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전삼용 신부 강론

[스크랩] 2024년 3월 1일 나해 사순 제2주간 금요일 (마태오 21,33-43.45-46)<십일조를 전혀 힘들이지 않고 바치는 법>

작성자stellakang|작성시간24.03.01|조회수309 목록 댓글 8

2024년 3월 1일 2024년 나해 사순 제2주간 금요일 (마태오 21,33-43.45-46)

 

복음

<저자가 상속자다. 자, 저자를 죽여 버리자.>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21,33-43.45-46
그때에 예수님께서 수석 사제들과 백성의 원로들에게 말씀하셨다.
33 “다른 비유를 들어 보아라. 어떤 밭 임자가 ‘포도밭을 일구어
울타리를 둘러치고 포도 확을 파고 탑을 세웠다.’
그리고 소작인들에게 내주고 멀리 떠났다.
34 포도 철이 가까워지자
그는 자기 몫의 소출을 받아 오라고 소작인들에게 종들을 보냈다.
35 그런데 소작인들은 그들을 붙잡아 하나는 매질하고
하나는 죽이고 하나는 돌을 던져 죽이기까지 하였다.
36 주인이 다시 처음보다 더 많은 종을 보냈지만,
소작인들은 그들에게도 같은 짓을 하였다.
37 주인은 마침내 ‘내 아들이야 존중해 주겠지.’ 하며 그들에게 아들을 보냈다.
38 그러나 소작인들은 아들을 보자, ‘저자가 상속자다. 자, 저자를 죽여 버리고
우리가 그의 상속 재산을 차지하자.’ 하고 저희끼리 말하면서,
39 그를 붙잡아 포도밭 밖으로 던져 죽여 버렸다.
40 그러니 포도밭 주인이 와서 그 소작인들을 어떻게 하겠느냐?”
41 “그렇게 악한 자들은 가차 없이 없애 버리고,
제때에 소출을 바치는 다른 소작인들에게 포도밭을 내줄 것입니다.”
하고 그들이 대답하자, 42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는 성경에서 이 말씀을 읽어 본 적이 없느냐?
‘집 짓는 이들이 내버린 돌, 그 돌이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었네.
이는 주님께서 이루신 일, 우리 눈에 놀랍기만 하네.’
43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하느님께서는 너희에게서 하느님의 나라를 빼앗아,
그 소출을 내는 민족에게 주실 것이다.”
45 수석 사제들과 바리사이들은 이 비유들을 듣고서
자기들을 두고 하신 말씀인 것을 알아차리고,
46 그분을 붙잡으려고 하였으나 군중이 두려웠다.
군중이 예수님을 예언자로 여겼기 때문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십일조를 전혀 힘들이지 않고 바치는 법

오늘 복음은 ‘못된 소작인의 비유’입니다. 이 비유는 아담과 하와가 왜 에덴동산에서 쫓겨났는지 설명해줍니다. 바로 선악과를 바치지 않아서입니다. 바로 소출의 일부를 주인에게 바치지 않아서입니다. 그것을 바치게 되지 않은 이유는 자신들이 주님의 덕분으로 살아가고 있음을 잊었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되는 것이 바로 자신들을 위해 모든 것을 내어놓으신 주인님을 살해하는 것과 같습니다.

소작인들은 이렇게 결의합니다. “저자가 상속자다. 자, 저자를 죽여 버리고 우리가 그의 상속 재산을 차지하자.” 자신들이 주인님이 되려고 하니 주인님이 죽게 됩니다. 내가 옳다고 조금이라도 믿는다면 진리로 오시는 분을 죽이는 것이 됩니다. 내 안에 능력이 있었다고 믿는다면 전능하신 분을 죽이는 게 됩니다.

내 안에 생명력이 존재한다고 믿으면 성체로 오시는 참 생명이신 분을 죽게 만듭니다. 우리는 ‘아무것도 아닙니다.’ 우리는 스스로 존재할 수도 없고 스스로 살아갈 수도 없고 스스로 옳은 길을 선택할 수도 없습니다. 주님께서는 당신 없이는 우리가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하십니다. 내가 무언가 할 수 있다고 말할 때 모든 것을 해 주시는 분을 죽여 버리는 게 됩니다.

그렇다면 주님 앞에서 못된 소작인이 되지 않기 위해 우리는 겸손함을 키우고 감사함을 키워 모든 게 주님 덕분임을 고백할 수 있는 믿음이 있어야 합니다. 정말 부모가 되어보기 전에는 절대 부모의 마음을 알 수 없다고 하듯 우리도 마찬가지입니다.

주인님의 마음을 알려면 주인님이 되어보는 수밖에 없고 하느님의 마음을 알려면 하느님이 되어보는 수밖에 없습니다. 하느님이 된다는 말이 교만처럼 여겨지지만, 이 길이 겸손해지는 유일한 길입니다.

김희아 씨는 모반을 가지고 태어나서 부모에게 버림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그녀는 자기를 버린 어머니를 사랑한다고 고백합니다. 어떻게 보지도 못한, 그리고 자신을 버린 어머니를 사랑할 수 있을까요? 그녀가 자기 딸에게서 자신을 보았기 때문입니다. 딸을 키우며 그렇게 태어나서 키울 수 없는 어머니의 마음을 느낀 것입니다. 어머니가 되어보지 않고서는 어머니의 마음을 절대 알 수 없습니다.

요즘 사순이라 구역 판공을 하고 있습니다. 시간이 부족하여 두세 구역씩 묶어서 하고 있습니다. 덕분에 한 구역에 두세 분씩이라도 냉담하시던 분들이 고해성사를 보러 오십니다. 냉담을 풀기에 성당까지는 너무 멀었던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소공동체 봉사자들, 특별히 반장님들의 역할이 큽니다. 그분들의 설득이 아니면 냉담하시던 분들은 사제에게 고해성사하고 면담까지 하는 용기를 낼 수 없었을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소공 봉사자분들도 다 느끼시겠지만, 저는 특별히 ‘강생의 신비’를 느낍니다. 저희 아버지께서 재래식 화장실에 떨어진 채변봉투를 주워주시기 위해 그 냄새나고 더러운 곳까지 손을 뻗쳐 그것을 건져주신 일이 있었습니다. 그것은 하나의 죽음이었습니다. 그 덕분으로 저는 학교에서 혼나지 않을 수 있었습니다. 마찬가지입니다.

제가 가지 않아도 되는 곳까지 굳이 가게 되는 것도 하나의 강생의 신비입니다. 하느님께서 인간 속으로 내려오시는 것과는 비교도 안 되겠지만, 어쨌거나 신자들 속으로 들어가는 것은 하나의 낮춤이고 아버지가 되어감입니다. 그러며 저를 위해 낮아지신 아버지와 하느님께 대한 감사가 더 크게 다가옵니다.

아버지와 하느님께서 하신 일을 함으로써 그분들에게 고마움을 갖게 되는 게 교만일까요? 오늘 복음에서 못된 소작인들이 정말 못된 것은 그들이 또 다른 누군가에게 자신의 것을 맡기며 살게 한 일이 없다는 데 있습니다. 받았으면 베풀어야 합니다.

베풀다 보면 그렇게 베풀었는데 그것을 자기 것으로 삼으려고 주인을 외면하는 잘못이 얼마나 큰지 알 수 있었을 것입니다. 그러니 선교합시다. 선교는 하느님이 되는 길입니다. 새로운 하느님 자녀를 탄생시키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이 일을 하며 고생을 할 때만 하느님께서 우리를 당신 자녀로 삼으시기 위해 사람이 되시고 십자가에 못 박히신 고통이 어떤 것인지 조금은 느끼게 될 것입니다. 그러면 나의 구원자 하느님 앞에서 십일조를 바치는데 전혀 어려움을 느끼지 않게 될 것입니다.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평화의 사도들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piano | 작성시간 24.03.01 베품도 또한 주님것입니다.
    봉사를 한다는것이 내가 해준다고 지금까지 생각했었는데 그 재능도 주님이 주신거라는걸 ᆢ
    감사하는 주일 보내셔요^^~
  • 작성자남유나마리아 | 작성시간 24.03.01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작성자발아래 | 작성시간 24.03.01 아멘. 감사합니다.
  • 작성자마리아로사 | 작성시간 24.03.04 아멘.
    감사합니다.
  • 작성자도마 철 | 작성시간 24.03.04 감사합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