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영지버섯으로 아토피, 건선 잡는다

작성자초익공|작성시간23.09.22|조회수40 목록 댓글 0

영지버섯으로 아토피, 건선 잡는다

 

현대의 불로초라고도 불리는 영지버섯은 중국, 일본 및 한국에서 오랜 기간 약용으로 사용돼왔습니다. 영지버섯에 함유된 기능 성분인 가노데릭산은 세포의 면역기능 증진에 탁월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버섯 생체의 딱딱한 질감 때문에 분말 또는 액상 형태로 섭취해왔는데, 장시간 건조 또는 고열(80°C 이상)에서의 추출에 의해 유효성분들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현대의 불로초 영지버섯.

출처AdobeStock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강릉분원 천연물연구소 스마트팜융합연구센터 김호연 박사팀이 영지버섯의 항염증, 항당뇨, 항산화 효과를 높이는 조건을 찾고, 피부 항염증 치료제로써 영지버섯의 새로운 시장성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KIST 연구진은 유효 성분의 파괴를 줄이고, 효능을 높이기 위해 영지버섯을 다양한 온도와 시간 조건으로 건조해 유효 성분을 추출했으며, 이를 통한 항염증, 항산화 및 항당뇨 효능에 대한 최적 조건을 찾았습니다. 그 결과 60°C에서 열풍건조된 영지버섯은 가노데릭산이 다량 추출돼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고, -50°C에서 동결건조된 영지버섯에서는 우수한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이 확인됐습니다. 

추출 조건에 따른 항당뇨, 항산화, 항염증 효과 극대화.

출처KIST

특히, 열풍건조된 영지버섯 추출물을 염증이 유발된 피부 각질세포에 실험한 결과, 피부 염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렇게 피부 항염증에 대한 탁월한 효과를 보인 추출 조건은 기존에 밝혀진 바가 없는 것으로 인정되어 특허 출원(특허 번호:10-2020-0041577)도 마친 상태입니다. 

영지버섯에 의한 피부 세포에서의 항염증 활성 매커니즘

출처KIST

이에 본 연구에서 확인한 건조 방법과 추출 방법이 영지버섯의 항산화·항당뇨 및 항염증 활성에 미치는 연구 결과는 추후 영지버섯의 가공품 개발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본 연구를 주도한 KIST 김호연 박사는 "건조, 추출방법에 따라 영지버섯의 효능이 다르므로 활용 목적에 따른 건조 방법을 적절히 선택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며 "이번 연구 결과가 영지버섯의 활용성을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추후 건선, 아토피 등 피부 염증성 질환 치료제 개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해당 연구는 <Food Chemistry>에 게재됐습니다. 

##참고자료##

  • Cho, Jwa Yeong, et al. "Optimization of antioxidant, anti-diabet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nd ganoderic acid content of differentially dried Ganoderma lucidum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Food Chemistry (2020): 127645. 

자료제공 : 이웃집과학자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