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오늘의 성인/축일

G246)교회의 권리 옹호,노예 매매 극렬 비난한 스콜라 철학의 아버지 主敎 학자 안셀모(4.21) 聖人 傳記 & 전구(轉求)기도

작성자베드로 문|작성시간24.04.21|조회수20 목록 댓글 1

오늘(4월21일)의 聖人 中 안셀모 主敎학자 傳記

 기본정보

 

성인명 축일 성인구분 신분활동 지역활동 연도 같은이름

안셀모 (Anselm)
4월 21일
성인
대주교교회학자철학자
캔터베리(Canterbury)
1033-1109년
안셀름, 안셀무스, 안쎌모, 안쎌무스

1033년 겨울 이탈리아 북부 아오스타(Aosta)의 부유한 귀족 가문에서 태어난
성 안셀무스(Anselmus, 또는 안셀모)는 15살 되던 해에 수도원에 입회하려고 했으나
부친의 반대에 부딪혀 뜻을 이루지 못했다.

그는 1056년 어머니가 사망하자 프랑스 동부의 부르고뉴(Bourgogne)로 공부하러 집을 떠났고,
1059년에는 노르망디(Normandie)의 베크(Bec)에 있는 베네딕토회 수도원 학교에서 수학했다.

당시 수도원 원장은 란프랑쿠스(Lanfrancus)로 성 안셀무스는 그의 제자이자 친구가 되었다.
여기서 그는 1060년 아버지마저 사망하자 정식으로 수도원에 입회하여 수도자가 되었다.


1067년에 수도원 학교의 교장이 된 성 안셀무스는 제자인 동료 수도자들을 위해서
많은 작품을 저술했고, 윤리 교육과 종교 교육에 힘씀으로써 베크 수도원 학교를
명문 학교로 발전시켰다.

1078년에 수도원 원장이 된 그의 박학다식함과 성덕에 대한 소문을 듣고 수많은 청년이
베크 수도원으로 몰려들자 그들을 한곳에서 교육할 수 없어 프랑스와 영국 여러 곳에
수도원을 건립하였다.

이를 통해 프랑스의 경계를 넘어 영국에까지 명성을 떨친 성 안셀무스는 란프랑쿠스가 사망한 뒤
영국 왕 윌리엄 2세(William II Rufus)에 의해 1093년 캔터베리의 대주교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성 안셀무스는 이때부터 적지 않은 분쟁에 휩싸였다.
영국 국왕의 교회 직무에 대한 간섭에 반발하고 교황의 권위를 위해 투쟁하며
성직자들의 개혁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국왕은 물론 다른 많은 주교로부터도
 배척을 받게 되었다.

성 안셀무스는 1093년까지 베크를 떠나지 않고 국왕 윌리엄 2세와 격렬한 논쟁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결국 1097년 영국을 떠나 로마로 망명길에 올랐다.


교황 복자 우르바누스 2세(Urbanus II, 7월 29일) 역시 윌리엄 왕의 요구를 반대하자,
윌리엄은 성 안셀무스를 유배시키겠다고 위협했으나 끝내는 성 안셀무스의 귀국을 허용하였다.

1098년 복자 우르바누스 2세 교황의 요청에 따라 성 안셀무스는 바리(Bari) 공의회에 참석하여
성령을 두고 벌인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의 '필리오퀘'(filioque) 논쟁을 조정하는데 큰 몫을 했다.

1100년에 윌리엄 2세 국왕이 사망하자 성 안셀무스는 영국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또다시 윌리엄의 후계자인 헨리 1세(Henry I)에게 충성 서약을 하지 않아
1103년에 다시 로마로 망명길에 올랐다. 1102년 웨스트민스터(Westminster) 공의회에서
성 안셀무스는 노예 매매를 극렬히 비난하였다.


그는 영국 국왕을 상대로 교회의 권리를 옹호하는 일에 혼신의 힘을 쏟으면서도
학문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그는 이미 그 당시에 위대한 신학자요 ‘스콜라 학파의 아버지’란 칭호를 얻고 있었다.

그는 계시와 이성이 조화를 이룰 수 있으며, 아리스토텔레스파의 변증법에서
이용하는 이성주의를 신학에 성공적으로 도입시킨 첫 번째 인물이었다.


그는 완전한 존재에 대한 인간의 개념에서부터 하느님의 존재를 증명한
“독어록”(獨語錄, Monologion)의 저자이다.

이 사상은 후대의 둔스 스코투스(Duns Scotus), 데카르트(Descartes) 그리고 헤겔(Hegel)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성 안셀무스의 “왜 하느님은 사람이 되셨는가?”(Cur Deus Homo)는
중세의 강생에 관한 신학 논문 중에서 가장 돋보이는 대작이다.

그의 저서 중에는 “삼위일체에 대한 신앙”(De Fide Trinitatis),
“동정녀 잉태론”(De Conceptu Virginali), “진리론”(De Veritate) 그리고 400여 통의 편지와
기도 및 묵상에 관한 책들이 많이 있다.

그는 1109년 4월 21일 성주간 수요일에 캔터베리에서 선종했다.
그는 1492년 교황 알렉산데르 4세(Alexander IV)에 의해 성인품에 올랐고,
1720년에 교황 클레멘스 11세(Clemens XI)에 의해 교회학자로 선포되었다.

단테가 신곡의 천국 편에서 태양권 안에 있는 빛과 힘의 영들 가운데
성 안셀무스를 언급할 정도로 그의 영향력은 컸다.
성 안셀무스의 상징으로는 주교 복장이나 교회의 영적인 독립을 표현하는 배이다.

 

 

┼ 기도합시다.


전능하시고 영원하신 하느님,
이 세상에서 '안셀모
'

당신의 종으로 선택하시어

복음을 받아들이고 신앙을 꽃 피우게 하셨으니

당신의 충실한 종,  聖 '안셀모主敎의 轉求를 들으시고

저희에게 자비를 베풀어 주시어

우리 모두가 복음을 따라 살아갈수 있도록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 아멘.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베드로 문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4.04.21

    + 慈悲와 사랑의 우리主 하느님 아버지 ,

    오늘 이 세상에서 '안셀모'를
    당신의 從으로 선택하시어 信仰을 꽃피우게 하셨으니,
    저희가 그의 모범을 받들어 언제나 福音을 따라 살아가게 하시고,

    충실한 당신의 종, 聖'안셀모'大主敎의 轉求를 들으셔서,
    당신이 사랑하는 아들 정다니엘과 '문베드로'와 모든 患友들이
    완전히 病魔에서 벗어나는 주님의 慈悲를 통하여
    주님의 사랑을 깨닫는 恩寵을 베풀어 주소서.

    + 아 멘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