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책 읽고 올리기

감탄과 가난 [모리스 쟁델 지음 / 이순희 옮김]

작성자didimdol33|작성시간22.06.13|조회수80 목록 댓글 0

이 책은 베네딕토회 수녀들을 대상으로 한 피정 강론을 엮은 것으로 하느님의 사랑을 쉽게 풀어내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하느님의 사랑은 ‘내어줌’이라는 삼위일체의 신비를 통해 드러난다. ‘성부는 말씀이신 성자에게 자신의 모든 본성을 물려주며, 성부와 성자는 성령에게 그것을 전해준다’ 삼위일체는 사랑으로 서로가 서로에게 존속하는 관계로 구분되지 않는다. 이러한 관계는 온전히 자신을 내어주는 사랑에서 시작한다. 사랑으로 모든 것을 내어주는 무한한 가난은 자비에서 비롯되는 위대함이다. 자기를 비운 이 자비로움은 타인을 향한 감탄으로 이어진다. 하느님의 모상인 인간은 온전히 순수한 봉헌과 선함으로 하느님의 가난을 새롭게 발견하며 살아야 한다. 살아간다는 것은 사랑한다는 것이고 더 사랑하기 위하여 우리는 매일 더 철저히 자신을 비워야 한다는 소명을 깨달아야 한다.

 

그렇다면 비워야 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우리 안에 이미 하느님이 계시는 것을 알지 못하고, 우리의 삶 속에서 하느님 나라가 실현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우리가 ‘소유적 자아’와 ‘근원적인 생물학’에 얽매여 있고, 또한 그곳에서 나오기를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는 절대적 가난의 관점에서 복음에 접근해야 하며, 복음을 묵상해야 하며, 복음을 살아야 한다. 예수님이 절대적 가난이기에 가난의 상태에 들어선 사람만이, 가난의 아름다움에 동화된 사람만이, 가난한 영혼만이, 자신의 고유한 시각을 버린 사람만이, 하느님 안에서 자신이 녹아 없어지게 된 사람만이 궁극적으로 예수님의 신비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인간이 자신에게 집착하는 한 자유에 이르지 못한다. 하느님은 우리가 동의해야 우리 안에 뿌리를 내리실 수 있다. 우리가 자발적으로 동의할 때 비로소 우리의 삶 안에서 하느님의 생명은 퍼져나가게 될 것이다. 우리의 삶은 하느님을 알아가는 시간이며, 하느님과 일치해 나가는 여정이다. 알수록 무한한 그분의 사랑을 입고 그분의 자유를 누린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