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2006년 1회 종자기능사 기출문제입니다.^^*

작성자EzyhU|작성시간07.01.09|조회수3,558 목록 댓글 9

떨어져서리....ㅋㅋ 답도안적어놨네요...--^

문제라도 필요하신분 있으신 것 같아서 워드로 쳤습니다. ㅋㅋ

답 아시는분 답좀달아주세효~~~

 

 

 

 

2006년도 기능사 1회 <B형>


1. 다음 종자의 휴면에 관련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가. 성숙한 종자에 적당한 발아조건을 주어도 일정 기간동안 발아하지 않는 현상을 휴면이라 한다.

. 휴면 중의 종자나 눈은 저온.고온.건조 등에 대한 저항성이 약하다.

다. 휴면기간은 작물의 종류와 품종에 따라서 크게 다르다.

라. 감자의 휴면은 저장하는데 유리하다.


2. 벼 씨눈의 구성성분이 아닌 것은?

 가. 배반    나. 초엽    다. 1차근    라. 호분층


3. 다음 채소작물 중 장명종자에 속하는 것은?

가. 양파    나. 파    다. 당근    . 토마토


4. 종자내의 바이러스 불활성을 위해 건열이 유효하다. 건열의 온도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가. 20~30℃   나. 40~50℃   . 60~80℃   라. 90~100℃


5. 양성화이면서 자가수정율이 낮고 타가수정을 이루는 것은?

가. 시금치   나. 아스파라거스    다. 옥수수    . 무


6. 물 속에서도 발아가 잘 되는 채소 종자는?

가. 토마토    . 당근    다. 무    라. 파


7. 종자의 종피에 있는 발아 억제물질이 아닌 것은?

. 지베렐린   나. 아브식산   다. 페놀산   라. 쿠마린


8. 다음 열거한 작물 중 종자의 형태(모양)가 타원형에 속하는 것은?

가. 파    . 밀    다. 삼    라. 무


9. 작물의 생산력이 저하하고 품질이 나빠지는 종자퇴화의 원인이 아닌 것은?

가. 저장 양분의 고갈

나. 효소의 분해와 불활성

. 가수분해 효소의 불활성

라. 균의 침입


10. 종자발아검사에 사용되는 발아지의 특성이 아닌 것은?

가. 흡습성이 충분해야 한다.

. 뿌리가 뚫고 들어가야 한다.

다. 젖은 상태에서 잘 찢어지지 않아야 한다.

라. 유독물질이 없어야 한다.


11. 종자발아과정에서 물은 처음 어느 부분을 통하여 종자내부에 들어가는가?

가. 씨껍질    . 종공(주공)    다. 배젖    라. 배


12. 종자의 성숙 단계를 3단계로 나눌 때 해당되지 않는 것은?

가. 배의 발달단계    나. 영양 축적단계    다. 성숙단계    . 건조 단계

 

13. 종자발아력의 간이 검사 방법으로 많이 이용되는 것은?

. 테트라졸리움 검사법     나. x선 검사법      다. 유리지방산 검사법    라. 전기전도율 검사법


14. 종자 생산농가에서 채종포의 규모를 크게 하는 가장 큰 이유는?

가. 농민의 신용을 얻기 위하여

나. 많은 종자를 생산하기 위하여

다. 일시에 소득을 높이기 위하여

. 우량종자를 생산하기 위하여


15. 살충제에 속하지 않는 것은?

가. 유기인제   나. carbamate계 살충제   다. 훈증제   . 기피제


16. 포장검사시 전체 개체 중에서 이품종주, 이종종자주, 이형주가 차지하는 비율로서 산출하는 포장검사 항목은?

가. 순도    나. 작황    다. 포장순도    . 품종순도


17. 종자를 수확한 직후의 관리로서 옳지 못한 것은?

가. 생탈곡한 종자는 즉시 얇게 고루 펴 놓는다.

. 마대에 담아 밤을 넘겨야 할 때는 가득 담아서 보관한다.

다. 맑은 날에는 마른 바닥에 펴 널어 자주 뒤 섞어 준다.

라. 비가 올 것이 예상되면 열풍을 통과시켜 건조시킨다.


18. 다음 중 씨젖을 형성하는 것은?

. 2개의 극핵과 1개의 웅핵이 결합

나. 3개의 반족세포와 1개의 웅핵이 결합

다. 2개의 조세포와 1개의 웅핵이 결합

라. 1개의 난핵과 2개의 웅핵이 결합


19. 저장 중 종자에 큰 피해를 주는 것이 아닌 것은?

. 농약의 해   나. 충해   다. 쥐해    라. 고온과 다습


20. 지하발아(hypogeal germination type)형 작물이 아닌 것은?

. 콩    나. 벼    다. 귀리    라. 옥수수


21. 다음 중 작물육종의 성과를 열거한 것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가. 품질의 향상    나. 생산성의 증대   . 작부체계의 단순화   라. 재배 및 생산의 안정화


22. 다음 중 ‘유전력’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 유전력이 낮은 형질에서는 개체선발의 효과가 적다.

나. 유전력이 낮은 형질에서는 개체선발의 효과가 크다.

다. 유전력이 높은 형질에서는 집단선발의 효과가 크다.

라. 유전력과 선발간에는 큰 상관이 없다.


23. 자가수분 작물에 주로 많이 적용되는 육종방법은?

가. 복교잡법    나. 영양계분리법    . 순계분리법    라. 집단도태법


24. 다음 중 감수분열을 관찰하기에 가장 적당한 재료로 알맞은 것은?

. 꽃봉오리 속의 꽃밥    나. 활짝 핀 꽃의 꽃밥

다. 뿌리의 생장점         라. 줄기의 생장점


25. 일반적으로 박과 채소에 있어서 자식약세 현상을 방지하는데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교배방법은?

가. 자가수분     나. 여교잡     . 형매교배    라. 타가수분


26. 유전자형이 Tr, Rr로 표현될 때 이것에서 나올 수 있는 배우자는?

가. Tr,Rr     나. TR, tr    다. TR, tR, tr     . TR, tR, Tr, tr


27. 옥수수 1대 잡종 종자생산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가. 어미계통과 아비계통을 3:1 비율로 식재한 후 어미계통의 수술을 제거하고, 씨받기는 어미계통에서 한다

나. 어미계통과 아비계통을 1:3 비율로 식재하고 어미계통의 수술을 제거한 후 씨받기는 어미계통에서 한다.

다. 어미계통과 아비계통을 1:1 비율로 식재한 후 수술은 제거 없이 씨받기는 양쪽에서 한다.

라. 어미계통과 아비계통을 1:1 비율로 식재한 후 수술은 제거 없이 어미계통에서 씨받기를 한다.


28. 불임의 원인 중에서 유전적 요인에 의한 불임성이 아닌 것은?

가. 생식기관에 의한 불임성

나. 불화합성에 의한 불임성

. 영양결핍에 의한 불임성

라. 교잡에 의한 불임성


29. 품종의 선발이론 중 선발의 횟수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자식성 작물의 경우 집단이 순계의 혼합일 때는 확실한 선발을 1회만 해도 된다.

나. 이형개체를 포함하는 집단일 때에는 이형이 동형상태로 될 때까지 선발을 계속한다.

다. 타식성작물의 경우 영속적인 선발을 한다.

. 타식성작물의 경우 확실한 선발을 1회만 해도 된다.


30. 벼 F2집단중에서 6개체의 초장을 측정하였더니 측정값이 보기와 같았다. 다음의 분산의 값은?

(측정치: 23, 28, 24, 23, 25, 27㎝)

가. 25    나. 5.0    다. 4.4     라. 4.0


31. 단위생식(Apomixis)에 의해서 생긴 종자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가. 단종     . 위잡종    다. 1대잡종     라. 종간잡종


32. 다음 중 ‘품종’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가. 작물의 재배 또는 이용상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며, 서로 다른 단위로 취급되는 개체군

. 작물의 재배 또는 이용상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며, 동일한 단위로 취급되는 개체군

다. 작물의 재배 또는 이용상 서로 다른 특성을 나타내며, 서로 다른 단위로 취급되는 개체군

라. 작물의 재배 또는 이용상 서로 다른 특성을 나타내며, 동일한 단위로 취급되는 개체군


33. 지방종이나 재래종과 같은 자연집단을 대상으로 기존의 유용한 변이를 선발하여 품종으로 육성하는 육종방법은?

. 도입육종법    나. 분리육종법    다. 집단육종법    라. 계통육종법

 

34. 조환가가 15%인 경우와 25%인 경우를 옳게 설명한 것은?

가. 15%인 경우보다 25%인 경우에 새로운 유전자형이 많이 분리한다.

나. 25%인 경우보다 15%인 경우에 새로운 유전자형이 많이 분리한다.

다. 15%인 경우와 25%인 경우 모두 새로운 유전자형 분리는 같다.

라. 15%인 경우와 25%인 경우 모두 새로운 유전자형 분리는 일어나지 않는다.


35. 자식성식물의 화기구조 특성 중 맞지 않은 것은?

가. 암술과 수술이 한 꽃에 있으나 다른 부위에 위치한다.

나. 화가가 잘 열리지 않는다.

다. 꽃이 피기 직전 또는 직후에 화분립이 비산한다.

라. 암술머리나 꽃밥이 꽃잎에 의하여 감추어져 있다.


36. 자가불화합성을 타파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가. 자가불화합성 물질의 생성시기의 회피

나. 화합반응조직의 제거

다. 불화합 유기물질의 파괴

라. 불화합반응의 억제


37. 다음 중 신품종의 검정형질 중에서 물질생산성 형질이 아닌 것은?

가. 치사현상     나. 불임성    다. 잡종강세    라. 휴면발아성


38. 다음 중 잡종강세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가. 초우성설     . 동형접합성설    다. 우성유전자연관설    라. 유전자작용의 상승효과


39. 다음 중 벼의 초다수성 품종이 아닌 것은?

가. 다산벼       나. 남천벼     다. 안다벼     . 안산벼


40. 다음의 육종방법 중 인위적인 교배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은?

가. 계통육종법   . 집단선발법   다. 1대잡종육종법   라. 1개체1계통법


41. 겨울 동안 낮은 온도를 거쳐야 이듬해 봄에 출수 개화하는데, 봄에 심으면 영양생장만 계속하고 이삭이 형성되지 않는 작물로 가장 적당한 것은?

가. 콩    나. 보리    다. 옥수수    라. 메밀


42. 아직 덜 익은 과실을 수확하여 일정 기간 놓아두면 익는데,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후숙    나. 예냉    다. 도정    라. 큐어링


43. 다음 중 식물을 분류할 때의 기본 단위로 가장 적당한 것은?

가. 속    . 종   다. 목    라. 과


44. 다음 중 산성토양에서 가장 잘 자라는 작물은?

. 벼, 호밀     나. 보리, 양배추    다. 상추, 고추    라. 콩, 시금치


45. 작물의 수량을 결정하는 3요소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가. 품종    . 자본    다. 재배환경     라. 재배기술


46. 장미의 양액재배에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배수성과 통기성, 확산성이 매우 우수한 것은?

. 암면    나. 훈탄     다. 오스만다    라. 펄라이트


47. 다음 중 타가 수분은 하는 작물로 가장 적당한 것은?

가. 벼     나. 밀     다. 보리    . 옥수수


48. 우리나라 농경지 작물의 재배면적이 가장 많은 것으로부터 순서대로 나타낸 것은?

가. 벼-과수-채소-두류       나. 벼-채소-두류-과수

다. 벼-두류-채소-과수      . 벼-채소-과수-두류


49. 웅성불임을 이용하여 F1종자를 생산하는 것으로 연결이 가장 옳은 것은?

가. 무,배추     . 양파,고추    다. 오이,수박    라. 시금치,옥수수


50. 석회 시용으로 산도를 교정하고 파종해야 좋은 작물로 짝지은 것은?

. 콩, 시금치   나. 벼, 호밀    다. 밀, 옥수수     라. 감자, 호박


51. 맥류의 파성에 대하여 옳게 설명한 것은?

가. 추파형 종자는 봄에 뿌려도 이삭이 나온다.

. 추파성 종자는 저온 단일 조건을 거쳐야 한다

다. 춘파성, 추파성 모두 온도와는 관계가 없다.

라. 춘파형은 반드시 저온 조건을 경과해야 제대로 이삭이 팬다.


52. 건답 직파 재배를 할 때 볍씨의 출아에 적함한 토양 수분함량은?

가. 약 15~25% 정도      . 약 30~40% 정도

다. 약 45~55% 정도      라. 약 60~70% 정도


53. 다음 중 식용작물로만 이루어져 있는 것은?

. 벼, 맥류, 잡곡, 두류, 서류

나. 벼, 맥류, 잡곡, 두류, 유료작물

다. 벼, 잡곡, 두류, 향료작물

라. 벼, 잡곡, 서류, 염료작물


54. 작물의 광합성에 가장 유효한 광선은?

. 적색광     나. 녹색광    다. 황색광     라. 주황색광


55. 다음 중 작물육종법에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품종육성방법은?

. 교잡육종법    나. 잡종강세육종법     다. 선발육종법    라. 배수성육종법


56. 다음 중 봄뿌림 한해살이 화초는?

가. 금장화    나. 팬지    . 맨드라미    라. 시네라리아


57. 다음 중 C3 작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가. 벼    나. 콩   다. 감자    . 옥수수


58. 우리 나라에서 육성한 만생종에 속하는 벼 품종으로 미질이 우수한 것은?

가. 오대벼   나. 서안벼   다. 화성벼   . 일품벼

 

59. 다음 중 작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가. 현재 재배되는 작물은 개량으로 인하여 기형화 된 것이 많다.

. 인간이 개량한 작물은 불량환경에 더 강하다.

다. 작물재배는 인간의 안정된 생활과 인구 증가가 가장 큰 원인이라 볼 수 있다.

라. 인류의 문명은 작물재배 기원지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60. 일반 작물 종자가 발아하는 데 필요한 환경요건으로 가장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 수분, 산소, 온도

나. 수분, 이산화탄소, 온도

다. 산소, 이산화탄소, 온도

라. 수분, 온도, 양분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찐이~♥ | 작성시간 07.01.21 정말 감사합니다~~~
  • 작성자굿데이 | 작성시간 07.01.25 어제 가입했는데 등업 해주셔셔 감사해요 ^^* 열심히 공부할께요 ^^
  • 작성자마리마리 | 작성시간 07.04.16 감사합니당..^^
  • 작성자해안선 | 작성시간 08.01.24 어제 가입 했는데 등업 해줘서 고맙습니다
  • 작성자열공가이 | 작성시간 08.03.01 잘보겠습니다ㅏ^^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