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불순,생리통

작성자주연^^ ;|작성시간04.11.13|조회수131 목록 댓글 0
월경은 말 자체에 깊은 의미가 있다. 한방에서는 자연계(해와 달, 천체, 자연)의 변화에 대해 인체가 반응하여 변화하는 규율이 같다는 천인상응설(天人相應說設)을 기본으로 하여 생리 현상을 설명하고 있다. 그래서 해는 양의 기운의 대표이고 달은 음의 기운의 대표인데 여자는 음양에서 음에 속하고 또 월경시 나오는 출혈도 음에 속하는 것으로 본다. 예전 사람들이 달의 차고 기우는 모습을 보니 여자의 월경혈이 나오는 주기와 비슷하게 맞아떨어진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달마다 흘러나오는 것이라 하여 월경이라고 한 것이다.

생리에 관련된 질환은 여학생들에게 국한되는 증상이다. 요즘에는 식생활의 개선으로 초경이 빨라져서 보통 11세쯤이면 시작된다. 월경에 대한 사전지식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대부분은 매우 당황하게 된다. 이런 때는 부모님이나 선생님의 각별한 관심과 성교육 등이 요구된다. 여자의 생리구조에 대해서부터 간단한 지식을 갖추도록 해야하며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들이 많아진다. 주변사람들이 이런 신체적인 변화등에 무관심하게 되면 예민한 사춘기의 여학생들은 심각한 고민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초경이 있고 나서는 체내 성호르몬의 부조화로 월경의 주기나 시기가 불규칙하기 마련이다. 또한 월경 자체가 곤란한 월경통도 생긴다.

특히 월경전증후군(PMS-premenstrual syndrome)이라 하여 월경전 3∼4일 쯤에 정신적, 육체적, 행동적으로 여러 증상이 복합 출현하는 경우도 있다. 육체적인 것으로 피로, 두통, 복부팽만, 유방동통, 여드름의 증가, 관절통, 소변량감소, 변비 또는 설사, 오심(미식거림), 구토, 헤르페스 등 감염재발, 단 것과 짠 것을 많이 먹고, 술을 많이 먹거나 못먹게 된다. 정신적인 증상으로 불안, 적의감이나 분노, 우울증 등이 있고 심지어는 자살하고 싶은 충동을 느끼기도 한다. 인격이나 행동적으로 남을 헐뜯고 비난하게 되며 남편이나 아이들에게 난폭해지거나 가출하고 싶은 충동을 느끼기도 한다. 이런 월경통은 대부분의 여성에게서 나타나지만 고통을 호소할 정도면 치료의 대상이 된다. 정신과적으로도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생리통은 월경기에 생리기능상의 변조 때문에 다소의 위화감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고, 그 중에서도 하복통과 요통이 많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그 정도가 경미하여 치료를 요하지 않으나 증상이 심해서 동통이 심하거나 장기화되면 특별히 월경통이라하여 적절한 치료를 해야 한다.

한방에서는 통경(痛經,) 경행복통(經行腹痛)이라 하는데 월경곤란증은 병리적 소견이 있으면 속발성 월경곤란증, 없으면 원발성 월경곤란증이라 한다. 속발성에 속하는 질병은 자궁내막증, 골반염, 자궁근종, 자궁종양, 난소기능부전, 골반내 충혈, 자궁 위치 이상 등이 있다.

한방에서 월경병은 월경부조(月經不調)라 하며, 크게 월경주기의 이상과 양, 색의 이상의 3가지로 나뉘는데 실제로는 세 가지의 병변이 개별적으로 나타나는 예는 거의 없다. 월경이 빨라지고 자주 있는 원인은 주로 혈열(血熱)이라고 보는데, 급한 성격으로 화를 잘 내거나 맵고 기름기 있는 음식을 많이 먹었을 때가 해당된다. 기혈이 허약하거나 어혈(瘀血)이 원인이 되어 월경이 빨라지기도 한다.

월경이 느려지고 가끔 있는 것은 우선, 월경 임신과 관련이 깊은 경락인 충임맥이 허해서 오는 경우가 있고, 자궁에 기혈이 응체된 경우, 체내에 노폐물인 담습(痰濕)이 많은 경우도 있다. 또, 몸이 찬 체질인데 차가운 음식을 많이 먹는 경우, 소화가 저해되며 월경에 이상이 오기도 한다. 한편 극심한 주기와 월경량의 난조현상을 경란(經亂)이라고 하는데 보통 간경울결(肝經鬱結-과도한 스트레스)과 비위기허(脾胃氣虛-다이어트 등으로 너무 먹지 않거나 선천적으로 약하게 태어난 경우 등)가 원인이다.

민간요법
생리불순
① 당귀에 적당량의 물을 붓고 절반 정도로 줄어들 때까지 다린다. 이 물을 꾸준히 먹으면 월경불순과 함께 신경이 예민한 사람에 좋다.
② 접시꽃을 달여서 마신다.
③ 익모초와 약쑥을 삶은 물에 꿀을 넣고 조청처럼 달여서 하루에 세 숟가락씩 먹는다. 생리때 통증이 심한 사람에 좋다.
④ 팥을 삶아서 햇볕에 말려 씹어 먹는다.
⑤ 생쑥을 즙을 내어 마신다.

생리통
① 오골계, 백일홍, 백도라지, 접시꽃뿌리를 달여서 마신다.
② 잔대 삶은 물에 북어를 넣고 삶아서 수시로 먹는다.
③ 구절초를 삶은 물에 남은 재료를 넣고 삶아 체에 걸러서 마신다.

치료예
17세의 여학생으로 초경이 늦게서야 시작되었는데 체격이 가늘고 평소에 어지럼증을 호소하던 학생이었다. 월경주기도 맞지 않고 통증이 심하였다. 살이 찔까 봐 밥도 제대로 먹지 않는 학생이었다. 진맥을 하니 맥이 부삭(浮數)하여 허열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색도 하얀 편이었고 설색은 담홍(淡紅)하였다. 혈허로 판단하고 조경산(調經散)을 중심으로 계속 처방을 하니 월경주기도 정상으로 돌아오고 약간 통통해졌다.

핵심
월경이란 여성에게 있어 가장 소중한 현상이다. 성인이 되었다는 증거이며 종족 보존을 위해 필수적인 고결한 의식이다. 그 중요성을 알고 잘 다스리도록 해야 한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