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성견예절교실

[스크랩] GCDS(성견예절교실) 1주차 교육내용

작성자펫마에스터|작성시간08.12.09|조회수294 목록 댓글 0

GCDS 소개

 

GCDS는 Good Citizen Dog Scheme의 약자로, 영국의  The Kennel Club에서 1992년부터 최초로 시작한 성견예절교육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개를 인간사회에서 보다 잘 적응하고 인간과 함께 편하게 살수 있도록 에티켓(예절)을 가르치는, 훌륭한 시민 개 만들기 프로그램입니다. 현재 삼성에버랜드 소속인 두 분의 훈련사만이 이 자격을 부여할 수 있는 권한을 영국의 The Kennel Club에서 부여받아 한국에서 GCDS 전문 강사로 활동 중이십니다. 참고로 아시아 전체에서 두 분만이 영국으로부터 강사자격을 취득하셨습니다.

 

1 주차 교육내용은 주로 오리엔테이션으로 다음과 같이 진행합니다.

 

 

주요 내용

 

1 - 1. 오리엔테이션

  - 강사 소개 / 일정 공지

  - 교육장 및 교육생 소개 (犬),

  - 주의사항 전달

  - 예방접종/구충 확인 (교육견은 반드시 예방접종 및 심장사상충이 포함된 구충을 필한 증명이 필요합니다.)

1 - 2. 준비 훈련

  - 교육의 필요성

  - 교육도구 소개 (젠틀리더, 크레이트, 교육용 장난감, 클리커 등)

1 - 3. 교육 실습 

  - Clicker 훈련에 대한 이해

  - Clicker 소리 가르치기

  - Clicker Trainning Game 

 

 

Clicker Trainning Game 

 

다음과 같은 이유로 훈련 게임이 필요합니다.

 

․ 보호자에게 훈련의 기술을 가르쳐주고, 올바른 방법으로 개에게 자신이 원하는 행동을 이끌어 내는 요령을 터득하게 해줍니다.

․ 가족들에게 개가 새로운 행동을 배우는 동안 어떤 경험을 하게 되는지 간접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실례

 

개가 핸들러(보호자)가 원하는 행동을 하면 보상을 주고, 핸들러가 원하지 않는 행동을 할 때에는 무시합니다.

 

배경

 

 카렌 프라이어는 1960년대 초 하와이에 위치한 Sea Life Park로부터 돌고래 훈련을 부탁받았을 때, 훈련 방법의 한 가지로서 긍정강화법을 적용 하였습니다. 돌고래는 가죽 끈이나 목줄로 훈련을 시킬 수 없는 동물이기 때문에, 그녀는 그동안 배웠던 지식을 활용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음식과 구두신호를 이용한 자발적 조건형성 기법을 활용하여 카렌은 돌고래로부터 그녀가 원하는 행동을 유도할 수 있었습니다. 그녀는 이 방법으로 돌고래 훈련에서 훌륭한 성과를 거두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자발적 조건형성 이론에 근거하여 그녀가 사용한 긍정적 강화와 행동 형성방법은 곧 말, 개, 고양이, 사람 등 다른 동물의 훈련법에 응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훈련방법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개의 이상적인 훈련법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 원하는 행동을 유도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가장 인도적인 방법입니다. (힘을 사용해 강제로 원하는 행동을 유도하는 방법과는 정반대입니다.)

․ 보다 효과적이며, 보다 바른 행동을 유도해 줍니다. 개들은 언제나 배우고 싶어 하고, 적절한 보상을 가지고 훈련을 하는 한 보호자가 원하는 행동을 반복해서 보여줍니다.

․ 이러한 훈련은 ‘개가 행동을 배우는 학습원리’에 기초하여 진행됩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훈련시키면 개와 사람 사이에 신뢰와 애정에 기반한 좋은 관계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훈련게임을 하기 위해서 보호자는 다음과 같은 준비물이 필요합니다.

 

․ 클리커 혹은 소리를 낼 수 있는 다른 도구

․ 즐거운 놀이를 간절히 원하는 관객

․ 적절한 보상

 

게임의 방식은 이렇습니다.

 

1․ 먼저 술래를 한 명 정하고, 강의실 밖으로 안내합니다. 술래가 강의실 밖에 있는 동안, 남은 사람들은 서로 토의하여 나중에 술래가 돌아왔을 때 배워야 할 행동을 한 가지 정합니다. 아직까지 훈련이 아니고, 게임이므로 술래가 되었다고 당황할 필요도 없고, 어떤 행동을 정해야 하는지 심각하게 고민할 필요도 없습니다. 토의가 끝나고 술래가 다시 강의실로 돌아오면 훈련사는 말을 하지 말고, 오직 클리커만 사용하여 술래로부터 원하는 행동을 유도합니다. 술래는 클리커 소리를 최고의 보상으로 생각하게 될 것입니다.

 

2․ 클리커로 소리를 내면 그것은 지금 술래가 올바른 길로 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3․ 클리커 소리가 나지 않으면 술래가 지금 길을 벗어나 다른 길로 가고 있으니, 다른 방향으로 움직여 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4․ 게임 중에는 누구도 말을 해서는 안 되지만, 우스울 때에는 참지 말고 웃으셔도 무방합니다.

5․ 술래는 한 곳에서 우물쭈물하지 말고 보다 활기차게 많이 움직이고, 다양한 동작을 취해야 합니다.

6․ 술래는 휴식을 취하고 있다가 클리커 소리가 나는 방향으로 움직여 클리커의 안내를 따릅니다.

7․ 직접 술래가 되어 게임에 참여하지 않았더라도 이 놀이를 통해 배우는 것이 있을 것입니다.

 

모든 행동을 마치고 술래가 강의실에서 나가게 되면, 모두에게 보고 느낀 점을 묻습니다.

그리고 다시 술래가 해야 할 간단한 행동을 정합니다. (이를테면 어떤 물건을 툭 치기, 정해진 의자에 가서 앉기, 강의실 한 구석에 가서 서기, 전등 스위치를 켜기 등).

 

그리고 술래가 다시 강의실로 돌아오면, 훈련사는

 

․ 술래가 올바른 방향으로 움직이고, 맞는 행동을 할 때 보상을 줍니다.

․ 술래가 옳게 행동하고 있는 동안에는 계속 클리커를 눌러 술래로 하여금 자신감을 갖게 해 줍니다.

․ 술래의 주의력을 끌기 위해 술래가 잘못된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원하지 않는 행동을 할 때는 클리커를 누르지 말고, 훈련사가 원하는 행동을 할 때만 누릅니다.

․ 몸짓을 사용하거나 눈빛을 마주치면 술래가 눈치로 지금 해야 하는 행동이 무엇인지 알 수 있으니 클리커만 사용해야 합니다.

 

시간의 여유가 있으면 같은 게임을 두 번 반복합니다. 한 번은 프로그램 강사가 ‘훈련사’, 보호자 중에 한 분이 ‘술래’가 되어 하고, 그 다음번에는 ‘훈련사’와 ‘술래’ 모두 보호자들이 맡아 게임을 하게 됩니다.

 

게임이 끝날 때 마다 잊지 말고 보호자에게 무엇을 보고 배웠는지 확인합니다. 술래가 새로운 행동을 배우는 과정은 어떠했는지 묻고, 훈련사는 행동을 가르칠 때 어떤 절차를 통해 가르쳤는지 등에 관해 서로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가지십시오.

 

훈련 게임을 통해 배우는 것은 이러한 점들입니다.

 

․ 술래 (개)는 간혹 당황스러워 하게 됩니다.

․ 보상은 매우 강력한 효과가 있습니다.

․ 보상을 주는 타이밍이 매우 중요합니다. - 개에게 보상을 해 줄 때에는 반드시 개가 행동을 마치고 2초 이내에 해 주어야 합니다.

․ 훈련을 시킬 때 훈련사는 술래가 효과적으로 보상을 받고 있는지 늘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합니다.

․ 무언가 잘못되어 가고 있다고 느낄 때, 그것은 훈련받는 사람의 잘못이 아니라 훈련 자체가 잘못 진행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 훈련은 창조적인 일입니다.

․ 개에게 행동을 가르치는 일은 많은 반복과 깊은 인내를 요구합니다. 또한 반복하면 할수록 보호자들은 훨씬 능숙해 질 수 있습니다.

 

훈련 게임에서 배운 내용은 우리 교실에서는 이렇게 활용됩니다.

 

․ 강의실 안에서는 클리커와 말로서 개를 칭찬해 줍니다. 단, 칭찬을 해 줄 때는 타이밍이 중요하며 최대한 짧고, 빠르게 칭찬해 줍니다.

․ 만약 개가 여러분이 원치 않는 행동을 계속하고 있다면, 그것은 개가 아직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하는지 이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여러분은 훈련 게임을 통해, 훈련사의 지시만 보고 그 사람이 무엇을 원하고 있는지 알아차리는 것이 얼마나 답답하고, 어려운 일인지 이미 체험했습니다. 따라서 개가 여러분의 지시에 빨리 따르지 못하더라도 참고 기다리려야 합니다.

․ 개가 교육에 관심을 나타내지 않는다고 해서 ‘개가 멍청해서 그래’, ‘개가 나를 싫어하나봐’, ‘일부러 나를 화나게 하고 있어’, ‘오늘 개가 기분이 별로 안 좋은 가봐’ 하는 식으로 쉽게 단정하지 마십시오.

․ 칭찬을 자주, 그리고 적절히 해 주십시오.

․ 개가 성공적으로 훈련을 마칠 수 있도록 이끌어 주셔야 합니다.

․ 강의실에서는 훈련 성과를 높이기 위해 ‘target hand'를 정해, 지시할 때에는 그쪽 손만 사용합니다.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위드펫종합동물병원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