수3 목록 댓글 0

변화구(사진)

 

연습장에 걸려 있는 피칭망 표적입니다.

검은색 부위로 던지는 습관이 좋습니다. 

 삐딱한 포심 그립

손가락 사이가 너무 벌어지면 스플리터 처럼 공이 느려집니다.

한가지 더 포심 잡는 법도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사진은 이렇게 잡지 말라는 사진같네요.

실밥중 U 자모양의 밑 부분이 엄지쪽으로 잡으면 좀더 마찰을 강해집니다.

 

  투심 그립

실밥의 위치를 바꿔주면 안쪽으로 바깥쪽으로 살짝 휘는 공을 던질 수 있습니다.

엄지의 위치를 바꿔주면서 변화를 더 줄 수 있습니다.

엄지와 검지를 가까운 쪽에 위치시키면 살짝 반대쪽으로 휘어지게 던질 수 있습니다.

  슬라이더

잡는 방법도 다양하고 던지는 방법도 다양합니다.

일반 사회인 야구인들은 그냥 던져도 슬라이더로 들어가는 것 때문에 고민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릴리즈 할때 손의 모양이 악수하듯 손날이 밑으로 향하면 슬라이더 구질이 나오기 쉽습니다.

 

최근에는 직구처럼 던지다가 손가락 끝에 실밥을 채주는 것으로 마무리 하는 선수들이 많더군요.

공의 반을 잡고 그냥 직구처럼 던지는 방법도 있고.

 다트라는 화살촉을 던지듯 처음부터 손바닥이 포수와

일루 사이를 보도록 손목을 틀어두고 던지는 방법도 있습니다.

   써클 체인지업

손가락 크기에 따라 그립법이 차이가 많습니다.

손가락 끝 마디를 떼고 던지면 구속이 더 느려집니다.

실밥 걸치는 것을 잘 이용하면 날아가다가 타자쪽으로 살짝 휘어져 떨어지는 공을 던질 수 있습니다.

가능하면 손목쪽에 맞아 내야 땅볼을 유도할때 아주 좋은 공입니다.

 단 높게 던지면 아리랑 볼과 다를게 없는 공이 되고 말죠!

 슬러브

고전적인 커브는 엄지 관절을 튕겨주며 던지는 것인데

공이 느려도 휘어짐과 낙차가 커서 알고도 못치는 커브도 있습니다만.

위에서 밑으로만 떨어지는 커브도 있고 옆으로 아래로 급하게 떨어지는 커브도 있습니다.

커브는 엄지와 검지 사이로 공이 삐져 나가도록 연습하는 것이 제일 쉬운 요령입니다.

  너클 커브

  스플리터

시속 100킬로가 안되는 스플리터는 체인지업 또는 아리랑 볼입니다.

별 의미가 없습니다. 초보들의 체인지 업은 팜볼이나 쓰리핑거 체인지 업이 차라리 제구도 정확하고

낙차도 있어서 더 효과가 있습니다.

직구와 똑같이 던질 수록 낙차가 커집니다.

 

 너클볼

가끔 던져 볼만 합니다만 효과는 거의 없죠.

구부린 손가락으로 공을 앞으로 밀어주며 던지면 자연스럽게 걸린 역회전을 상쇄시켜

공의 회전을 없애주기도 합니다.

손가락을 세개 사용하는 것이 제일 많습니다.

 쓰리핑거 체인지 업

    손이 작은 내야수들이 그립을 잡고 던지기 힘들때 급하게 송구할때 사용해도 좋은 방법입니다.

투수가 던지면 약간 느려집니다.

 

 포심

 커브

커브와 슬라이더의 그립 차이점은

커브는 틈이 없게 밀착시켜 잡는 것이 좋습니다.

슬라이더는 직구처럼 느슨하게 잡는것이 좋습니다.

 슬라이더

 써클 체인지업

써클 체인지업 그립은 포심으로 잡는 공과 투심으로 잡는공 실밥 위치에 따라 구질이 조금씩 달라집니다.

제대로 스냅을 넣을줄 안다면 투심으로 잡고 오른쪽으로 휘도록 연습하시면

더블 플레이를 유도할때 아주 좋은 무기가 되기도 합니다.

 너클 커브

 

써클 체인지업의 일종입니다.

손가락이 짧거나 어린 선수들의 그립법입니다.

제손도 짧아서 이 그립을 이용합니다.

 스플리터

 슬라이더

 투심

실밥위로 잡아도 되고

실밥 옆을 잡아도 구질이 달라집니다. 물론 스냅방향에 영향도 많이 받습니다.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전국사회인야구연합회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