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조재형 신부 강론

[스크랩] 성녀 루치아 동정 순교자 기념일/ 조재형 가브리엘 신부

작성자stellakang|작성시간23.12.13|조회수241 목록 댓글 5

 

제1독서

<전능하신 주님께서는 피곤한 이에게 힘을 주신다.>
▥ 이사야서의 말씀입니다.40,25-31
25 “너희는 나를 누구와 비교하겠느냐? 나를 누구와 같다고 하겠느냐?”
거룩하신 분께서 말씀하신다.
26 너희는 눈을 높이 들고 보아라. 누가 저 별들을 창조하였느냐?
그 군대를 수대로 다 불러내시고
그들 모두의 이름을 부르시는 분이시다.
그분께서는 능력이 크시고 권능이 막강하시어 하나도 빠지는 일이 없다.
27 야곱아, 네가 어찌 이런 말을 하느냐?
이스라엘아, 네가 어찌 이렇게 이야기하느냐?
“나의 길은 주님께 숨겨져 있고
나의 권리는 나의 하느님께서 못 보신 채 없어져 버린다.”
28 너는 알지 않느냐? 너는 듣지 않았느냐?
주님은 영원하신 하느님, 땅끝까지 창조하신 분이시다.
그분께서는 피곤한 줄도 지칠 줄도 모르시고
그분의 슬기는 헤아릴 길이 없다.
29 그분께서는 피곤한 이에게 힘을 주시고
기운이 없는 이에게 기력을 북돋아 주신다.
30 젊은이들도 피곤하여 지치고 청년들도 비틀거리기 마련이지만
31 주님께 바라는 이들은 새 힘을 얻고 독수리처럼 날개 치며 올라간다.
그들은 뛰어도 지칠 줄 모르고 걸어도 피곤한 줄 모른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고생하는 너희는 모두 나에게 오너라.>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11,28-30
그때에 예수님께서 말씀하셨다.
28 “고생하며 무거운 짐을 진 너희는 모두 나에게 오너라.
내가 너희에게 안식을 주겠다.
29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내 멍에를 메고 나에게 배워라.
그러면 너희가 안식을 얻을 것이다.
30 정녕 내 멍에는 편하고 내 짐은 가볍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교우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세도나에 갔을 때입니다. 형제님 한분이 친절하게 안내 해 주었습니다. 형제님은 600번 넘게 세도나를 다녀왔다고 합니다. 세도나의 구석구석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벨락(Bell Rock)’이라는 산에 갔을 때입니다. 형제님은 가파른 바위를 편안하게 올라갔습니다. 제게는 발을 놓을 자리를 알려 주었습니다. 형제님이 안내 해 주는 대로 발을 놓으니 가파른 바위를 가뿐하게 오를 수 있었습니다. 열 개의 징검다리를 건너는 숲길을 갈 때였습니다. 형제님은 제게 나무 지팡이를 준비하라고 했습니다. 나무 지팡이로 균형을 잡으니 물가에서도 균형을 잡고 징검다리를 건널 수 있었습니다. 형제님은 멋진 그림이 나오는 장소에서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해 주었습니다. 형제님이 자리를 잡은 곳에서 사진을 찍으면 모두가 하나의 작품이 되었습니다. 2박 3일의 짧은 일정이었는데도 형제님의 도움으로 꼭 봐야하는 곳을 보면서 알찬 여행을 할 수 있었습니다. 친절한 형제님은 세도나에서 함께 찍었던 사진들을 모두 보내 주었고, 사진을 보면서 세도나에서의 추억을 간직할 수 있었습니다. 70에 가까운 나이임에도 열혈청년처럼 세도나의 이곳저곳을 다니시는 형제님이 있어서 즐거운 여행이 되었습니다.

 

저는 8년간 보좌신부를 하면서 4분의 본당 신부님을 모실 수 있었습니다. 본당 신부님들은 제게 사제가 가야 할 길을 알려 주었습니다. 첫 번째 본당 신부님은 무척 자유로웠습니다. 제게 스키도 가르쳐 주었고, 매일 동네 산보를 같이 다녔습니다. 엄격함과 질서보다는 자유와 넉넉함을 보여주었습니다. 신부님의 자유와 넉넉함은 기도에서 나왔습니다. 사람이 안식일의 주인라고 하셨던 예수님의 말씀처럼 신부님은 사제 생활의 중심은 사제 자신이라는 것을 보여 주었습니다. 뿌리 깊은 나무가 바람에 흔들리지 않는 것처럼 매일 기도에 충실하였던 신부님은 자유를 즐길 줄 아셨습니다. 두 번째 본당 신부님은 합리적이었습니다. 결정을 내리기 전에 수도자와 사목회장과 충분히 협의를 하였습니다. 제게도 자율권을 주었고, 충분히 저의 의견을 들어 주었습니다. 합리적인 신부님의 결정은 겸손함에서 나왔습니다. 사람의 아들은 섬김을 받을 자격이 있지만 섬기러 왔다고 하셨던 예수님의 말씀처럼 신부님은 겸손함으로 사제생활의 길을 제게 보여주었습니다.

 

세 번째 본당 신부님은 조직적이었습니다. 신부님은 ‘적재적소’에 신자들이 봉사할 수 있도록 안배하였습니다. 성전신축을 위해서 사목회와 성전신축위원회를 분리하였습니다. 본당사목과 성전신축이라는 두 업무를 빈틈없이 추진하였습니다. 전 신자가 함께하는 ‘가족캠프’를 기획하였습니다. 기획분과, 총무, 청소년분과에게 적절한 임무를 주었고, 제게는 가족캠프의 총괄책임을 맡겨 주었습니다. 신부님은 본당과 캠프장을 다니면서 필요한 것들을 지원해 주었습니다. 저는 하나를 보면 하나를 알기도 벅찬데 신부님은 하나를 보면 열은 아는 것 같았습니다. 신부님의 조직력은 다양한 독서에서 나왔습니다. 네 번째 본당 신부님은 ‘산해숭심(山海崇深)’이라는 말처럼 영성은 깊고, 지식은 넓었습니다. 신학교에서 성서학을 가르치셨던 신부님은 성서는 물론 문학, 예술, 건축, 경제에도 전문가 못지않은 깊이가 있었습니다. 신부님은 감히 제가 넘을 수 없는 큰 산과 같았습니다. 신부님의 영적인 깊이와 지식의 넓이는 ‘정중동(正中動)’에서 나왔습니다. 모든 것이 쉽게 변하는 시대에 큰 바위 얼굴과 같았던 신부님의 영성이 새삼 그립습니다.

 

본당신부로 8년을 지내면서 보좌신부님들과 지낼 기회가 있었습니다. 과연 나는 제게 큰 가르침을 주었던 본당 신부님들처럼 보좌신부님들을 대했는지 돌아보면 아쉬움이 많습니다. 저는 기도에서 나오는 자유를 보여주지 못했고, 겸손에서 나오는 합리적 결정을 보여주지 못했고, 다양한 독서에서 나오는 조직력을 보여주지 못했고, 정중동에서 나오는 영적인 깊이와 지식의 넓이를 보여주지 못했습니다. 그럼에도 함께 했던 신부님들이 모두 사목의 현장에서 잘 지내고 있음에 감사할 뿐입니다. 제가 ‘청출어람(靑出於藍)’이 되었다면 그것으로도 만족할 뿐입니다. “고생하며 무거운 짐을 진 너희는 모두 나에게 오너라. 내가 너희에게 안식을 주겠다.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내 멍에를 메고 나에게 배워라. 그러면 너희가 안식을 얻을 것이다.”

 



※ 출처 : 미주가톨릭평화신문→ ( 오늘의 복음 묵상)  ▶ 글쓴이 : 조재형 가브리엘 신부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평화의 사도들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하늘 바래기 | 작성시간 23.12.13 아멘~!
    감사합니다.
  • 작성자조나단 | 작성시간 23.12.13 아멘 신부님 stellakang 님 고맙습니다.
  • 작성자발아래 | 작성시간 23.12.13 아멘. 감사합니다.
  • 작성자들꽃1 | 작성시간 23.12.13 감사합니다!
  • 작성자atti | 작성시간 23.12.13 Amen.
댓글 전체보기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