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송영진 신부 강론

[스크랩] 2024년 3월 12일 사순 제4주간 화요일『더 나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송영진 모세 신부

작성자stellakang|작성시간24.03.12|조회수112 목록 댓글 9

<사순 제4주간 화요일 강론>(2024. 3. 12. 화)(요한 5,1-16)

복음

<그 사람은 곧 건강하게 되었다.>
✠ 요한이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5,1-16
1 유다인들의 축제 때가 되어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에 올라가셨다.
2 예루살렘의 ‘양 문’곁에는 히브리 말로 벳자타라고 불리는 못이 있었다.
그 못에는 주랑이 다섯 채 딸렸는데,
3 그 안에는 눈먼 이, 다리저는 이,
팔다리가 말라비틀어진 이 같은 병자들이 많이 누워 있었다.
(4)·5 거기에는 서른여덟 해나 앓는 사람도 있었다.
6 예수님께서 그가 누워 있는 것을 보시고
또 이미 오래 그렇게 지낸다는 것을 아시고는,
“건강해지고 싶으냐?” 하고 그에게 물으셨다.
7 그 병자가 예수님께 대답하였다.
“선생님, 물이 출렁거릴 때에 저를 못 속에 넣어 줄 사람이 없습니다.
그래서 제가 가는 동안에 다른 이가 저보다 먼저 내려갑니다.”
8 예수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일어나 네 들것을 들고 걸어가거라.”
9 그러자 그 사람은 곧 건강하게 되어 자기 들것을 들고 걸어갔다.
그날은 안식일이었다.
10 그래서 유다인들이 병이 나은 그 사람에게,
“오늘은 안식일이오. 들것을 들고 다니는 것은 합당하지 않소.” 하고 말하였다.
11 그가 “나를 건강하게 해 주신 그분께서 나에게,
‘네 들것을 들고 걸어가라.’ 하셨습니다.” 하고 대답하자,
12 그들이 물었다. “당신에게 ‘그것을 들고 걸어가라.’ 한 사람이 누구요?”
13 그러나 병이 나은 이는 그분이 누구이신지 알지 못하였다.
그곳에 군중이 몰려 있어 예수님께서 몰래 자리를 뜨셨기 때문이다.
14 그 뒤에 예수님께서 그 사람을 성전에서 만나시자 그에게 이르셨다.
“자, 너는 건강하게 되었다.
더 나쁜 일이 너에게 일어나지 않도록 다시는 죄를 짓지 마라.”
15 그 사람은 물러가서 자기를 건강하게 만들어 주신 분은
예수님이시라고 유다인들에게 알렸다.
16 그리하여 유다인들은 예수님께서 안식일에 그러한 일을 하셨다고 하여,
그분을 박해하기 시작하였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더 나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거기에는 서른여덟 해나 앓는 사람도 있었다. 예수님께서

그가 누워 있는 것을 보시고 또 이미 오래 그렇게 지낸다는

것을 아시고는, ‘건강해지고 싶으냐?’ 하고 그에게 물으셨다.

그 병자가 예수님께 대답하였다. ‘선생님, 물이 출렁거릴

때에 저를 못 속에 넣어 줄 사람이 없습니다. 그래서 제가

가는 동안에 다른 이가 저보다 먼저 내려갑니다.’

예수님께서 그에게 말씀하셨다. ‘일어나 네 들것을 들고

걸어가거라.’ 그러자 그 사람은 곧 건강하게 되어 자기

들것을 들고 걸어갔다. 그날은 안식일이었다(요한 5,5-9).”

 

여기서 “그날은 안식일이었다.” 라는 말은

그냥 지나칠 수 없는 ‘중요한 말’입니다.

이 말은, “사람의 아들은 안식일의 주인이다(마태 12,8).”

라는 말씀에 연결됩니다.

예수님은 안식일보다 위에 계시는 분입니다.

벳자타 못 가에서 병자를 고치신 일은, 어쩌다가 ‘우연히’

일어난 일이 아니라, 안식일이 어떤 날인지를 가르치기

위해서, 예수님께서 의도적으로 하신 일로 해석됩니다.

안식일은 아무것도 안 하는 날이 아니라,

‘좋은 일’(선한 일)과 ‘목숨을 구하는 일’을 해야 하는

날이라는 것이 예수님의 가르침입니다(마르 3,4).

이 이야기는, 예수님께서 병자를 고쳐 주신 일만

전하는 이야기가 아니라, 예수님과 유대인들 사이에 안식일

문제로 갈등과 충돌이 생겼음을 전하는 이야기입니다.

바로 그 부분에 초점을 맞춰야, 그 병자가 왜

예수님을 배신했는지를 설명할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안식일 규정 때문에 생긴 갈등과 충돌은

16절부터 박해 이야기로 이어집니다.

<바오로 사도는 “사실 사람은 율법에 따른 행위와 상관없이

믿음으로 의롭게 된다고 우리는 확신합니다(로마 3,28).”

라고 말합니다.

이 말은, “예수님에 대한 믿음으로 구원받는다.”,

또는 “예수님을 믿어야만 구원받는다.” 라는 뜻입니다.

이 말은, 안식일을 비롯해서 율법들을 잘 지켜야만

구원받는다고 확신하는 유대인들의 신념과

정면으로 부딪치는 말입니다.>

 

그런데 벳자타 못 가의 병자는 예수님이 누구인지

모르고 있었고, 모르니까 예수님을 안 믿고 있었습니다.

그것은 그가 ‘믿음’이 있어서 치유의 은총을 받은 것은

아니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예수님께서는 그의 믿음을 보시고 그를 고쳐 주신 것이

아니라, 그의 처지를 가엾게 여기셔서 고쳐 주셨습니다.

바로 그것이 예수님의 ‘자비’입니다.

예수님께서는 그를 고쳐 주시기 전에나 후에나

당신을 믿으라는 말씀도 하지 않으셨습니다.

<따라서 ‘믿음’은 은총을 받기 위한 ‘조건’이 아니라,

받은 은총에 대한 ‘응답’입니다.

벳자타 못 가의 병자는 믿음이 없는 상태에서 은총을

받았고, 은총을 받은 뒤에도 예수님을 믿기는커녕

배신한 사람인데, 그래도 예수님께서는 그에게 은총을

주신 일을 취소하지 않으셨습니다.

그렇지만 그 일을 병자 쪽에서 바라보면, 그는 예수님을

믿었다면 받게 되었을 ‘구원의 은총’을 받지 못하고

그저 ‘몸의 건강’을 얻은 것으로 그친 사람입니다.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지 못하고 영혼의 구원을 받지

못한다면, 지상에서 몸의 건강을 누리는 것은

아무것도 아닌 일입니다.>

 

“그 뒤에 예수님께서 그 사람을 성전에서 만나시자 그에게

이르셨다. ‘자, 너는 건강하게 되었다. 더 나쁜 일이

너에게 일어나지 않도록 다시는 죄를 짓지 마라.’

그 사람은 물러가서 자기를 건강하게 만들어 주신 분은

예수님이시라고 유다인들에게 알렸다. 그리하여

유다인들은 예수님께서 안식일에 그러한 일을 하셨다고

하여, 그분을 박해하기 시작하였다(요한 5,14-16).”

 

그 병자는 서른여덟 해나 앓던 병이 치유된 기쁨보다

안식일 규정을 어겼다는 이유로 처벌받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이 더 컸던 것 같습니다.

오늘날의 우리는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지만,

글자 그대로 목숨을 걸고 안식일을 지켰던 유대인들의 심정을

생각하면, 충분히 그럴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어떻든 그 병자는 자기를 고쳐 주신 예수님께

감사드리지는 않고, 예수님을 유대인들에게 밀고합니다.

그것은 분명히 배신이고 배은망덕입니다.

“자, 너는 건강하게 되었다.” 라는 예수님 말씀은,

그의 치유가 완전히 이루어졌음을 확인해 주신 말씀입니다.

‘더 나쁜 일’은 ‘영혼의 구원’을 받지 못하게 되는 일입니다.

<‘몸의 치유’는 예수님께서 해 주셨지만, ‘영혼의 구원’을

향해서 나아가는 일은 그 자신이 스스로 해야 합니다.>

여기서 “다시는 죄를 짓지 마라.” 라는 말씀은,

받은 은총을 헛되이 버리지 말라는 뜻입니다.

<신앙인은 이미 주님께서 주신 은총의 씨를 받은 사람입니다.

그 씨를 잘 가꾸고 돌보아서 구원이라는 열매를 맺는 것,

바로 그것이 신앙생활입니다.

‘몸의 치유’로만 만족하면서, 구원의 은총을 향해서 나아가지

않는 것은 주님께서 주신 씨를 헛되이 버리는 것입니다.>

유대인들은 ‘예수님께서 하시는 일’이 ‘구원’이라는 것은

보지 않고, 그날이 안식일이라는 것만 생각하면서

예수님을 박해하기 시작합니다.

그런 유대인들도, 또 몸만 치유되고 구원의 반대쪽으로

가버린 그 병자도, 모두 영혼이 병들어 있는 자들입니다.

<벳자타 못 가에 누워 있는 병자들과 장애자들보다

영혼이 병들어 있는 그자들이 더 불쌍하고

가엾은 사람들입니다.>

 

[출처] 사순 제4주간 화요일 강론|작성자 송영진 모세 신부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평화의 사도들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mychul0502 | 작성시간 24.03.12 오늘을 주신 하느님 감사합니다 아멘~
  • 작성자가을비 | 작성시간 24.03.12 아멘 ~♡감사합니다
  • 작성자발아래 | 작성시간 24.03.12 아멘. 감사합니다.
  • 작성자쉬리* | 작성시간 24.03.12 아멘.
    감사합니다.
  • 작성자혜원 | 작성시간 24.03.12 아멘. 감사합니다 ~🙏💒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