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엑스레이정보는 어디서 찾나요?

작성자uasld|작성시간16.04.23|조회수162 목록 댓글 2

흉부엑스레이에 대한 정보는 많은데,

대학병원이비인후과에서 많이 촬영하는 코 엑스레이에 대한 정보는 찾기가 어렵네요.

말이 코지, 머리전체를 촬영하는것과 다름없는데,

불안스럽게 보이는것은, 방사선감수성이 높은 눈 부위가 촬영부위에 포함되어 있는것입니다.

그리고 코 엑스레이는 무조건 3장입니다. 3방향에서 찍는것이죠.

1장도 꺼려할판에 3장이면 당연히 방사선량도 증가하는데,

피폭량이 흉부엑스레이보다 얼마나 많은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머리에 엑스레이를 3장 찍을때 예상되는 피해가 무엇인지?

눈에 방사선맞으면 백내장위험이 있다는데

어느정도 세기의 방사선일때 이런 위험들이 나타날지?

이에 대한 정보를 찾을길이 없네요..

보통 환경방사능을 논할때, 마이크로 시버트 단위로 말하는데

엑스레이는 미리 시버트 로 말하지요.

이렇게 단위에서도 1000배 차이가 나는데,

엑스레이 한장 찍는게 햇빛받는것과 같다는 말은, 이해가 안됩니다.

이건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엑스레이 몇장 찍는것이 정말 가볍게 넘겨도 될 일인지?

환경단체에서도 방사능이 위험하다는 말은 많은데

정작 사이트에 들어가보면 엑스레이에 대한 정보는 별로 없고요.

실생활과 밀접한 방사능정보가 엑스레이인데 어디서도 구체적인 정보를 찾아볼길이 없습니다.


방사선이 위험하다는 기사나 인터넷상 정보들은 많은데

막상 이렇게 구체적인 정보를 구하려하니 찾아볼길이 막막합니다.

자료를 어디서 구해야할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별의정원 | 작성시간 16.07.27 늦게 이 글을 봅니다. 죄송합니다.제가 환경예방의학과 교수님께 직접 들은 이야기로는 얼굴부위쪽은 피폭위험도가 더 높다고 들었어요. (치아파노라마포함)ㅡ엑스레이관련해서는 병원에서 어느정도 피폭되는지 안내문을 크게 걸어둔 걸 봤습니다. 구체적으로 피폭량을 써두었으나 글에 쓰신 것처럼 예상되는 피해..어느 세기의 방사선일때 이런 위험이 나타날지는 써있지 않습니다. 현재 아무리 작은 양이라도 저선량피폭은 위험하다는 이론과 미량의 방사능은 안전하다는 이론이 대립되고 있으니 저선량피폭을 입증할 만한 자료가 앞으로 많이 나와야겠지요. 제가 드리는 대답이 시원하지 않으실텐데
    김익중교수님이나 주영수교수님께 직접
  • 작성자별의정원 | 작성시간 16.07.27 문의해보시면 어떨지요? 원하시면 이메일주소 알려드리겠습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