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주의모니터링]한반도 유입되는 황사에 방사능 낙진 함유..

작성자별의정원|작성시간16.03.06|조회수336 목록 댓글 1
방사능시대 오래 함께하신 분들은 이 사실을 알고 계실 거에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한반도 유입되는 황사에 방사능 낙진 함유..
- 방사성세슘(Cs-137) 252 mBq/m2 까지 검출.
- 인접국 원자력활동 확장시 방사능 낙진 피해 현실화 우려
- 잠재적위험 대비한 대응 매뉴얼 점검 및 연구 활동 강화 필요

일본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인한 한반도 방사능 낙진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황사에 방사능 낙진이 함유 한반도에서 검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재일의원(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위원장, 민주당)이 원자력 안전 기술원에서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KINS(중앙측정소)가 ‘98.1~’10.12까지 월별로 채집 조사한 낙진 및 대기부유진의 방사능 농도(Cs-137)를 분석한 결과의 농도 범위는,
- 낙진: 불검출 ~ 252 mBq/m2-월
- 대기부유진: 불검출 ~ 9.87 μBq/m3 로 나타났다.

이는 식료품 반출 또는 소비 통제의 결정기준치 (물 200Bq/ℓ, 유아식품 100 Bq/kg)와 비교했을 때 극미량 이긴 하지만, 2050년까지 중국이 최대 750개의 원자로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안심하기에는 이르다.

이미 우리나라에 황사로 인해 농업과 첨단산업 등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볼 때, 핵실험, 원자력 발전소, 연구용원자로 이용 등에서 나타나는 중국등 인접국가의 원자력활동이 지금의 추세로 광범위하게 확장될 경우 방사능 낙진 등의 피해가 현실로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특히, 이번 일본원자력 발전소의 예에서 보듯이 주변국의 원자로가 통제불능 상황이 되었을 경우를 대비한 대응 매뉴얼 점검 및 연구 활동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지난 10년간 황사중 방사능 농도를 분석한 결과 3월중 발생하는 황사의 방사능 농도는 평달에 비해 2배가량 높게 나타나는 등 계절적 요인을 보이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과 황사 등 방사능 물질의 이동경로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조사를 체계적으로 해야 한다.

변의원은 “황사와 대기 중의 방사능농도와 직접적인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학술적으로 명확하게 규명된 것은 없을 정도로 연구가 되어 있지 않고, 핵 활동 생성물들이 모래먼지 등에 달라붙어서 운송될 것으로 추정하는 수준에 머물러있다”며 “일본 사태에서 교훈을 얻은 만큼 앞으로의 잠재된 위험에 대비해야한다”고 밝혔다.

http://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open1197news&logNo=220602342315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신비 | 작성시간 16.03.06 황사에 방사능까지ㅠ 숨 쉬는것도 힘든데
    앞으로 걱정스럽네요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