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생활의 법률

[스크랩] 뜨겁지 않아도 화상 입을 수 있다?겨울 난방용품 사용, 주의하세요

작성자아름다운 그녀(서울)|작성시간16.12.22|조회수174 목록 댓글 0



짧았던 가을이 지나고 매서운 겨울이 찾아왔습니다. 기상청 발표에 따르면 올겨울은 추운 날이 많고 기온 변화가 크다고 하는데요. 이에 보관했던 전기장판, 히터 등 난방기기를 꺼내서 사용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하지만 난방기기의 무분별한 사용과 잘못된 습관은 화재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국민안전처에서 발표한 지난 3년간(2013년~2015년) 주거 건물 화재 상황을 보면, 계절용 기기로 인해 2,459건의 화재가 발생했다고 합니다. 이 수치는 주방기기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데요. 따뜻함을 선물하는 난방기기가, 자칫 잘못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올바른 사용법을 익혀 안전하게 사용해야 하죠. 오늘은 올바른 난방기기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겨울철 난방기기, 어떻게 사용해야 하나요?


지난 3년간(2013년~2015년) 난방기기로 인한 화재는 10건 중 3건이 가정용 보일러, 3건이 전기장판, 2건이 나무·목탄 난로로 인한 화재였습니다. 또한, 최근 화목보일러의 사용이 많아지면서 화목보일러로 인한 화재 발생건수도 증가하고 있죠.



겨울철 난방기기, 올바르게 사용하세요


가정용 보일러는 배기구 불량으로 인해 불완전히 연소된 내부 연소 가스에 불이 옮겨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전기장판은 오랜 시간 사용으로 과열되거나, 전선피복 상태 불량으로 인한 누전, 온도조절기 고장 등으로 화재가 발생하죠. 특히, 라텍스 재질의 침구류는 열을 잘 축적시키기 때문에 전기장판과 함께 사용할 경우 화재 위험이 높으니 주의하세요.


나무, 목탄 난로와 화목보일러는 한꺼번에 너무 많은 연료를 넣어 과열로 주변에 방치된 물건에 불이 붙거나, 연통 내부에 쌓인 재와 타르 등에 불이 붙어 연통 주변의 물건으로 옮겨 화재가 발생하기도 하죠.


해당 제품의 A/S센터를 이용해 정기점검을 받으세요 / ⓒ 다정다감


그렇다면 난방기기의 경우, 어떻게 화재를 예방할까요? 가정용 보일러는 보일러와 배기 연통 이음새의 이탈 여부를 점검해주세요. 또, 보일러실에는 인화물질이나 가연물을 적재하지 말고 해당 제품의 A/S센터를 이용해 연 1~2회 정기점검을 실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기장판은 전선 피막이 벗겨졌는지 확인해주세요. 온도조절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해주세요. 또, 장시간 사용을 피하고 외출 시에는 전원을 꼭 꺼주세요. 나무, 목탄 난로와 화목보일러는 주변에 가연물이 없도록 정리해주세요. 또한, 연통이나 벽면 등을 관통하는 부분을 불연재로 단열처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주기적인 연통 청소도 화재를 예방할 수 있죠.


뜨겁지 않아도 화상을 입을 수 있어요. '저온화상'


난방 및 온열기기는 화재뿐 아니라 화상 위험도 도사리고 있습니다. 전기매트, 난로, 핫팩, 찜질팩 등 난방 및 온열기기를 오랜 시간 피부에 가까이 두고 사용할 경우 저온화상을 입을 수 있죠. 저온화상은 40~60도 정도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 장시간 노출될 때 발생하는데요. 뜨거운 느낌이나 통증이 없어 자신이 모르는 사이에 화상을 입게 되죠. 이런 경우, 초기 증상이 살짝 빨갛게 달아오르는 정도라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넘어가는 분들이 많은데요. 하지만 지속적인 노출로 피부에 색소 침착이 일어나거나, 피부 깊은 곳까지 화상을 입을 수도 있습니다.


피부가 약한 유아는 저온화상의 위험이 높으니 온열제품 사용에 더욱 주의해주세요


그렇다면 저온화상은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까요? 핫팩은 피부에 직접 붙이지 말고 의류 위에 부착해 사용해야 합니다. 또, 부착부위를 수시로 옮겨주는 것이 좋죠. 온열 매트는 이불을 깔고 사용하고 뜨거움이 느껴질 경우 사용을 중지해주세요. 


특히, 몸의 온도 변화에 둔감해지는 수면상태에서는 온열 매트를 고온 상태로 두면 매우 위험합니다. 때문에 취침 시에는 '저온'으로 설정해주세요. 또, 피부가 약한 유아나 혈액 장애, 말초 신경병증으로 감각이 떨어지는 분들은 저온화상의 위험이 더 높으니 온열제품 사용에 더욱 주의해주세요.

 

겨울철 난방용품 안전 수칙, 꼭 확인하세요


난방용품으로 인한 화재, 화상 등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안전인증마크를 받은 제품인지 확인한 후 사용해주세요. 또한, 일반 가정에서는 가급적 전기 히터와 같은 난방용품을 1개 이상 가동하지 않은 것이 좋습니다. 전력 소모가 큰 전기제품일수록 과열로 인한 화재 등 각종 전기사고 위험성이 커지기 때문이죠.


안전인증마크를 받은 제품인지 확인한 후 사용해주세요 / ⓒ 다정다감


또한,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다가 꺼내어 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용 전 고장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사용할 때에는 콘센트에 제대로 접속되어 있는지 꼼꼼히 확인하고 사용 후에는 반드시 전원을 차단해주세요.


전기 히터 등의 고열 제품을 사용할 때는 주변에 옷, 이불, 소파 등 가연성 물질을 제거해주세요. 또, 실내 난방으로 내부 공기가 건조해지고 습도가 낮아져 가습기를 사용하는 분들도 많은데요. 가습기는 되도록 콘센트나 기타 전기제품과 거리를 두어 사용해 주세요. 

지금까지 올바른 난방용품 사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올겨울, 올바른 난방용품 사용법으로 따뜻하고 안전한 겨울 보내세요. 또한, 정책공감에서 알려주는 '겨울철 난방비 절약을 위한 체크리스트 5'와 '겨울철 난방비를 지원하는 에너지바우처 카드뉴스'도 만나보세요.


▶ '겨울철 난방비 절약을 위한 체크리스트 5' 알아보러 가기

▶ 에너지바우처 카드뉴스 확인하러 가기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