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송영진 신부 강론

2023년 12월 15일 대림 제2주간 금요일『이 세대를 무엇에 비기랴?』송영진 모세 신부

작성자stellakang|작성시간23.12.15|조회수179 목록 댓글 6

<대림 제2주간 금요일 강론>(2023. 12. 15. 금)(마태 11,16-19)

 

복음

<그들은 요한의 말도 사람의 아들의 말도 듣지 않는다.>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11,16-19
그때에 예수님께서 군중에게 말씀하셨다.
16 “이 세대를 무엇에 비기랴?
장터에 앉아 서로 부르며 이렇게 말하는 아이들과 같다.
17 ‘우리가 피리를 불어 주어도 너희는 춤추지 않고
우리가 곡을 하여도 너희는 가슴을 치지 않았다.’
18 사실 요한이 와서 먹지도 않고 마시지도 않자,
‘저자는 마귀가 들렸다.’ 하고 말한다.
19 그런데 사람의 아들이 와서 먹고 마시자,
‘보라, 저자는 먹보요 술꾼이며 세리와 죄인들의 친구다.’ 하고 말한다.
그러나 지혜가 옳다는 것은 그 지혜가 이룬 일로 드러났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이 세대를 무엇에 비기랴?』

 

“이 세대를 무엇에 비기랴? 장터에 앉아 서로 부르며 이렇게

말하는 아이들과 같다. ‘우리가 피리를 불어 주어도 너희는

춤추지 않고, 우리가 곡을 하여도 너희는 가슴을 치지 않았다.’

사실 요한이 와서 먹지도 않고 마시지도 않자, ‘저자는 마귀가

들렸다.’ 하고 말한다. 그런데 사람의 아들이 와서

먹고 마시자, ‘보라, 저자는 먹보요 술꾼이며 세리와

죄인들의 친구다.’ 하고 말한다. 그러나 지혜가 옳다는 것은

그 지혜가 이룬 일로 드러났다(마태 11,16-19).”

 

이 말씀은, 세례자 요한의 ‘회개 선포’도 거부하고, 예수님의

‘복음 선포’도 거부하는 자들을 꾸짖으신 말씀입니다.

<‘호소’도 아니고, ‘요청’도 아니고, ‘꾸중’이고 ‘경고’입니다.

계속 그렇게 거부하면

구원받지 못하고 멸망하게 될 것이라는 ‘경고’.>

“우리가 곡을 하여도 너희는 가슴을 치지 않았다.” 라는

말에서 예수님의 다음 말씀이 연상됩니다.

“예루살렘의 딸들아, 나 때문에 울지 말고 너희와 너희 자녀들

때문에 울어라. 보라, ‘아이를 낳지 못하는 여자, 아이를 배어

보지 못하고 젖을 먹여 보지 못한 여자는 행복하여라!’ 하고

말할 날이 올 것이다. 그때에 사람들은 ‘산들에게 ′우리 위로

무너져 내려라.‵ 하고, 언덕들에게 ′우리를 덮어 다오.‵

할’ 것이다. 푸른 나무가 이러한 일을 당하거든

마른나무야 어떻게 되겠느냐?(루카 23,28-31)”

이 말씀은, “회개하여라.” 라는 뜻입니다.

<나중에 후회하지 말고 지금 회개하라는 것입니다.>

세례자 요한은 회개를 선포할 때 이렇게 경고했습니다.

“독사의 자식들아, 다가오는 진노를 피하라고 누가 너희에게

일러 주더냐? 회개에 합당한 열매를 맺어라.

도끼가 이미 나무뿌리에 닿아 있다. 좋은 열매를 맺지 않는

나무는 모두 찍혀서 불 속에 던져진다. (그분께서는) 손에 키를

드시고 당신의 타작마당을 깨끗이 하시어,

알곡은 곳간에 모아들이시고 쭉정이는 꺼지지 않는 불에

태워 버리실 것이다(마태 3,7ㄴ-8.10.12).”

이 말은, 형식적으로 회개하는 척만 하고 진정한 회개를

하지 않는 자들, 즉 ‘쭉정이’ 같은 자들은

심판을 받고 멸망을 당하게 될 것이라는 경고입니다.

 

“우리가 피리를 불어 주어도 너희는 춤추지 않고” 라는 말은,

‘혼인 잔치의 비유’에 연결됩니다.

“하늘나라는 자기 아들의 혼인 잔치를 베푼 어떤 임금에게 비길

수 있다. 그는 종들을 보내어 혼인 잔치에 초대받은 이들을

불러오게 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오려고 하지 않았다. 임금은

진노하였다. 그래서 군대를 보내어 그 살인자들을 없애고

그들의 고을을 불살라 버렸다(마태 22,2-3.7).”

이 비유도, 복음을 거부하는 자들은 심판을 받고

멸망을 당하게 될 것이라는 경고입니다.

그런데 세례자 요한의 ‘회개 선포’와 예수님의 ‘복음 선포’는

원래 ‘경고’가 아니라 ‘기쁜 소식’이었습니다.

세례자 요한의 첫 선포는

“회개하여라. 하늘나라가 가까이 왔다(마태 3,2).”입니다.

이 말은, “회개하면 하늘나라에 들어갈 수 있다.” 라는

‘기쁜 소식’입니다.

예수님의 첫 선포도 똑같습니다.

“그때부터 예수님께서는 ‘회개하여라. 하늘나라가 가까이 왔다.’

하고 선포하기 시작하셨다(마태 4,17).”

선포는 똑같은데, 세례자 요한은 ‘메시아의 일’을 준비하는

예언자로서 ‘회개’에 초점을 맞추었고, 예수님께서는 메시아로서

‘구원’에 초점을 맞추셨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어떻든 회개하고 복음을 받아들이는 사람들에게는

두 선포가 모두 ‘구원의 기쁜 소식’이 되지만,

회개도 거부하고 복음도 거부하는 자들에게는

두 선포가 모두 ‘심판과 멸망의 경고’가 됩니다.

 

예수님의 말씀에서 “지혜가 옳다는 것은”이라는 말씀은,

세례자 요한의 ‘회개 선포’와 당신의 ‘복음 선포’는 둘 다,

인류를 구원하시려는 하느님의 자비를 전하는

‘기쁜 소식’이라는 뜻입니다.

“그 지혜가 이룬 일로 드러났다.” 라는 말씀은, 회개하고 복음을

믿어서 구원받게 된 사람들이, 두 선포가 모두 인류 구원을

바라시는 ‘하느님 자비의 선포’였음을 증명한다는 뜻입니다.

이 말은, 회개도 거부하고 복음도 거부하는 자들은

‘하느님의 자비’를 거부하는 자들이기 때문에,

구원받지 못하고 멸망을 당하게 된다는 경고가 되기도 합니다.

 

‘하느님의 자비’를 거부하는 어리석은 인간들의 모습은

오늘날에도 여전합니다.

그들은 왜 거부할까?

회개하라는 말은 듣기 싫고, 복음을 믿어서 구원받으라는 말에는

관심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그들이 듣고 싶어 하는 말은 무엇일까?

또 무엇에 관심을 쏟고 있을까?

그들은 세속의 부귀영화를 누리는 방법에 관한 말과

현세에서 복을 얻어 누리는 방법에 관한 말만 듣고 싶어 하고,

그런 것에만 관심이 있습니다.

요즘에 사람들이 몰려드는 사이비 종교들을 보면,

회개하라는 말은 한 마디도 하지 않고,

세속의 복을 얻는 방법 같은 것만 말합니다.

<우리 교회 안에서도 기복신앙의 성향을 띠고 있는 강사들은

인기가 많고, 회개를 말하는 강사들은 인기가 없습니다.

그것은 부정할 수 없는 현실입니다.>

대림 시기는 회개하는 시기입니다.

그런데 회개는 대충 하고,

성탄의 기쁨만 누리려고 하는 모습을 볼 때가 많습니다.

참된 회개가 없으면 참된 기쁨도 없습니다.

대림 시기를 생략하고 성탄절로 직행할 수도 없습니다.

성탄절을 잘 맞이하려면 대림 시기를 잘 지내야 합니다.

 

[출처] 대림 제2주간 금요일 강론|작성자 송영진 모세 신부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조나단 | 작성시간 23.12.15 아멘 신부님 stellakang 님 고맙습니다.
  • 작성자하늘 바래기 | 작성시간 23.12.15 아멘~!
    감사합니다.
  • 작성자발아래 | 작성시간 23.12.15 아멘. 감사합니다.
  • 작성자가을비 | 작성시간 23.12.15 아멘 ~♡감사합니다
  • 작성자바람의노래 | 작성시간 23.12.16 아멘 감사합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