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뉴스/정보

正月 대보름 즐겁게 보내세요

작성자재미사마(박용주)|작성시간23.02.05|조회수22 목록 댓글 1

 ♣ 正月 대보름 즐겁게 보내세요 ♣ 

 
◈ 정월대보름의 유래 ◈ 
 
정월대보름 정의
음력 1월15일로 가장 많은 세시풍속이
전하는 명절의 하나
정월 대보름 은 보통 대보름이라 하며,
상원(上元)이라고도한다. 
 
대보름은 연중 가장 먼저 만월이 되는 날로서
많은 세시풍속이 전한다. 
 
또 농업이나 어업등 생업과 긴밀한 연관이 있어서
농촌에서는 갖가지 놀이와 행사,
그리고 방액 등이 이날을 전후로 하여 행해진다. 
 
♡정월대보름♡
정월대보름의 의미 
 
정월은 한 해를 처음 시작하는 달로서 그 해를
설계하고,
일년의 운세를 점 쳐보는 달입니다. 
 
력서에 의하면 '정월은 천지인(天地人)
삼자가 합일하고
사람을 받들어 일을 이루며,
모든 부족이 하늘의 뜻에 따라 화합하는 날'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월은 사람과 신, 사람과사람,
사람과 자연이 하나로 화합하고 
 
한 해 동안 이루어야 할 일을 계획하고 기원하며 점 쳐보는 달인 것입니다. 
 
정월 대보름은 음력을 사용하는 전통사회에서 각별한 의미를 지닙니다. 
 
농경을 기본으로하였던 우리 문화의 상징적인 측면에서 보면
달은 생생력(生生力)을 바탕으로 한
풍요로움의 상징이었습니다. 
 
음양사상에 의하면 태양을 양(陽)이라하여 남성으로 인격화되고,
이에 반하여 달은 음(陰) 이라하여
여성으로 인격화됩니다.

따라서 달의 상징적 구조를 풀어보면
달, 여신,대지로 표상되며,
여신은 만물을 낳는
지모신으로서의 출산력을 가집니다. 
 
이와같이 정월 대보름은
풍요의 상징적 의미로 자리매김합니다.

정월대보름의 유래

정월의 절일로는 설과 대보름이 있습니다.
태고적 풍속은 정월대보름을
설 처럼 여기기도 하였습니다. 
 
조선 후기에 간행된 (동국 시세기)에
의하면 대보름에도
섣달 그믐날의 수세하는 풍속과 같이
온 집안에 등불을 켜 놓고
밤을 세운다는 기록이 보입니다. 
 
한 편 중국에서는 한나라때부터
정월 대보름을 8대 축일의 하나로
중요하게 여겼던 명절이었답니다. 
 
또한 일본에서도 대보름을
소명월(小正月)이라하여
신년의 기점으로 생각하기도 하였답니다. 
 
정월 대보름 날을 신년으로 삼았던
오랜 역법의 잔존으로 보이며,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보건대
정월대보름의 풍속은 농경을 기본으로 하였던
고대 사회로부터 풍농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유래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정월대보름 놀이
정월대보름은 음력 1월 15일로서
일년 중 처음맞는 보름날이다 
 
이날은 일년 중 첫 보름이라 중시하며
그 해 농사의 풍년, 흉년과
그 해의 좋고 나쁨을 점쳤다. 
 
새벽에 귀밝이 술을 마시고
부럼을 깨물며 오곡밥과 약식을 먹는다. 
 
또한 쥐불놀이, 달맞이등
여러 민속 놀이를 한다. 

 
♡행복 선물 왔어요♡

똑 똑 똑!!!

행복한 시간이
도착했습니다

지금부터
마음껏 쓰시고

당신의 삶속에
행복이 넘쳐나세요

당신의 일생에
행복이 쏟아 지세요

행복의 선물을
너무 많이 받으신
분은.......

옆에 사람에게
나누어 주셔도
괜찮습니다

행복은
나눌수록
더 커지니까요

오늘 정월대보름 조금 추워지네요
오곡밥과 부럼 드시고
올 한해도 더위를 잘 비껴가고
무탈하게 해주십사 바람과 감사함도 더해봅니다.
어릴적 보름날을 맞이하는 밤엔
12시 안에 잠이 들면
눈썹이 하얘진다고 내려지는 눈꺼풀을 억지로 올리던 추억이 있고 쥐불놀이와 달이 뜨는 다리를 나이의 숫자만큼 돌던
추억도 있습니다
오늘은 보름달은 볼수 있으려나?
보름 맞이 잘 하시고
무탈한 하루 되세요.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먹빛하늘 목포 (곽재경) | 작성시간 23.02.05 감사합니다. 미투입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