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순례일지

[451] 2020-02-23 Rice Farming 벼농사

작성자상생21|작성시간20.02.24|조회수824 목록 댓글 0

계속 쉬는 날이다. 그동안 미뤄두었던 벼농사 주제를 검토해보았다.

이번 유럽 순례에서 크게 의문이 든 것은, 물을 담수하지 않는 밀농사만 짓는 것이 바람직한가였다.

물을 담수하는 곳을 거의 보지 못한 데서 오는 자연스런 의문이다.

I am resting two consecutive days. I reviewed the topic regarding rice cultivation.

I thought of a question during this Europe pilgrimage whether wheat cultivation which does not require stored water is desirable in environmental viewpoint. That question was raised naturally while I traveled the region where water storage for agriculture was not seen.


(세계 벼농사지대 분포)

쌀과 밀의 식량가치는 어떻게 되나 살펴봤더니,
https://csense.tistory.com/37
즉 쌀이 훨씬 많은 인구를 부양한다. 생태적으로나 국지기후의 순환성 확보에도 유리하다.


I investigated the food value of rice and wheat. 

The information is found at the address: https://csense.tistory.com/37

The region where rice is grown can support much more population.

Rice cultivation is more profitable in terms of ecology and circulation of micro-climate.


유럽은 밀의 한계 때문에 육식 비중이 크다. 4개국 어느 나라나 정육점이 구멍가게처럼 많았다. 식탁에서도 고기가 주식이고 빵은 부식인 것처럼 느껴질 정도다. 낙농을 하자면 목초지가 많아야 한다. 이번에 본 4개국은 오랜 역사가 있음에도 인구밀도가 한국의 1/5수준에 그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 아닐까 하는 의심이 든다. 유럽의 방식은 지속가능성에 의문이 든다.


Since Europeans rely on wheat, they eat more meat. I have seen many meat shops in four countries I traveled. The meat is main dish of meals, and bread seems to be side dish. To raise livestocks, wide grass land must be provided. The four countries had history of long period, but the population density was only 1/5 of Korea. I wonder eating meat may be part of the reasons to explain low population density. European style may not support sustainability of agriculture.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거나 하천변 범람이 잘 되는 곳은 벼농사를 짓는 게 좋다. 다만 벼농사는 밀농사와 달리 협업이 필요하다. 기술이 필요하고 그 전승도 제대로 되어야 한다. 생산공동체로서의 마을이 필요한 것이다. 생존의 조건이다. 군집의 편의성만으로 모인 밀농사 마을과는 좀 다르다. 벼농사는 마을단위의 공동체의 의사결정능력이 발달한다. 미국에게 베트남이 이겨낸힘이 벼농사에 있다. 유목과 밀농사지역의 세계무대를 순식간에 점령했던 몽골에게 고려가 어려웠던 이유도 여기에 있다.


Rice cultivation is suitable In the region where the land contains much moisture, and streams overflow sometimes to flood plain. The difference between rice cultivation and wheat cultivation is necessity of cooperation. To cultivate rice, water management skill is necessary and the technology must be inherited to next generation. Also villagers have to work together to produce rice.

Cooperation is absolutely necessary in rice cultivation. To cultivate wheat, community is not absolutely necessary.  In rice cultivation decision-making process is developed at the level of village community. The strength of Vietnamese victory over U.S. army in Vietnam war relies on the merit of rice cultivation. Because of same reason, Mongol could not defeat Koryo easily though they could occupy the region of wheat cultivation and raising livestock with ease.                       


아마존이나 아프리카의 대형 '들불'의 원인은 지역별로 통제가 안되고 있는 이유가 크다. 가령 아프리카에 우물을 파주어도 관리할 수 있는 통솔력이 없다. 통제하는 힘이자 의사결정능력이 절실한 것이다. 벼농사는 식량도 주지만 그 능력도 길러준다. 물을 머금었다가 공급해주는 삼림을 이유없이 손대지 않는다. 그런 집단적 의사결정능력, 즉 적절한 권력을 만들고 다루는 방법을 아는 것, 여기에도 기후위기시대의 문법이 있다.


Cause of mass field fire in Amazon or Africa is mainly coming from the fact that regional control of water is difficult. Supposes there are wells in Africa, they do not have the authority to control the wells. To control water, decision making capacity is necessary. Rice cultination gives food and brings controlling authority as well. In rice cultivation, they do not destroy forest because forest contains water temporarily. Such authority at community level, in other words, to make relevant authority and know how to use it is grammar in times of climate crisis. 

 
최근 사막지대에 벼농사 실험이 진행되고 있다.
https://m.nongmin.com/news/NEWS/ECO/FRM/318598/view
만약 성공한다면 지구촌의 희소식이 아닐 수 없다.

그런데 춥고 건조한 지역에서도 벼농사가 가능할까?


Recently, experiment of rice cultivation in desert land is going on. 

https://m.nongmin.com/news/NEWS/ECO/FRM/318598/view

By the way, is it possible to cultivate rice in cold and dry region?  


중국의 농업지도를 보면 벼농사는 모두 남쪽에 치우쳐 있는데 북쪽은 유독 만주지역만 벼농사를 하고 있다. 조선말기 한민족이 진출하면서 북방한계선을 끌어올린 것이다. 벼농사의 북방한계선을 끌어올린 또 한차례의 사건이 있었다. 20세기전반에 소련연방에 의해 연해주의 고려인들이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 당했는데, 당시 어려움을 극복하여 벼농사를 성공시킨 것이다.
http://www.emerics.org/mobile/report.do?action=detail&brdctsno=105213&systemcode=04&search_option=&search_keyword=&search_year=&search_month=®ioncode1=®ioncode2=®ioncode3=&pagenum=32&rowsize=


By looking at agricultural map of China, we can find out that rice cultivation is mainly carried out in the southern area. The only exception is Manchuria where rice cultivation is found. The Korean people moved to Mancuria and succeeded in cultivating rice at the end of Chosun Dynasty. The northern limit of rice cultivation was moved up to the north by Koreans. Another event regarding rice cultivation took place in early 20th century. The Koeans living in Russian Far East were forced to move to Central Asia by Soviet Union authority. They overcomed difficulties and succeeded in rice cultivation in Central Asia.

http://www.emerics.org/mobile/report.do?action=detail&brdctsno=105213&systemcode=04&search_option=&search_keyword=&search_year=&search_month=®ioncode1=®ioncode2=®ioncode3=&pagenum=32&rowsize=

 
집단이주하면서 벼농사 기술뿐 아니라 이를 운영할 의사결정능력까지 이주한 것이다.
이번에 사막에서 성공하면 이런 문명사적 실험이 계속 성공해가는 것.
기후위기시대에 인류 차원에서 벼농사의 잠재력을 진지하게 검토할 때가 되었다.
유럽에서도 일부지역들이 재배하고 있지만 좀더 확산적으로 실험해보면 좋겠다.

Forced movement of Koreans resulted in migration of not only rice cultivation skills but also decesion making skill. If experiment of rice cultivation in desert area succeeds, it means civilizational success of rice cultivation. Now is the proper time to review seriously the potentials of rice cultivation at the level of Earth village in times of global climate crisis. I wish the experiment of rice cultivation at limited areas in Europe to spread all over the Earth.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