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전삼용 신부 강론

[스크랩] 2024년 2월 29일 나해 사순 제2주간 목요일 (루카 16,19-31)<부자가 불행할 수밖에 없는 과학적 이유>

작성자stellakang|작성시간24.02.29|조회수246 목록 댓글 7

2024년 2월 29일 나해 사순 제2주간 목요일 (루카 16,19-31)

 

복음

<너는 좋은 것들을 받았고, 라자로는 나쁜 것들을 받았다. 그래서 그는 이제 여기에서 위로를 받고 너는 고초를 겪는 것이다.>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16,19-31
그때에 예수님께서 바리사이들에게 말씀하셨다.
19 “어떤 부자가 있었는데,
그는 자주색 옷과 고운 아마포 옷을 입고 날마다 즐겁고 호화롭게 살았다.
20 그의 집 대문 앞에는 라자로라는 가난한 이가 종기투성이 몸으로 누워 있었다.
21 그는 부자의 식탁에서 떨어지는 것으로 배를 채우기를 간절히 바랐다.
그러나 개들까지 와서 그의 종기를 핥곤 하였다.
22 그러다 그 가난한 이가 죽자 천사들이 그를 아브라함 곁으로 데려갔다.
부자도 죽어 묻혔다. 23 부자가 저승에서 고통을 받으며 눈을 드니,
멀리 아브라함과 그의 곁에 있는 라자로가 보였다.
24 그래서 그가 소리를 질러 말하였다.
‘아브라함 할아버지, 저에게 자비를 베풀어 주십시오.
라자로를 보내시어 그 손가락 끝에 물을 찍어 제 혀를 식히게 해 주십시오.
제가 이 불길 속에서 고초를 겪고 있습니다.’
25 그러자 아브라함이 말하였다. ‘얘야, 너는 살아 있는 동안에 좋은 것들을 받았고
라자로는 나쁜 것들을 받았음을 기억하여라.
그래서 그는 이제 여기에서 위로를 받고 너는 고초를 겪는 것이다.
26 게다가 우리와 너희 사이에는 큰 구렁이 가로놓여 있어,
여기에서 너희 쪽으로 건너가려 해도 갈 수 없고
거기에서 우리 쪽으로 건너오려 해도 올 수 없다.’
27 부자가 말하였다.
‘그렇다면 할아버지, 제발 라자로를 제 아버지 집으로 보내 주십시오.
28 저에게 다섯 형제가 있는데, 라자로가 그들에게 경고하여
그들만은 이 고통스러운 곳에 오지 않게 해 주십시오.’
29 아브라함이, ‘그들에게는 모세와 예언자들이 있으니
그들의 말을 들어야 한다.’ 하고 대답하자,
30 부자가 다시 ‘안 됩니다, 아브라함 할아버지!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누가 가야 그들이 회개할 것입니다.’ 하였다.
31 그에게 아브라함이 이렇게 일렀다.
‘그들이 모세와 예언자들의 말을 듣지 않으면,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누가 다시 살아나도 믿지 않을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부자가 불행할 수밖에 없는 과학적 이유

부자가 되면 행복할까요? 그렇다면 돈 많은 사람들이 돈 때문에 자살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입니다. 독일에서는 1조 원 가진 부자가 자살한 예도 있었습니다. 15조 원 가졌다가 미국 리먼 브러더스 사건 때 14조 원을 잃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사실 우리는 처음부터 아무것도 가진 게 없었습니다.

오늘 복음은 부자와 거지 라자로 이야기입니다. 부자는 지옥 갔고 라자로는 천국에 갔습니다. 성경에 따르면 부자는 이 세상에서 좋은 것을 받았고 거지는 나쁜 것을 받아서라고 합니다. 다시 말하면 부자는 이 세상에서 행복했고, 거지는 불행했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렇지 않습니다. 이 지상에서 천국 갈 것처럼 잘 살다가 한순간에 지옥이라는 나락으로 떨어지는 예는 없습니다. 반대도 마찬가지입니다.

천국에 가는 사람들은 이 지상에서부터 점점 더 행복해졌던 사람이고 지옥에 가는 사람들은 조금씩 더 불행해졌던 사람입니다. 우리가 부자가 행복할 것이란 착각 때문에 이 지상에서는 고통받으며 살아야 한다고 잘못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 지상에서 가장 행복하셨던 분은 십자가에 달리신 그리스도이셨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왜 부자가 천국 들어가기가 낙타가 바늘 통과하는 것보다 어렵다고 하셨는지 그것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헤밍웨이는 엽총으로 자살한 사람입니다. 그런데 그는 부족한 게 없었습니다. 노벨 문학상을 탄 소설가였고 그 덕분으로 부와 명예, 가족도 있었습니다. 그는 왜 자신이 끊어진 필라멘트와 같다고 말했을까요? 그가 죽어야 했던 이유는 그가 마지막으로 쓴 『노인과 바다』라는 소설로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한 노인이 아주 커다란 물고기를 잡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며칠 동안의 사투 끝에 엄청나게 큰 물고기를 잡았습니다. 배에 실을 수 없어서 옆에 밧줄로 매어 자랑스럽게 항구 마을로 향하고 있었습니다. 그때 상어 떼가 나타나 그 물고기를 물어뜯습니다. 노인이 노를 가지고 쫓아보려 했지만, 역부족이었습니다.

만신창이가 되어 항구로 돌아왔을 때는 생선 머리만 남아있었습니다. 노인은 침대에 푹 쓰러져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헤밍웨이는 엄청난 명예를 얻었지만, 말년에 이전과 같은 작품의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았습니다. 이전에 얻은 기쁨보다 지금 가진 것을 잃을 고통 때문에 더 큰 무언가를 잡으려 했지만, 결과적으로 아무것도 잡히는 게 없었던 것입니다.

학자들은 얻는 것, 가진 것보다 잃는 것, 그리고 잃을 것 같은 두려움의 고통이 두 배 정도 더 크다고 합니다. 사람들이 도박에 빠지는 이유가 이것입니다.

만약 어떤 사람이 사람들에게 20달러씩 주고 50% 확률 게임에서 이기면 50달러를 더 딸 수 있다고 한다면 사람들은 도박하지 않습니다. 굳이 공짜로 얻은 20달러를 잃을 위험을 감수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처음에 50달러를 주었다가 미안하다며 30달러를 빼앗고 배팅을 하려면 하라고 하면 대부분이 다 합니다. 왜냐하면 자기 돈이 50달러였는데 20달러 공짜로 가지게 된 것보다 30달러 잃은 고통이 더 커서 어떻게 해서든 그것을 만회하려 하기 때문입니다.

똑같이 20달러를 공짜로 받고도 자기 것을 조금이라도 잃었다고 생각하면 사람들은 참아낼 수 없습니다. 이것은 왜 돈을 빌린 사람보다 꾸어준 사람이 더 고통을 당하는지도 설명해 줍니다.

왜 미국이나 다른 나라의 거부들은 자기들 재산을 자녀에게 주지 않고 다 기부하겠다고 말할까요? 만약 자녀에게 물려주면 그 돈이 어쨌거나 자기 돈처럼 여겨지기 때문에 잃을 두려움에 행복할 수 없음을 알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어떻게 하면 될까요? 모든 것에 십일조를 내면 됩니다. 돈과 시간과 재능의 십일조를 내면 어차피 그것이 내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잃는 고통도 없습니다. 그러면 그것들로 인생을 즐기며 살 수 있는 것입니다.

어차피 내 것이 하나도 없었다고 생각하며 산 사람이 거지 라자로입니다. 그러니까 그는 거지였지만, 잃는 두려움 없이 가진 것을 나누며 행복할 수 있었습니다.

부자는 자기가 무엇을 가졌다고 여기니 이 세상에서부터 고통의 굴레에 묶여 살았어야 합니다. 이 세상에서부터 우리 마음속에 천국과 지옥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평화의 사도들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발아래 | 작성시간 24.02.29 아멘. 감사합니다.
  • 작성자블라섬 | 작성시간 24.02.29 †아멘~감사합니다,
    stellakang 님, 수고 많으셨구요..
  • 작성자들꽃1 | 작성시간 24.02.29 감사합니다!
  • 작성자마리아로사 | 작성시간 24.02.29 아멘.
    감사합니다.
  • 작성자창수선화 | 작성시간 24.03.01 아멘! 감사합니다 ~❤️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