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이영근 신부 강론

2024년 3월 8일 사순 제3주간 금요일

작성자푸른잎새|작성시간24.03.07|조회수519 목록 댓글 16

제1독서
▥ 호세아 예언서의 말씀 14,2-10

 

주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신다.
2 “이스라엘아, 주 너희 하느님께 돌아와라. 

너희는 죄악으로 비틀거리고 있다.
3 너희는 말씀을 받아들이고 주님께 돌아와 아뢰어라.
‘죄악은 모두 없애 주시고 좋은 것은 받아 주십시오.
이제 저희는 황소가 아니라 저희 입술을 바치렵니다.
4 아시리아는 저희를 구원하지 못합니다.
저희가 다시는 군마를 타지 않으렵니다.
저희 손으로 만든 것을 보고 다시는 ′우리 하느님!′이라 말하지 않으렵니다.
고아를 가엾이 여기시는 분은 당신뿐이십니다.’
5 그들에게 품었던 나의 분노가 풀렸으니 이제 내가 반역만 꾀하는 그들의 마음을 고쳐 주고 기꺼이 그들을 사랑해 주리라.
6 내가 이스라엘에게 이슬이 되어 주리니 이스라엘은 나리꽃처럼 피어나고 레바논처럼 뿌리를 뻗으리라.
7 이스라엘의 싹들이 돋아나 그 아름다움은 올리브 나무 같고 그 향기는 레바논의 향기 같으리라.
8 그들은 다시 내 그늘에서 살고 다시 곡식 농사를 지으리라.
그들은 포도나무처럼 무성하고 레바논의 포도주처럼 명성을 떨치리라.
9 내가 응답해 주고 돌보아 주는데 에프라임이 우상들과 무슨 상관이 있느냐?
나는 싱싱한 방백나무 같으니 너희는 나에게서 열매를 얻으리라.
10 지혜로운 사람은 이를 깨닫고 분별 있는 사람은 이를 알아라.
주님의 길은 올곧아서 의인들은 그 길을 따라 걸어가고 죄인들은 그 길에서 비틀거리리라.”

 


복음
✠ 마르코가 전한 거룩한 복음 12,28ㄱㄷ-34

 

그때에 율법 학자 한 사람이 예수님께 

28 다가와, “모든 계명 가운데에서 첫째 가는 계명은 무엇입니까?” 하고 물었다.
29 예수님께서 대답하셨다. 

“첫째는 이것이다.
‘이스라엘아, 들어라. 

주 우리 하느님은 한 분이신 주님이시다.
30 그러므로 너는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정신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주 너의 하느님을 사랑해야 한다.’
31 둘째는 이것이다. 

‘네 이웃을 너 자신처럼 사랑해야 한다.’
이보다 더 큰 계명은 없다.”
32 그러자 율법 학자가 예수님께 말하였다.
“훌륭하십니다, 스승님. 

‘그분은 한 분뿐이시고 그 밖에 다른 이가 없다.’ 하시니, 과연 옳은 말씀이십니다.
33 또 ‘마음을 다하고 생각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그분을 사랑하는 것’과 ‘이웃을 자기 자신처럼 사랑하는 것’이 모든 번제물과 희생 제물보다 낫습니다.”
34 예수님께서는 그가 슬기롭게 대답하는 것을 보시고 그에게, “너는 하느님의 나라에서 멀리 있지 않다.” 하고 이르셨다.
그 뒤에는 어느 누구도 감히 그분께 묻지 못하였다.

 

 

 

 

<“첫째는 이것이다. ‘이스라엘아 들어라, 주 우리 하느님은 한 분이시다.”>


오늘 말씀전례는 우리 신앙의 원천을 밝혀줍니다.

곧 우리 신앙의 근거가 되는 그 바탕이 무엇인가를 말해줍니다.

 

오늘 제1독서에서 “지혜로운 사람은 이를 깨닫고, 분별 있는 사람은 이를 알아라.”(호세 14,10)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을 화답송에서는 “내가 주님, 너희 하느님이다.”(시 81,11)라고 노래합니다.

 

오늘 복음에서 율법학자의 질문에 예수님께서 대답하십니다.
“첫째는 이것이다. 

‘이스라엘아 들어라, 주 우리 하느님은 한 분이시다.”

(마르 12,29)

여기에서 예수님께서는 행동의 원리로서의 계명을 말씀하기 전에, 먼저 ‘존재의 원리’를 말씀하십니다.

곧 행동규범으로 사랑을 말씀하시기에 앞서, 왜 사랑을 해야 하는지 그 이유를 밝히십니다.

 

곧 하느님께서 ‘한 분이신 우리 주님’이라는 그분의 존재 차원을 밝히십니다.

동시에 이는 우리의 존재의 차원도 밝혀주십니다.

곧 우리가 ‘그분의 것, 그의 소유’라는 것을 밝혀줍니다. 

한편 예수님께서는 슬기롭게 대답하는 율법학자에게 “너는 하느님 나라에 가까이 와 있다.”(마르 12,34)고 할 뿐 ‘하느님 나라에 들어와 있다’고는 말씀하시지 않으십니다.

그것은 아마도 율법학자에게 있어서 아직 사랑의 실천이 남아있는 까닭일 것입니다.

 

그러나 더 근본적으로는 아직 더 확장되어야 할 사랑의 계명이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곧 구약의 ‘사랑의 계명’은 신약의 ‘사랑의 새 계명’으로 완성되어야하기 때문입니다. 

사실 구약에서는 ‘이웃 사랑’을 동포 사랑(레위 19,18)과 함께 사는 이방인들(레위 19,34)에 한정시키고 있다면,

신약에서는 무제약적, 무차별적인 이웃에 대한 사랑을 말하고 있으며(루카 10,30-37),

나아가서 원수까지도(마태 5,44) 포함하는 ‘완전한 사랑’을 말합니다(마태 5,48).

 

또 구약에서는 “네 이웃을 네 몸처럼 사랑하라”(레위 19,18)하여 ‘이웃 사랑’의 시금석으로 ‘자신에 대한 사랑’을 제시하고 있는 반면에,

신약에서는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요한 13,34;15,12)하여 ‘우리에 대한 그리스도의 사랑’을 이웃사랑의 시금석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서 근본적으로 예수님께서는 신명기(6,4-5)의 ‘하느님 사랑’과 레위기(19,18)의 ‘이웃 사랑’을 한데 묶으시면서 우리에게 새로운 관점을 요구하십니다.

곧 새로운 변혁, 새로운 틀의 패러다임을 요구하십니다. 

그것은 근본적으로 ‘이웃’을 남으로 보지 않는 관점입니다.

아니, 애시당초 ‘남’이란 없다는 관점입니다.

그것은 오직 그리스도를 머리로 하는 ‘한 몸’이 있을 뿐, 한 아버지 안에 있는 한 형제자매가 있을 뿐이라는 관점입니다. 

우리가 ‘한 몸’이라는 바로 이러한 관점에서야 이웃도 내 몸처럼 사랑하게 됩니다.

그래서 이웃 사랑은 흔히 생각하는 남에게 베푸는 시혜나 자선이 아니라, 바로 ‘한 몸’으로서의 자기 자신에 대한 사랑과 같아집니다.

 

물론 이 때 ‘한 몸’이란 ‘너의 몸이 나의 몸이고 나의 몸이 너의 몸’이라는 암수동체와 같은 혼합체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요한 바오로 2세 교종께서 <새 천년기>(24항)에서 표현한 대로, '나의 일부'인 형제들이란 뜻으로 알아들을 수 있습니다.

곧 ‘한 몸의 지체’로서, 나와 ‘한 몸’을 이루고 있는 나의 일부이기에, ‘나의 일부’인 형제의 아픔이 바로 나 자신의 아픔이 되는 것을 말합니다.

 

마찬가지로 형제가 나의 일부이듯 하느님의 일부가 되고, 형제 사랑이 곧 하느님 사랑이 되고, 하느님 사랑이 곧 형제 사랑이 됩니다.

바로 이것이 오늘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주시는 사랑의 소명입니다.

 

아멘.

 

<오늘의 말·샘 기도>

 

“네 이웃을 너 자신처럼 사랑해야 한다.”

(마르 12,31)

주님!

이웃을 남으로 보지 않게 하소서!

아버지 안에 있는 한 형제가 되게 하소서.

사랑이 남에게 베푸는 시혜가 아니라 한 몸인 내 자신에 대한 사랑이 되게 하소서.

내 자신의 몸인 이웃을 사랑하게 하소서!

주님!

당신 사랑으로 새로 나게 하소서!

내 자신을 통째로 바꾸어 새로워지게 하소서!

이웃을 타인이 아니라 내 자신으로 사랑하게 하소서.

그의 아픔을 내 아픔으로, 그의 기쁨을 내 기쁨으로 삼게 하소서.

이웃 안에서 주님이신 당신을 섬기게 하소서.

아멘.

 

- 양주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도회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들꽃1 | 작성시간 24.03.08 아멘! 감사합니다!
  • 작성자충주 헬레나 | 작성시간 24.03.08 아멘~ 감사합니다.
  • 작성자아낄래요 | 작성시간 24.03.08 오늘도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한 하루 되세요.~^^
  • 작성자안나쌤 | 작성시간 24.03.08 아멘!
  • 작성자혜원 | 작성시간 24.03.08 아멘. 감사합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