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전삼용 신부 강론

[스크랩] 2024년 3월 25일 나해 성주간 월요일 (요한 12,1-11)<왜 자비로운 사람에게만 은총을 주시는가?>

작성자stellakang|작성시간24.03.25|조회수345 목록 댓글 7

2024년 3월 25일 나해 성주간 월요일 (요한 12,1-11)

 

복음

<이 여자를 그냥 놔두어라. 그리하여 내 장례 날을 위하여 이 기름을 간직하게 하여라.>
✠ 요한이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12,1-11
1 예수님께서는 파스카 축제 엿새 전에 베타니아로 가셨다.
그곳에는 예수님께서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다시 일으키신 라자로가 살고 있었다.
2 거기에서 예수님을 위한 잔치가 베풀어졌는데, 마르타는 시중을 들고
라자로는 예수님과 더불어 식탁에 앉은 이들 가운데 끼여 있었다.
3 그런데 마리아가 비싼 순 나르드 향유 한 리트라를 가져와서,
예수님의 발에 붓고 자기 머리카락으로 그 발을 닦아 드렸다.
그러자 온 집 안에 향유 냄새가 가득하였다.
4 제자들 가운데 하나로서 나중에 예수님을 팔아넘길 유다 이스카리옷이 말하였다.
5 “어찌하여 저 향유를 삼백 데나리온에 팔아
가난한 이들에게 나누어 주지 않는가?”
6 그가 이렇게 말한 것은,
가난한 이들에게 관심이 있어서가 아니라 도둑이었기 때문이다.
그는 돈주머니를 맡고 있으면서 거기에 든 돈을 가로채곤 하였다.
7 예수님께서 이르셨다. “이 여자를 그냥 놔두어라.
그리하여 내 장례 날을 위하여 이 기름을 간직하게 하여라.
8 사실 가난한 이들은 늘 너희 곁에 있지만, 나는 늘 너희 곁에 있지는 않을 것이다.”
9 예수님께서 그곳에 계시다는 것을 알고 많은 유다인들의 무리가 몰려왔다.
예수님 때문만이 아니라,
그분께서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다시 일으키신 라자로도 보려는 것이었다.
10 그리하여 수석 사제들은 라자로도 죽이기로 결의하였다.
11 라자로 때문에 많은 유다인이 떨어져 나가 예수님을 믿었기 때문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왜 자비로운 사람에게만 은총을 주시는가?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은 전능하신 능력자 하느님으로 등장하십니다. 예수님은 방금 죽은 라자로를 살리셨습니다. 라자로의 동생 마리아는 예수님께 수천만 원에 해당하는 향유를 발에 붓고 머리를 닦습니다. 가리옷 유다는 그걸 가난한 자에게 주면 더 좋았을 것이라 말합니다. 그러나 부모에게 아끼는 사람이 형제를 사랑할 수 있을까요? 부모 때문에 형제를 사랑하게 됩니다. 예수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이 여자를 그냥 놔두어라. 그리하여 내 장례 날을 위하여 이 기름을 간직하게 하여라. 사실 가난한 이들은 늘 너희 곁에 있지만, 나는 늘 너희 곁에 있지는 않을 것이다.”

예수님의 죽음은 우리에겐 은총입니다. 은총을 주시는데 전혀 반응이 없다면 그분도 더는 바보가 되려 하지는 않으실 것입니다. 자비를 입으려면 먼저 자비로워야 합니다. 그 순서도 있습니다. 하느님, 부모, 형제, 이웃들입니다.

SBS TV 동물농장, 애니멀봐에서 같은 날 태어난 풍산개 남매가 서로 밥 먹을 때만 싸우는 내용이 나왔습니다. 평소에는 매우 친하지만, 밥만 나오면 유독 오빠 개는 자기 먹을 것은 먹지도 않으면서 동생 개가 밥을 먹지 못하고 뭅니다. 전문가들은 이것이 서열 정리라고 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주인이라면 형제에게 자비롭지 못한 개에게 밥을 더 주겠습니까? 주인은 그 오빠 개를 묶어놓고 동생 개에게만 음식을 편히 먹을 수 있도록 줍니다. 그다음에 오빠 개도 주기는 합니다. 음식은 주는 일은 자비입니다. 자비로운 사람은 자기가 음식을 주는 대상도 자비롭게 되기를 바랍니다. 그렇지 않으면 그 대상에게 자기가 자비를 행하는 것이 아니라 강탈당하는 느낌을 받기 때문입니다. 하느님도 마찬가지이십니다.

어린이를 사랑하여 ‘어린이날’을 제정한 아동 문학가 소파 방정환 선생의 일화입니다. 어느 날 밤, 방정환 선생의 집에 강도가 들었습니다. 칼을 든 강도를 만난 선생은 차분히 말했습니다. “돈이 필요하면 그냥 달라고 하면 되지, 무슨 칼까지 들이대고 그러시오. 돈이 필요하다면 내가 주겠소.”

너무도 부드럽고 친절한 방정환 선생의 말에 강도가 더 당황했습니다. 선생이 준 뭉칫돈을 주섬주섬 챙겨 나가려 하는 강도에게 방정환 선생이 다시 말했습니다. “이보시오. 달라고 해서 줬으면 고맙다는 인사는 해야 하지 않소.” “고... 고맙습니다.”

그런데 때마침 근처를 지나가던 경찰에게 강도가 붙잡힌 것입니다. 방정환 선생 집으로 들어온 경찰과 강도를 본 선생은 태연하게 말했습니다.

“허허. 또 오셨네! 방금 준 돈을 벌써 다 쓰셨단 말이오.” 그러자 경찰이 말했습니다. “아닙니다. 이 자가 여기서 강도질을 했다고 자백했습니다.” 경찰의 말을 들은 방정환 선생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저 사람은 강도가 아닙니다. 사정이 딱한 것 같아 내가 그에게 돈을 주었습니다. 내가 준 돈을 받고 고맙다고 인사까지 한 사람인데, 어떻게 저자가 강도입니까.”

방정환 선생의 말에 경찰은 의아했지만 어쩔 수 없이 강도를 풀어주었습니다. 경찰이 가고 나서 강도는 무릎을 꿇고 눈물을 흘리며 용서를 빌었습니다. “제가 정말 잘못했습니다. 앞으로는 절대 나쁜 짓을 하지 않겠습니다.”

소파 방정환 선생은 강도에게 감사하다는 말 한마디를 받아내려 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강도가 되기 때문입니다. 감사하면 은혜를 받은 사람입니다. 그래서 주님께서도 우리에게 억지로라도 선악과, 혹은 십일조, 혹은 작은 감사의 기도라도 받으려고 하시는 것입니다. 이는 당신을 위해서가 아니라 우리가 은총으로 악해지기를 원치 않으시기 때문입니다. 자비로운 사람만이 자비를 입습니다.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평화의 사도들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블라섬 | 작성시간 24.03.25 †아멘~감사합니다,
    stellakang 님, 좋은한주 만드시길요..
  • 작성자도마 철 | 작성시간 24.03.25 감사합니다..
  • 작성자발아래 | 작성시간 24.03.25 아멘. 감사합니다.
  • 작성자들꽃1 | 작성시간 24.03.25 감사합니다!
  • 작성자마리아로사 | 작성시간 24.03.26 아멘.
    감사합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