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오로지 휴식을 위해 만든 집 4

작성자초익공|작성시간23.08.07|조회수81 목록 댓글 0

오로지 휴식을 위해 만든 집 4

여기서 잠시 쉬어가세요

 

자연의 빛과 소리가 공간을 완성하고, 건물은 풍경의 일부가 되었다. 스페인, 이탈리아, 체코, 미국의 휴식과 명상을 위한 집 네 곳.

 

붉게 녹슨 내후성耐朽性 철제 골조, 유리 외벽, 벚나무 내부 마감재. 스페인 마드리드 근교 고급 주택지 라스로사스Las Rozas에 자리한 히든 파빌리온은 오직 세 가지 재료로만 지었다. 최소한의 재료를 활용해 현대적으로 설계한 이 집을 온전하게 완성하는 건 유리 건물을 둘러싼 무성한 초록 숲. 건축주는 실제로 거주하면서 자연 속에서 명상과 휴식을 즐기고 숙고할 수 있는 공간을 원했다. 2층 한쪽을 경사지게 만들어 2백 년 된 참나무의 가지가 충분히 뻗어나갈 수 있게 했으며, 주변 나무의 성장을 방해하지 않도록 캔틸레버cantilever 구조로 테라스를 허공으로 띄웠다. 사방을 유리로 마감했지만, 주변의 울울창창한 숲이 커튼 역할을 한다. 빛과 자연의 변화에 따라 언제나 새로운, 그야말로 숲과 함께 자라고 숨 쉬는 집이다.

 

이 아담한 트리 하우스가 자리한 브라차노Bracciano 호수는 로마시 경계에 위치한 호수로 고대 로마 시대부터 휴양지로 활용해온 지역. 조류와 버섯, 견과류 등 야생 식재료가 풍부한 미식의 명소이기도 하다. 건축주는 오랫동안 자신과 친구들이 명상과 휴식을 즐길 수 있는 트리 하우스를 꿈꿨다. 용도 그대로 명상 트리 하우스라고 정직하게 이름 붙인 이 공간은 구조 역시 간명하다. 테라스와 내실은 모두 정사각형, 하나의 계단을 통해 내실과 테라스에 모두 접근할 수 있다.

내실 아래 ‘ㅠ’자 모양으로 덧댄 나무 기둥이 대부분의 하중을 지지하고, 나머지는 밤나무에 철제 케이블을 연결해 해결했다. 골조와 테라스는 낙엽송으로, 내실 외벽은 타타주바tatajuba라는 단단한 브라질산 목재로 마감해 적갈색을 더했다. 여닫이 방식으로 열리는 내실의 창문은 공간을 외부 테라스로 확장하며, 천창을 통해 낮에는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 꼭대기를, 밤에는 별과 달을 감상할 수 있다. 한쪽 벽에 길게 설치한 벤치 공간 외에는 텅 비어 어떤 용도로든 사용할 수 있다.

 

체코 북서부 체스카리파Ceska Lipa시 근교의 소나무 숲을 마주한 자연 정원, 남쪽 끝 연못의 웃자란 풀로 가득한 모랫둑 위에 블랙 티 하우스Black Tea House가 자리한다. 가정집을 둘러싼 아름다운 풍경의 한쪽 끝자락에 자리한 조그만 공간에선 이름 그대로 홀로 차를 마시며 이곳을 찾아온 손님과 도란도란 이야기 나누거나, 주변 자연 풍경과 연못 속 물고기를 바라보며 명상에 잠길 수 있다. 불에 검게 그을린 낙엽송으로 외벽을 마감해 ‘블랙 티 하우스’라는 이름이 붙었다.

다실 천장이 독특 한데, 용설란의 일종인 사이잘잎에서 섬유를 뽑아 만든 밧줄을 원형으로 엮어 마치 털실로 짠 모자처럼 천장 내벽에 붙인 것. 빛이 들어오도록 천장 한가운데에 뚫은 구멍에서 밧줄이 내려와 바닥의 찻주전자를 연결한다. 다실 문을 닫으면 대청마루처럼 세 방향이 활짝 열린 공간으로 변한다. 이곳을 설계한 A1 건축사 사무소는 옥상에도 잔디를 깔아 어느 각도로 보아도 이 건물이 풍경의 일부가 되도록 배려했다.

 

마치 거꾸로 뒤집어 붙인 듯한 빅터 명상 오두막의 V자 지붕은 마주한 호수 쪽으로 경사가 져 빗물을 호수로 되돌려 보낸다. 근방에 자리한 일리노이 주립대 교육학과 교수인 건축주는 주변 경관을 바라보며 차를 즐길 수 있는 고즈넉한 다실을 원했다. 나무 계단을 따라 오두막 안으로 들어가면 입구 맞은편에 세로로 길게 낸 통창으로 주변 숲이 펼쳐지고, 다다미를 깐 다실에 앉으면 호수 쪽 벽 하단에 난 가로로 긴 창 을 통해 수면이 빛을 반사한다. 지붕을 통해 떨어지는 물방울을 바라볼 수도 있다.

건축주와 같은 학교에서 건축과 교수로 재직하는 건축가 제프리 S. 포스는 흰 벽과 다다미 바닥 외에 아무런 장식이 없지만 주변의 자연과 빛에 의해 시시각각 변하는, 고요하지만 생동감 넘치는 공간을 만들어냈다. 매일 밤 이곳에서 잠을 잘 정도로 흡족해하는 건축주는 이곳의 완벽한 비율과 내부로 스며드는 섬세한 자연광이 마치 그리스 신전 안에 있는 것 같다고 말한다.

 

────────────── 

디지털에디터 최선아

 정규영

디자이너 윤성민

출처 행복이가득한집

──────────────

 

자료제공 : 1집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