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부동산자산관리에서 AM과 PM의 차이

작성자기초반| 작성시간11.03.11| 조회수1229| 댓글 12

댓글 리스트

  • 작성자 나도나도제발 작성시간11.03.21 질문이 광범위한 면이 있네요^^간단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 크게 부동산에서 오피스를 중심으로 보면, 회사가 크게 세개로 나뉩니다. AMC,PMC,FMC 이렇게죠. AMC는 우선 자금을 일으키는 역할을 합니다. 방법상으로는 REITs나 REF가 있겠군요. 이를 통해서 오피스를 몇개 묶어서 혹은 단독으로 매입을 합니다. 그럼 REITs나 REF의 경우 투자자가 있을테니 수익을 환원해 줘야겠죠? 그래서 일반적으로 몇년(계약에 따라 다름)후에는 매각을 하게됩니다. PMC는 이러한 매입된 물건을 자산관리를 하여 당 물건의 자산가치를 증진하는 역할을 하죠. 그 역할에는 해당 물건의 임대차관리, 기술안전, 매각/매입대행,(계속)
  • 작성자 나도나도제발 작성시간11.03.21 시설물관리(FMC역할에 해당합니다.)총괄, AMC에 정기 혹은 비정기 REPORT, 리서치 및 컨설팅등의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FMC의 경우 당 물건의 물리적인 가치를 증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송시설과 같은 기계시설은 물론 각종 미화, 보안, 하자보수 등 실제 건물의 노후화에 따른 건물의 가치 하락을 막아주죠.
  • 작성자 나도나도제발 작성시간11.03.21 그런데 이게 시장에서는 그 범위가 애매합니다^^실제 수행 사업을 보면 대부분 FM인데 PM도 한다고 하는 회사가 있고, 실제는 PM만 하는데 FM도 한다는 회사도 있죠. 업무에 있어서는 AM은 엄연히 말하면 AMC의 업무를 말하고, PM은 PMC의 업무를 말합니다. 하지만 회사에 따라서는 PMC 에 AM팀이 있기도 하고, AMC에 PM팀이 있기도하죠. 당연히 AMC면 PM업무는 PMC회사의 업무를 총괄 및 보조하는 역할을 하겠고, PMC의 AM업무는 AMC업무를 보조는 역할을 하겠죠? 물론 꼭 이렇다는건 아닙니다. 회사에 따라 다르다는 거죠^^
  • 작성자 나도나도제발 작성시간11.03.21 그래서 그 회사의 성격이 어떻냐, 시장에서의 업이 어느 쪽에 속하느냐에 다르다고 할수있지만 크게 말하면 앞서 말한바와 같습니다. 간단히 요약해서 말을 하자면, AMC는 투자를 하는 쪽에 속합니다. 건물을 소유하고 있는(등기상이건, 직접이건) 쪽이라는 거죠. 그럼 이 물건을 자산관리를 해야겠죠? 그 역할을 PMC에서 합니다. 그리고 FMC의 경우 해당 물건을 유지보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 작성자 나도나도제발 작성시간11.03.21 간단하게 말씀드린다는게;;길어졌네요^^정말 일반적 혹은 한정된 경우를 설명해서 다른점이 있을 수도 있어요.참고정도로면 숙지하면 될듯하네요^^
  • 답댓글 작성자 기초반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1.03.21 정말 많은 도움 됬습니다. 답변 달아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복받으실꺼에요^^
  • 답댓글 작성자 체크남방 작성시간11.03.23 덕분에 저도 잘 읽었네요. 좋은 질문, 답변 해주신 두 분께 감사요.^^
  • 답댓글 작성자 창타v 작성시간11.03.24 오피스를 이렇게 구분하는군요^^ 저도 도움이 컸네요 福福福 쏩니다!
  • 답댓글 작성자 으랏차차찻 작성시간11.09.07 저도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 작성자 존월 작성시간11.03.28 간단하게 말씀드립니다. AM(Asset) 인데, 한글로 번역하면 property와 마찬가지로 '자산'으로 해석 됩니다만 Asset이라 함은 보다 capital 적인 측면이 강합니다. 그렇다고 property가 전혀 capital이 없느냐? 그건 아닙니다만, 결국 AM은 client의 capital을 이용한 office transaction에 대한 자문 및 컨설팅이 위주가 됩니다. PM은 현재는 건물의 가치를 증진시켜 임차인을 적극 유치하고, 혹은 prime 빌딩의 경우 임차인의 class를 유치하거나 근린시설 부분의 MD까지 고려하는 고차원적인 업무로 발전하고 있지만 leasing, facility Management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 작성자 존월 작성시간11.03.28 위에서 말한 FMC는 결국 Facility management이고, 시설, 설비에 관한 건물의 유지관리가 중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실제로 국내 부동산 자산관리회사의 조직구성을 보면 PM사업부, LM사업부, AM사업부를 중심으로 transaction, IA(Investment advisory), DA(Development advisory) 정도의 팀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 작성자 kendoboy 작성시간11.05.08 음. am은 일반적으로 자산운용사에서 하거나 pm사에서 일부를 위탁받아서 진행합니다. 투자사의 vehicle역할을 하며. 투자사와는 구분되어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pm은 실질적으로 am의 손과 발이 되어 자산은 운영하는 역할을 합니다 pm사에는 임대관리 자산관리 매입매각자문 전략자문 등의 업무 라인을 갖추고 있습니다 fm는 pm사의 관리하에 물리적인 시설관리 역할에 한정되어 있습니다.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