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토익RC] 오싹 토익 본격 RC 문제 #31. 정답 및 해설

작성자[운영진] 취뽀오잉|작성시간15.11.13|조회수68 목록 댓글 0



1~2. 관계부사가 정답인 경우

It became a cultural center ------ people can get to know the arts.


(A) that

(B) why

(C) what

(D) where


해설 :

괄호 뒤는 주어, 목적어가 필요 없는 완전한 문장이다.

따라서, 괄호는 관계부사 자리이다. 또, 선행사가 장소이니 where가 정답이다.


관계부사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장소: where = in/on/at which  선행사가 장소일 때

시간: when = in/on/at which  선행사가 시간일 때

이유: why = for which  선행사가 이유일 때

방법: how = in which  선행사가 방법일 때


위의 것들 중 하나만 예로 들면,


This is the restaurant which we ate breakfast in. 이것이 내가 아침을 먹었던 식당이다.

↓ in을 앞으로 당긴다.

This is the restaurant in which we ate breakfast. 

↓ in which를 관계부사 where로 바꾼다.

This is the restaurant where we ate breakfast.


또, 관계대명사 뒤에는 주어 또는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문장이 오고 관계부사 뒤에는 완전한 문장이 온다.




해석 : 그것은 사람들이 예술을 알게 될 수 있는 문화 센터가 되었다.







The restaurant ------ we had dinner in is popular among young people.


(A) who

(B) what

(C) where

(D) which


해설 :

괄호부터 in까지가 선행사 The restaurant를 수식하는 관계절이다.

관계절을 살펴보면 전치사 in이 목적어를 갖고 있지 않은 불완전한 문장이다.

따라서, 괄호는 관계부사 자리가 아니라 in의 목적어 역할을 해주어야 하는 관계대명사자리이다.

사물(The restaurant)을 선행사로 취하면서 in의 목적어 역할을 할 수 있는 관계대명사는 보기 중에 which뿐이다.

만일, in이 없었다면 정답은 where가 된다.




해석 : 우리가 저녁을 먹었던 그 식당은 젊은이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다.







3. 복합 관계부사가 정답인 경우

However ------ you may be, don't let it show.


(A) tire

(B) tiredly

(C) tired

(D) tiring



해설 :

however 다음에는 형용사 또는 부사가 나오고 주어, 동사가 등장한다.

tired는 ‘피곤한’ 이라는 동사이고 tiredly는 ‘피곤하게’ 라는 부사이다.

그렇다면 누가 답일까? 괄호의 원래 자리는 be동사 뒤였다.

be동사 뒤에는 형용사가 나와야 하므로 답은 tired이다.

be동사 뒤였는데 앞으로 나간 이유는 however와 대구를 맞추기 위해서이다.


복합 관계부사는 다음과 같다.


wherever = no matter where ~  어디에서 ~하더라도

whenever = no matter when ~  언제 ~하더라도

however + 형용사/부사 = no matter how 형용사/부사 ~  아무리 ~하더라도 




해석 : 아무리 피곤해도, 그것을 보이지 말아라.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