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음악감상실

[스크랩] 인천 시립교향악단 - 국내 오케스트라 진단.

작성자Lee MY|작성시간24.04.15|조회수72 목록 댓글 0

"한국 오케스트라 발전을 위해 모든 한국 오케스트라를 진단합니다. 1~ 10까지의 등급을 부여하여 아래와 같이 세계

오케스트라의 각 파트의 역량을 제시하고, 우리나라 오케스트라 각 파트를 진단해 봅니다. 저는 이런 방식으로 오케.

각 파트를 분석하는 것이 옳은 일인지 망설임도 있었습니다. 그동안 우리나라 지방 오케스트라에 관해 크게 관심을

갖고 있지 않았었고 근자에 들어 매체를 통해 지방 오케스트라를 살펴 보던중 양적으로는 크게 성장한 우리나라 오케.가

깊숙하게 분석을 해보니 앙상블 질적으로는 발전의 폭이 커 보이지 않았고, 10년 전보다 오케스트라 전체 단원이 극심한

매너리즘에 빠져 오히려 퇴보한 경우도 인지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비판을 무릅쓰고 글을 쓰기로 결정했습니다.

제 글로 인해 많은 분이 상처를 입을 수도 있을 것이라는 점 매우 가슴 아프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고국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제가 오케스트라 발전을 위해 아주 작은 바램으로 기록한 글이 조금이라도 우리나라 오케스트라 발전에 도움 되기를

간절하게 바래봅니다. 실제 공연을 참여해 글을 써야 올바른 방법입니다. 그러나 발전된 매체를 통해 전해지는 실황 연주

기록도 음원 작업같이 분칠을 많이 해 실체와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보다는 더 좋을 수 있고, 홀마다 좌석에 따라 전혀

달리 들려  오케스트라 발란스 확인에 오류를 범할 수 있는 것 역시 방지하는 이점도 있어 이 방법을 택했습니다."

 

10 (세계 최정상급 上) - rco의 모든 현 파트, 오보에, 클라리넷, 목관 특수 악기, 트럼펫, brso - 오보에, hr - 목관 특수악기

라디오 프랑스 파리 - 오보에, 트럼펫, 빈 필 - 플룻, brso - 오보에,  Danish National Symphony - 플룻 솔로 Ulla Miilmann.

 

9 (세계 최정상급) - rco - 바순, 금관 악기.  brso - 클라리넷,  hr - 플륫,  ndr - 오보에, 빈 필 - 현 파트, 클라리넷, 호른. 

베를린 필 - 콘트라 파곳, 호른.  hr - 목관 특수악기, dresden staatskapelle - 현 파트, 오보에. 

 

8 (메이저급)  

7 (준 메이저급)

6 (세계 오케스트라 평균 급)

5 (이하)

 

 

인천시립교향악단 - Incheon Philharmonic Orchestra

참고 연주곡 

Rachmaninov Symphony No.2    6, aug. 2020  예술의 전당 콘서트 홀  - (youtube)  

1. Sinfonie in C-Dur op. 21 Ludwig van Beethoven - (youtube)  

5. Sinfonie  Gustav Mahler.  10, April.  2019 예술의 전당 콘서트 홀 - (youtube) 19, juni 2020

Klavierkonzert Nr. 4 G-Dur op. 58  Ludwig van Beethoven.   19, juni 2020 

Prélude à l'Après-midi d'un faune, Claude Debussy

Sinfonie Nr. 1 c-Moll op. 68 von Johannes Brahms     18, September  2021

Erich Wolfgang Korngold  Violin Concerto in D major, Op. 35

Sinfonie Nr. 6 „Pathétique“ in h-Moll (op. 74)  Pjotr Tschaikowski

 

 

지휘자; 5 

악장; 4

 

1 st. 바이올린;  5

빈 필이나 brso, rco의 바이올린 경우 세대교체로 들어온 뒤 풀트의 바이올린 단원이 앞 풀트 못지않은 파워를 가지고
매우 고른 발란스를 이룬다. 뒤 풀트에 있는 현악기 단원은 소극적인 연주 태도를 갖게 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공연 시
행동 하나하나가 청중들의 눈에 들어와 공연의 일부로 작용한다는 점을 깊이 인지하고 더 적극적인 비브라토, 보우
사용을 권하고 싶다. 인천 시향의 바이올린 파트는 파워는 갖추었지만 섬세함에서 약한 고리를 보인다. 바이올린 파트의

일치된 앙상블은 악장의 역할이 가장 중요한데, 우리나라 오케스트라의 가장 취약한 오케스트라를 이끌 악장의 부재로

인천 시향 역시 악장의 리더쉽에 문제점이 보였다. 정상급 오케스트라의 악장은 지휘자 못지않은 에너지를 쏟아

오케스트라를 이끈다.

 

2nd. 바이올린;  5

rco의 바이올린 파트를 세계 오케스트라에서 가장 이상적인 앙상블로 존중받는 이유는 35명 단원이 모두 고른 기량으로

최상의 음색, 양질의 소리, 정밀한 계산에 의한 일치된 보잉 그리고 계획적인 준비된 세대교체로 꾸준히 5 ~ 10년 단위의

새로운 단원을 받아들여 신. 구의 조화로운 균형을 이루는 점이다. 현 파트의 세대교체 역시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세계 최정상급 오케스트라는 세대교체에 오케스트라 성패를 좌우한다는 판단하고 매우 민감하게 대처하고 있다. 

 

비올라;  5

비올라 파트는 현대 오케스트라에서 지휘자에 따라 그 위치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과거 오케스트라 때보다 휠씬

능동적인 앙상블 참여를 요구하기도 한다. 고음의 바이올린 파트와 저음인 첼로, 콘트라바스 사이에 가교 역할이 아니라

곡 중 동등한 위치에서도 활동 범위를 넓혀주기도 한다. 인천 시향의 비올라는 소리의 건강함이 섬세한 앙상블 일치에

이루지 못해 반감되는 아쉬움이 있다. 비올라 수석 위주로 파트 연습을 통해 극복하는 방법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프로 오케스트라에서 무슨 파트 연습을 해야하는가 라는 반론이 있을 수 있지만 세계에서 가장 존중받는 rco에서도

틈만 나면 서로 모여 앙상블을 확인하고 있다. 

 

첼로;  5

오케스트라에서 첼로 파트나 콘트라바스의 단원 선발의 기준은 오케스트라 기둥을 이루기 위해 가장 필요한 조건이 현란한

기교보다 묵직한 소리를 낼 수 있는 음량을 갖추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메이저 오케스트라의 첼로와 콘트라바스는 활을
최대치로 사용하고 현악기 다른 파트보다 훨씬 능동적인 비브라토를 통해 온몸으로 소리를 만들어 고음 악기들의 공간을

넓혀준다. 인천 시향의 첼로 파트는 다른 지방 오케스트라에 비해 파워는 갖췄지만, 앙상블의 일치 섬세함에서 문제점을

보인다. 정돈되고 일치된 보잉 통일이 절실하게 필요해 보인다. 

 

 

콘트라 바스;  2

인천 시향의 콘트라 바스는 울림이 빈약하다. 그 뜻은 단원 개개인의 능력을 떠나 첼로 파트에서 언급했듯이 소리를 만드는
방법에서 차이를 보이는 점이다. 바이올린, 비올라의 막강한 화력에 맞서려면 온몸을 이용하여 소리를 만들 수밖에 다른
도리가 없다. 가뜩이나 숫자적 열세가 있고 저음이기 때문에 소리의 파괴력도 부족해 깊이 있는 울림으로 소리를 만들어
대항하는 방법으로 발란스를 맞춰야 한다. brso, hr 심포니 등 콘트라바스 파트의 움직임을 보면 모든 단원이 정밀한 계산에

의한 일치된 보잉과 공연 시 눈에 확 띌 정도로 묵직한 보잉으로 온몸을 사용하여 소리를 만든다. 이러한 것이 오케스트라

기둥 역할을 하는 콘트라바스의 참모습이다. 콘트라바스의 중심 없이 세계에서 존중받는 오케스트라는 존재하지 않는다. 

 

 

플룻;  4

베를린 필의 임마누엘 파위는 전 세계에서 최정상급의 솔리스트로 인정받는다. 그러나 그의 역할이 오케스트라에서

플룻 솔로 영역으로 들어오면 확연하게 달라진다. 지금은 많이 오케스트라에 스며들어 앙상블을 이루고 있지만 초창기

그는 오케스트라 앙상블과는 매우 이질적인 모습을 보여 주었었다. 모짜르트, 베토벤 교향곡에서도 심한 루바토와 튀어

나오는 솔로로 인해 앙상블에 도움이 되지 않았었다. 같은 오케스트라 솔로인 블라우의 오케스트라에서 건실함 속에

오케스트라 앙상블에 스며들어 연주하는 가장 바람직한 모습과 매우 대비되는 지점이 있었다. 오케스트라에서 목관

파트나 악장의 솔로 부분은 협주곡에서 솔리스트의 연주법과 달리 해야 한다. 솔리스트는 막강한 오케스트라의 화력을

뚫고 나와서 솔로를 이루워야 하는 반면에, 악장의 솔로나 목관 파트의 솔로는 오케스트라 앙상블 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오케스트라 소리에 살짝 올라타서라는 표현이 적합할) 이 차이는 매우 미묘한 차이로 보이지만 이 범주를 넘어서 과도한

모습을 보이면 바로 앙상블이 깨져버리는 모습을 보인다. 인천 시향의 플룻 파트는 오케스트라 앙상블에 스며들었나

이질적인 존재인가를 깊이 생각해야 한다. 이는 서울 시향의 플룻 파트와도 동일하게 느껴지는 일로 우리나라 플룻 파트의

가장 취약점인 앙상블에 약한 고리를 보이는 것으로 오케스트라 내에서 목관 5중주, 목관 앙상블 조직을 통해 꾸준하게

연주하고, 앙상블의 참 모습을 연구하여 극복하는 방법을 권하고 싶다. 오케스트라 앙상블의 근원은 실내악이고, 실내악이

확장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오케스트라 앙상블이다. 

 

 

오보에;  5

많은 작곡가가 자신의 곡에서 정점을 이룰때 가장 선호하는 악기가 오보에다. 꽃중에 꽃이라고 할 수 있는 힘을 갖고

있는 악기다. 후기 낭만 작곡가들의 오케스트레이션의 확대로 매력있는 악기가 된 잉글리쉬호른도 가끔 나오는 솔로의

영향력은 공연 전체의 성패가 결정될 수 있는 엄청난 파괴력을 갖고 있다. 인천 시향의 차석 오보에 단원은 오케스트라

앙상블에서 소리의 질과 음악성에서 다른 오케스트라들이 보여주는 수석과의 연주력 괴리 없이 이상적인 연주를 보여주고

있다. 플룻 차석 단원 역시 뛰어난 앙상블로 오케 앙상블에 스며들어 모나지 않은 연주력을 보여주었다. 이 두명의 연주는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한 곡에서만 느낄 수 있어 아쉬움은 있지만 서울 시향의 수석과 부수석이 솔로를 맡았을 때 확연하게

차이를 보이는 것과는 달리 인천 시향의 플룻, 오보에의 중심 있는 앙상블에 많은 응원을 하고 싶다. 단지 오보에는 연주시

아주 미세하지만 음이 플랫되는 성향을 보이는 것이 보이는데 우리나라 오보에 연주자들에게서 인지되는 것으로 참고해

보기를 부탁드린다.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에서 함께한 플룻의 안정적 음정과 차이점을 인지해 보기를) 

 

 

클라리넷;   8  

클라리넷 수석은 인천시향에서 군계일학이다. 세계 메이저급 오케스트라에서 단원으로도 충분한 역량이 있어 보인다.

모든 악기가 모두 똑같지만, 특히 목관 파트는 소리의 질과 칼라, 홀을 지배할 수 있는 음량이 매우 중요하다. 오케스트라의

꽃과도 같은 목관 파트의 수석과 특수악기는 그들의 솔로 하나가 곡의 전체에 정점이 될 수 있고 오케스트라 전체의 칼라를

완전히 바꿀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클라리넷 수석은 음악적인 기본은 물론 홀을 꽉 채운 양질 칼라, 음질의 소리,

음악성, 연주 태도 등 오케스트라 목관 수석으로 매우 이상적인 모범을 보인다. 다만 아쉬운 점이 있다면 솔로에서 능력에

비해 소극적인 움직임을 보이는 점으로 자신의 솔로에서 오케스트라를 휘감아 최상의 꽃을 이루는 rco, Calogero Palermo,

빈 필의 Matthias Schorn, brso의 Stefan Schilling 역할을 참고했으면 한다. 세컨에 여성 단원은 세컨 파트의 충실한 모습을

보여주어 안정적인 클라리넷 파트가 돋보였지만 바스 클라리넷의 능동적이지 못한 연주가 흠으로 남는다. es 클라리넷,

바스 클라리넷, 피콜로, 잉글리쉬혼, 콘트라파곳 등 목관 특수 악기는 솔로로 지명하여 책임을 부여해야 한다. 4관 편성의

단원 확보도 않된 인천 시향에서 ( 우리나라 오케스트라 대부분의 문제로) 기대하는 것이 무리로 보이지만 목관 파트가

발전을 위해서는 절실하게 필요한 일로 지휘자와 운영진은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참고해 주시기를 부탁드린다

 

 

 

바순;  5

바순의 수석은 목관 파트에서 딜레마를 안고 있다. 솔로 기질이 많은 수석은 오케스트라에서 목관 파트의 중심을 잡아주는

바스 파트의 역할에 간극을 보일 수 있는 경우가 크기 때문이다.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아야 파곳 수석으로 이상적인

모습인데 이를 충족시켜 주는 수석이 전 세계적으로 매우 드물다. 바순 수석은 솔로 기질의 연주자로 소리의 질은 좋은데

음정이 불안한 점이 눈에 띄었다. 차이콥스키 심포니 6번 1악장에서 지휘자가 요구했었더라도 바스 클라리넷에 마무리를

맡겼어야 했다. 클라리넷 솔로에 이어지는 곡의 매우 중요한 단락이 무리하게 바순이 맡아 함으로 곡의 흐름에 큰 지장을

주었다. 물론 차이콥스키의 원본은 바순 솔로지만 게오르그 솔티의 고집 이후의 지휘자는 거의 바스 클라리넷에 의존한다. 

 

 

호른;  6

호른 파트는 우리나라 다른 오케스트라에 비해 비교적 안정된 모습을 보인다. 베를린 필 호른 수석 Stefan Dohr의 골짜기

전체를 집어삼킬 듯 울리는 천둥 소리와 같이, 숨이 막힐듯 멀리서 들리는 섬세한 피아니시모에서 솔로를 만드는 그는

호른 연주인을 떠나 참 음악인의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호른 역시 목관 파트 수석 솔로 같이 오케스트라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조금더 섬세한 앙상블을 기대해 본다. 

 

 

트럼펫;  6

트럼펫의 화력과 기본기가 좋아 보인다. 누가 정단원인지 구분할 수 없는 안타까운 면은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무난한

파트로 보이지만 정밀한 음정과 세밀한 앙상블에서 역시 약한 고리를 보이고 있다.

"말러 심포니 5번 연주할 때 여성 트럼펫 솔로가 누구였는지가 궁금합니다. 아시는 분은 댓글로 알려주셨으면 고맙겠습니다."

 

 

트럼본;  4

인천 시향의 트럼본은 서로 이질적인 톤 칼라로 앙상블에 일치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바스 트럼본과도 서로 다른

테크닉, 소리의 질로 융화하지 못하고 있다. 이때 베이스 트럼본의 역할이 중요한데, 고음 트럼본을 감싸주지 못해

생기는 앙상블의 어긋남은 트럼본 파트가 우선적으로 인지해야 하는 중요한 지점이라고 생각한다.

 

 

튜바;  3

튜바는 베이스 트럼본과 함께 금관 파트의 기둥이자 오케스트라의 기본 앙상블을 지탱하는 매우 중요한 악기다. 

콘트라 바스와 마찬가지로 온 호흡, 온 몸으로 소리를 만들어 받침목이 되어줘야 한다. 메이저급 오케스트라 튜바

주자를 관찰해 보면 한 음부에 한 호흡을 다 짜내서 깊고 홀을 지배하는 반짝거리는 소리로 오케스트라를 감싸고 있다. 

 

 

팀파니,타악기;  4

현대 오케스트라에서 제2의 지휘자로 불릴 만큼 팀파니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팀파니 연주자들은 자신의 연주에만

집중하는 경우가 있는데 오케스트라 앙상블에서 자신의 소리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스스로 판단하기가 매우 어려운

지점이 있다. 다른 악기와 달리 팀파니와 타악기의 경우는 G.P. 때 홀의 사운드 체크의 중요함 같이 악기의 울림이 어떻게

객석에서 들리는지 체크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처음 접하는 홀의 경우 쉬는 단원의 도움을 받아 사운드 체크를 꼭 해야

한다. 심벌즈가 때에 따라서는 앙상블에서 최상의 울림이 될 수 있고 최악의 소음도 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 

팀파니는 곡에 따라 울림을 달리해야 한다. 곡에 따라 말렛의 선택으로 변하는 음색의 선택력, 음감 능력 역시 매우

중요하다. 평균율에 조율되어 있는 게이지에만 의존하는 것은 순정률을 기초로 이루어지는 오케스트라 앙상블에서 무척

위험한 결과를 가져온다. 빈 필의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페달 조율을 사용하지 않고 핸들을 돌려서 조율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다. 물론 세계에서 거의 유일하게 플라스틱이 아닌 동물 가죽을 쓰고 있다. 

 

                                                                       10, février 2024.   paris.    franciscopaik.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프란치스코와 우리들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