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이영근 신부 강론

2024년 2월 6일 화요일 · 성 바오로 미키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작성자푸른잎새|작성시간24.02.05|조회수478 목록 댓글 13

제1독서
▥ 열왕기 상권의 말씀 8,22-23.27-30

 

그 무렵 

22 솔로몬은 이스라엘 온 회중이 보는 가운데 주님의 제단 앞에 서서, 하늘을 향하여 두 손을 펼치고 

23 이렇게 기도하였다.
“주 이스라엘의 하느님,
위로 하늘이나 아래로 땅 그 어디에도 당신 같은 하느님은 없습니다.
마음을 다하여 당신 앞에서 걷는 종들에게 당신은 계약을 지키시고 자애를 베푸시는 분이십니다.
27 어찌 하느님께서 땅 위에 계시겠습니까?
저 하늘, 하늘 위의 하늘도 당신을 모시지 못할 터인데, 제가 지은 이 집이야 오죽하겠습니까?
28 그러나 주 저의 하느님, 

당신 종의 기도와 간청을 돌아보시어, 오늘 당신 종이 당신 앞에서 드리는 이 부르짖음과 기도를 들어 주십시오.
29 그리하여 당신의 눈을 뜨시고 밤낮으로 이 집을, 곧 당신께서 ‘내 이름이 거기에 머무를 것이다.’ 하고 말씀하신 이곳을 살피시어, 당신 종이 이곳을 향하여 드리는 기도를 들어 주십시오.
30 또한 당신 종과 당신 백성 이스라엘이 이곳을 향하여 드리는 간청을 들어 주십시오.
부디 당신께서는 계시는 곳 하늘에서 들어 주십시오.
들으시고 용서해 주십시오.”

 


복음
✠ 마르코가 전한 거룩한 복음 7,1-13

 

그때에 

1 예루살렘에서 온 바리사이들과 율법 학자 몇 사람이 예수님께 몰려왔다가,
2 그분의 제자 몇 사람이 더러운 손으로, 곧 씻지 않은 손으로 음식을 먹는 것을 보았다.
3 본디 바리사이뿐만 아니라 모든 유다인은 조상들의 전통을 지켜, 한 움큼의 물로 손을 씻지 않고서는 음식을 먹지 않으며,
4 장터에서 돌아온 뒤에 몸을 씻지 않고서는 음식을 먹지 않는다.
이 밖에도 지켜야 할 관습이 많은데, 잔이나 단지나 놋그릇이나 침상을 씻는 일들이다.
5 그래서 바리사이들과 율법 학자들이 예수님께 물었다.
“어째서 선생님의 제자들은 조상들의 전통을 따르지 않고, 더러운 손으로 음식을 먹습니까?”
6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이르셨다.
“이사야가 너희 위선자들을 두고 옳게 예언하였다.
성경에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이 백성이 입술로는 나를 공경하지만 그 마음은 내게서 멀리 떠나 있다.
그들은 사람의 규정을 교리로 가르치며 나를 헛되이 섬긴다.’
너희는 하느님의 계명을 버리고 사람의 전통을 지키는 것이다.”
9 또 이어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는 너희의 전통을 고수하려고 하느님의 계명을 잘도 저버린다.
10 모세는 ‘아버지와 어머니를 공경하여라.’ 그리고 ‘아버지나 어머니를 욕하는 자는 사형을 받아야 한다.’고 말하였다.
11 그런데 너희는 누가 아버지나 어머니에게 ‘제가 드릴 공양은 코르반, 곧 하느님께 바치는 예물입니다.’ 하고 말하면 된다고 한다.
12 그러면서 아버지나 어머니에게 더 이상 아무것도 해 드리지 못하게 한다.
13 너희는 이렇게 너희가 전하는 전통으로 하느님의 말씀을 폐기하는 것이다.
너희는 이런 짓들을 많이 한다.”

 

 

 

 

<"너희는 너희의 전통을 고수하려고 하느님의 계명을 잘도 저버린다.”>


예로부터 어디서나 ‘먹는 문제’가 항상 제일 예민합니다. 

싸움 중에서도 ‘밥그릇’ 싸움이 가장 치열합니다. 

공동체에서도 가장 말 많고 힘든 소임 가운데 하나가 바로 주방입니다. 

 

복음서에서도 안식일에 제자들이 벼이삭을 따먹었다고 문제 삼는가 하면, 죄인들과 함께 음식을 먹는다고 문제 삼고, 단식하지 않는다고 문제 삼기도 합니다. 

오늘 복음에는 예루살렘에서 두 번째(첫 번째는 3,22절에 나옴)로 온 바리사이와 율법학자들이 예수님께 먹는 것을 가지고 시비를 겁니다.

곧 손을 씻지 않고 먹는다고 시비를 겁니다.

 

이는 단지 위생이나 청결의 문제가 아닙니다.

소위 ‘정결법’에 대한 논쟁입니다.

그런데 ‘손 씻는 정결법’은 율법 어디에도 나오지 않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그들이 시비의 준거로 내세운 것은 조상들의 전통(구전율법)이었습니다.

 

그러나 이는 하느님 신앙의 핵심과는 상관없는 일로 당시의 사회를 이끌어가던 전통 관습 방식이었을 뿐이었습니다.

그런데 당시의 종교 지도자들이 이를 마치 하느님의 뜻인 양 호도하여 종교적 권위를 덧붙였습니다.

그리하여 오히려 하느님의 계명에서 벗어나 자신들의 관습을 앞세우는 어긋난 행동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는 레위기 11장의 ‘정결법’에 의거하여 음식물만 깨끗해야 되는 것이 아니라, 음식을 먹는 사람이 깨끗하여야 한다는 내용을 잘못 적용한 것이었습니다.

사실 음식을 먹는 사람이 깨끗해야 한다는 것은 몸의 깨끗함이 아니라 마음의 깨끗함을 말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그들은 이를 잘못 적용하여 손을 씻는 예법으로 만들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예수님께서 이사야의 예언을 인용하시어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그들은 사람의 규정을 교리로 가르치며 나를 헛되이 섬긴다. 
너희는 하느님의 계명을 버리고 사람의 전통을 지키는 것이다. 
~ 너희는 너희의 전통을 고수하려고 하느님의 계명을 잘도 저버린다.”

(마르 7,7-9)

오늘날 우리도 ‘사람의 규정’을 지키려다 ‘하느님의 계명’을 저버리는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사회적 관습이나 자기가 만들어 놓은 ‘자기의 규정’이 옳다고 주장하면서 막상 ‘복음의 정신’을 놓칠 때가 바로 그런 경우입니다. 

그렇습니다. 

먼저 우리 몸에 배어 있는 잘못된 관습이나 전통들, 그리고 잘못 배운 교리나 가르침이 있을 수 있음을 인정할 수 있어야 할 일입니다. 

또한 자기가 만들어 놓은 ‘자기 규범’이나 ‘자기 방식’이 옳다고 주장하기에 앞서, 먼저 ‘복음 정신’과 ‘하느님의 뜻’을 묻고 그분께 의탁해야 할 일입니다.

 

아멘.

 

<오늘의 말·샘 기도>

 

“너희는 하느님의 계명을 버리고 사람의 전통을 지키는 것이다.”

(마르 7,8)

 

주님!

몸에 밴 잘못된 관습과 전통에 매여 당신의 계명을 거스르지 않게 하소서.

틀에 맞춘 잘못된 지식과 신념을 지키려다 당신의 사랑을 거스르지 않게 하소서.

나의 옳음을 주장하기에 앞서, 나 자신을 지키기에 앞서, 당신을 사랑하는지를 묻게 하소서.

제 뜻이 아니라 당신의 뜻이, 제가 원하는 하늘나라가 아니라 당신이 원하시는 하늘나라가 되게 하소서.

아멘.

 

- 양주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도회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앞동산 | 작성시간 24.02.06 아 멘 !
    감사합니다 ^^
  • 작성자충주 헬레나 | 작성시간 24.02.06 아멘~
    감사합니다.
  • 작성자데이지덕 | 작성시간 24.02.06 제가 원하는 하늘나라가 아니라 당신이 원하시는 하늘나라가 되게 하소서.
    감사합니다.
  • 작성자아낄래요 | 작성시간 24.02.06 오늘도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한 하루 되세요.~^^
  • 작성자발아래 | 작성시간 24.02.06 아멘. 감사합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