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바이크 스터디

[-바이크 스터디-]이륜차 엔진형식

작성자Ðream of Bike|작성시간04.10.11|조회수6,794 목록 댓글 0
심도깊은 이륜차 메카니즘에 대하여 함께 논(論)해 보고자 합니다.



이륜차 엔진은 자동차의 그것보다 강력하다
이륜차의 엔진타입은 매우 다양하며 각각의 개성을 가지고 있지만 사륜차와는 달리 그 형식, 형상, 위치 등이 운전자의 승차자세나 주행감각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은 간과할 수 없는 것이다. 그 각각의 타입에 대한 특징에 대해서는 실례를 들어 설명하겠지만 이륜차 엔진에도 4기통, 6기통 등이 있다는 사실이 놀라운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놀라운 것은 이러한 이륜차의 엔진출력이 승용차 엔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고출력과 가속성능을 가진 메카니즘이란 것이다.예를 들어보면 현재 국내 승용차 1500cc DOHC 엔진의 경우 104PS/5,000rpm인데 비해 일본 혼다의 HORNET(호네트) 250cc DOHC 엔진은 40ps/13,000rpm이다. 이것을 이해하기 쉽게 동일배기량으로 환산하여 보면 이륜차는 1000cc당 160마력의 힘을 내는 반면, 승용차는 69마력에 불과한 것을 알 수 있다.

신기한 메커니즘의 세계

이러한 이륜차 엔진에 대해서 알면 알수록 신기하게 메카니즘의 세계로 빠져들게 된다. 2싸이클 엔진은 이륜차에만 사용되는 메카니즘!이륜차용 엔진에는 현재 가솔린기관만이 사용되고 있는데 4싸이클(4stroke라고도 함)과 2싸이클(2stroke) 엔진으로 나뉜다. 2싸이클 엔진은 이륜차만의 세계로 자동차에는 현재 채용하고 특수한(?) 분야이다. 그러나 최근 해외 유명 자동차 메이커에서는 간단한 구조 및 고출력 발생의 장점을 살린 2싸이클 엔진을 자동차에 새롭게 채용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2싸이클이 이륜차의 세계에서 끝까지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은 말할것도 없이 경량, 컴팩트, 고토르크, 간단한 구조, 싸이렌 소리 같은 배기음 등으로 누가 뭐래도 경량 Class의 스포츠 바이크에는 없어서는 안될 엔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륜차 엔진에는 트럭이나 버스 등에 많이 채용되고 있는 디젤엔진은 전혀 찾아볼 수 없다. 그럼, 왜 이륜차에는 디젤엔진이 좋지 않는가? 초정밀의 분사기술을 필요로 하는 디젤엔진은 엔진자체가 매우 무겁고 커지게 마련인데 이는 보다 좋은 연비를 얻고자 하는 이륜차에는 불필요한 메카니즘이기 때문이다.이륜차 엔진형식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엔진형식에는 크게 병렬, 직렬, V형, 수평대향형 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직렬형은 실린더가 차체와 나란하게 위치하는 것으로 직립 4기통, 즉 스퀘어(square) 엔진밖에 없다. 2기통의 경우 실린더가 차체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직렬이라고도 할 수 있지만 배치형태가 V자형을 이루고 있어 V형이라 부른다. 그리고 직립엔진이란 말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실린더가 수직으로 서 있다는 뜻으로 병렬 및 직렬형이 여기에 속한다. 이와 대칭되는 것이 수평형엔진이다.


이륜차의 엔진형식






엔진형식에 따른 차이점은 무엇인가?
4싸이클 직립단기통 엔진


이륜차 엔진중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실용적인 엔진으로 국내 일부기종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종에 채용되어 있는 타입이다. 동타입에서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모델로 가장 많은 소비자들로부터 사랑을 받는 기종은 혼다의 「Super Cub」(슈퍼커브)를 들 수 있는데 이는 대림자동차의 CT100과 같은 모델로 50~100cc의 소배기량 엔진으로 연비가 특히 좋아 경제성과 실용성이 뛰어난 제품이다. 그러나 드물게 「빅싱글(Big Single)」 이라고 불리는 고배기량 엔진도 있는데 이것은 「탓! 탓! 탓!」 하는 고배기량 단기통 특유의 중후한 음과 진동, 토르크 등의 독특한 맛이 있어 일부 라이더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다.


메카니즘적인 특징은 SOHC 2밸브가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4밸브가 많이 채용되고 있다. 냉각방식은 자연공냉 및 강제공냉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높은 연비로 경제적이기 때문에 최근 대부분 이륜차가 스포츠 지향적으로 바뀌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건재한 타입이다



2싸이클 직립단기통 엔진

소배기량 이륜차의 기본 타입의 하나로서 125cc 이하에는 압도적으로 많다. 2싸이클 엔진은 4륜차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이륜차의 세계에서만 전성시대를 누린다. 중후하고 차분한 맛이 있는 4싸이클과는 달리 경량으로 부드러운 2싸이클은 여성적이라고 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저회전시에는 푸득푸득하는 불안정한 기미도 있지만 회전이 상승하면 날카로운 싸이렌 소리같은 히스테릭한 고음을 낸다. 이것은 이 나름대로의 해방감을 주는 배기음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4싸이클에 비해 같은 회전수에서 폭발회수가 2배이기 때문이지만 그 덕분에 작지만 회전의 상승(급가속)도 빠르며, 강력한 토르크를 발생한다. 따라서 비포장도로를 질주하는 경쾌한 스포츠바이크에는 차체를 가볍게 다룰 수 있는 것도 즐거움으로 안성마춤의 엔진이다.

결함으로서는 4싸이클에 비해 연비가 좋지않다든가 차체와 엔진의 조합에 따라 미세한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냉각방식은 공냉이 주류이지만 수냉이나 강제공냉도 있다. 또 4싸이클과 같은 Big Single 등은 없는데 이는 2싸이클 독특한 소리방식에 의한 가스교환 방식에는 기능적으로 무리이기 때문에 소배기량을 중심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