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중 국경지역 경제개발의 의미와 시사점

작성자하나은행1004|작성시간09.12.08|조회수121 목록 댓글 0

경제 및 금융상식을 키우는데 도움이 되시길 바라면서...,

 

첨부파일 공-북한시리즈(4)북중 국경지역 경제개발의 .pdf

 

 북.중 국경지역 경제개발의 의미와 시사점

 

1.북.중 국경지역 경제개발 현황

  최근 중국정부는 동북경제권을 4대 경제권역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동북아 경제허브 육성을 위한

   랴오닝 연해경제벨트(압록강변의 내륙 수출기지화를 위한) 둥-단 경제벨트(두만강 유역의 동북아 물류거점

   구축을 위한) '창-지-두 개방선도구를 국가사업으로 추진 

 

2.추진 배경과 의미

   북.중 국경지역 경제개발은 재정정책을 통한 지역균형개발,민간투자 및 외자유치에 의한 물류중심지 개발,

   대북 경제협력 강화를 통한 영향력 확대

 

3.기회 및 위협 요인

  (기회요인)

   -북한의 경제난과 북미 및 남북관계 경색국면을 고려하면 북한의 경제회생을 위한 유력한 대안

   -북-중 경제협력은 상호보완적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산업발전을 견인하는 계기로 작용

   -한-일-러시아와의 교류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어 북한의 대외개방과 산업구조 개편을 유도

 

  (위협요인)

   -중국의 산업구조에 편입함으로서 오히려 북한의 외자유치와 산업구조 재편에 장애가 될 가능성

   -지하자원의 대중 유츌 심화

   -중국의존도의 심화로 이어져 남한 영향력 약화와 남북경제협력 주진의 장애요인으로 작용

  

4.시사점과 향후 대응방안

   -북-중 경제협력 강화에 따른 북한의 대외의존도 심화를 예방하고 남북 경제공동체 실현을 위한 북한의

     자립경제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남북경협의 유연한 접근과 확대가 필요

   -우선 남북경협사업의 상징인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통한 상호 신뢰회복이 요구되며

     이를 바탕으로 협력과 투자를 점차 확대하는 단계적 접근이 필요

   -필요한 광물자원의 90%를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한국 실정에서 북한의 과도한 대중 자원유출을 막고

     북한의 지하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대북 자원개발 협력사업 추진은 시급한 국가적 과제

   -다만,중국의 북중 국경지역 경제개발에도 한국의 전략적 투자가 요구되고 있는 만큼 한국의 기업과 금융기관이

    개발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정부차원의 지원과 대책마련이 필요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