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토익RC] 오싹 토익 본격 RC 문제 #30. 정답 및 해설

작성자[운영진] 취뽀오잉|작성시간15.11.12|조회수44 목록 댓글 0



1. 목적격 관계대명사가 생략된 경우

Fortunately, the museum ------ visited on the second day, Warsaw Rising Museum, was air conditioned.


(A) me

(B) I

(C) mine

(D) my


해설 :

사실 이 문장은 the museum과 괄호 사이에 목적격 관계대명사 that 또는 which가 생략된 것이다.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생략이 가능하다.

패턴 상, 목적격관계대명사 다음에는 주어가 와야 하므로 인칭대명사 주격 I가 정답이다.


목적격 관계대명사가 생략된 경우에는 인칭대명사 주격이 정답이다.




해석 : 다행히도, 둘 째날 내가 방문했던 박물관 워쏘 라이징 뮤지엄은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었다.






2. 관계절이 끝나는 자리

Lettuce that was grown in Missouri ------ to an outbreak of diarrhea in Michigan.


(A) to be linked

(B) being linked

(C) have been linked

(D) has been linked


해설 :

문장의 큰 그림을 그릴 수 있어야 한다.

Lettuce가 주어이고, that ~ Missouri까지는 관계 절로서 주어를 수식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괄호에는 동사가 나와야 할 차례이다.

보기 중에 절대로 동사자리에 갈 수 없는 것은 A, B. 그러면 C와 D의 대결인데, 수 일치 관점에서 주어가 단수이므로 has로 시작하는 D가 정답이다.


주어 + 관계 절 + ------’의 패턴일 때, 괄호는 동사가 정답이다.

당연한 얘기이다. 관계 절은 현재 주어를 수식하고 있고, 수식이 끝났으면 주어의 동사가 나와는 것이 영어의 어순이다.




해석 : 파트4인 효율적인 글로벌 경영은 관리자가 할 수 있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3. 전치사 다음의 관계대명사

He emigrated to Stockholm from the US after falling in love with the woman with ------ he now lives.


(A) who

(B) whom

(C) which

(D) that



해설 :

원래 선행사와 관계절만 보면, the woman that(which) he now lives with였다.

여기서 전치사 with가 앞으로 나간 것이다. 전치사 with가 앞으로 나가면 whom만 받아준다.


‘선행사 + 전치사 + ------ ~’의 패턴일 때, 괄호는 관계대명사 which 아니면 whom이 정답이다.

전자가 답일 경우는 선행사가 사물일 때, 후자가 답일 경우는 선행사가 사람일 때이다.

다음의 두 문장을 이해해보자.


This is the desk which (that) I put my notebook on.

= This is the desk on which I put my notebook.

 전치사 뒤에 있을 때는 which, that 둘 다 되지만, 앞으로 오면 which만 받아준다. 


This is the man whom (who, that) I met with.

= This is the man with whom I met.

 전치사 뒤에 있을 때는 whom, who, that 셋 다 되지만, 앞으로 오면 whom만 받아준다.




해석 : 그가 지금 함께 살고 있는 그 여자와 사랑에 빠진 후에 그는 미국에서 스톡홀름으로 이주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