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자료실

제사가 생겨난 또 하나의 기원

작성자구유|작성시간21.06.30|조회수117 목록 댓글 3

 

 

제사가 생겨난 또 하나의 기원

창세 22,1-19; 마태 9,1-8 / 2021.7.1.; 연중 제13주간 목요일; 이기우 신부

 

이스라엘 백성이 속죄양을 태워 바치는

번제의 기원에 대해서는 일전에 말씀드린 바가 있습니다.

그런데 오늘 독서에서는 하느님께 바쳐지는 제사의 또 다른 기원을 들려 주었습니다.

당시 우상숭배에 물든 이민족들은 전쟁 포로나 사회적 약자의

아기들을 불태워서 제사를 바치는 인신 공양을 하고 있었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이 인신 공양 제사라는 몹쓸 제사 풍속을 없애시고자

아브라함과 이사악에게 특별한 명령을 내리셨습니다.

백 살에 얻는 귀하디 귀한 아들 이사악을

당신에게 제물로 바치라는 시험을 해 본 것입니다.

 

하느님께는 아브라함의 믿음이 소중하기도 하셨겠으나,

정작 더 중요했던 것은 사람들에게 하느님께

바치는 제사의 형식을 올바르게 가르쳐주는 데 있었습니다.

그래서 아브라함이 하느님의 명령에 순명하는 마음으로

아들 이사악을 묶어 칼로 찌르려던 순간에 하느님께서는

천사를 시켜 말리시고는 근처에 있던 양 한 마리를 잡아서 바치도록 명하셨습니다.

즉 제사의 기원이 모세 전승으로는 우상숭배를 근절시키려던 동기도 있지만, 아브라함

전승으로는 인신 공양을 근절시키려던 동기도 있었음을 우리가 알게 된 것입니다.

 

그런데 그렇게 해서 천 년 이상 내려오던 번제의

제사 풍속을 예수님께서는 더욱 근본적으로 혁신시키셨습니다.

예수님은 존재 자체가 제사적인 실존을 사신 분이셨으므로,

생애 전부를 하느님께 바치는 제물로 삼으셨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제사적 실존의 주요한 동기 중의 하나는 용서하는 삶이었습니다.

사람들은 하느님께만 죄를 짓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끼리도 서로 서로 죄를 짓고 삽니다.

예나 지금이나 동양이나 서양이나 다 그렇습니다.

 

그렇게 되면 죄로 인한 상처와 원한과 복수심 등 악한 마음이 꼬일 대로 꼬인 결과로

사람들의 몸과 마음에 각종 갈등과 질병과 정신 질환 등이 생겨날 수밖에 없습니다.

이 엉켜 있는 매듭을 풀어주시고자 예수님께서는 오늘 복음에서 들으셨듯이 죄를 지은

결과로 걸리는 병으로 알려져 온 중풍 병자를 말씀 한 마디로 낫게 해 주셨습니다.

그 말씀이 바로, “용기를 내어라. 너는 죄를 용서받았다.”입니다. 용서하는 삶은,

용서를 청하는 기도와 마찬가지로 하느님과 올바른 관계를 회복하는 제사적 실존입니다.

하느님과 소통하는 삶이 영혼에 생기를 줍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pine1215 | 작성시간 21.06.30 +아멘
    감사합니다~
  • 작성자김광시 | 작성시간 21.06.30 아멘 💖💖💖
  • 작성자요셉-막내165 | 작성시간 21.07.01 아멘. 감사합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