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ㆍ한열사 실록

한열사에서 한류의 정의를 정리하려고 합니다.

작성자천제지군|작성시간11.07.12|조회수2,463 목록 댓글 173

 

 

 오랜 고민이었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이제 한류의 정의를 새롭게 해야 할 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자유롭게 의견을 받겠습니다.

 

그리고 어느때, 우리는 한류열풍사랑의 이름으로 한류의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하는 단체가 될 것입니다.

 

 

1. 현지화 전략으로 현지 언어로  노래를 부르는 가수는 과연 한류스타인가?

 

2. 한민족 역사를 폄하 왜곡하는 내용이 있는 드라마 수출에 대한 의견

 

3. 일본계 자금으로 만들어지는 한류컨텐츠에 대한 의견

 

4. 일본 유통망을 통해 전파되는 아이돌 가수에 대한 의견

 

등등

 

자유롭게 의견을 올려주세요

 

2011.7.12 한열사 사무실에서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푸른루니 | 작성시간 11.08.11 1. 현지화 전략으로 현지 언어로 노래를 부르는 가수는 과연 한류스타인가?
    현지화란 그 나라의 가수처럼 활동하고 그 나라의 언어로 그 나라의 이름으로 불린다는 것인데, 이 경우 사람만 한국인일뿐 그 결과물은 그 나라의 것이기 때문에 한류라고 볼수 없습니다.
    2. 한민족 역사를 폄하 왜곡하는 내용이 있는 드라마 수출에 대한 의견
    우리 나라의 역사는 지금도 충분히 훼손되어 있고, 친일 역사학자들이 활동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런 드라마에 대해서는 수출 자체를 제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가수들 의상을 제재하고 노랫말을 제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역사 왜곡은 그보다 훨씬 중요합니다. 반드시 검열이 필요하다
  • 답댓글 작성자푸른루니 | 작성시간 11.08.11 고 생각합니다.
    3. 일본계 자금으로 만들어지는 한류컨텐츠에 대한 의견
    이제 한류 산업은 우리나라의 중요한 산업입니다. 무분별한 일본계 자금 유입은 국가적 차원에서 견제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일정 비율 이상은 투자하지 못하는 쿼터제 도입이 좋을 것 같습니다.
    4. 일본 유통망을 통해 전파되는 아이돌 가수에 대한 의견
    한류의 주체는 한국인이고, 그 수익도 기본적으로 한국인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는 해외 유통망에 있어서 턱없이 모자라기 때문에 일본 유통망에 의지하고, 결국 해외 수입은 엄청난 액수가 일본으로 흘러갑니다. 이런 것을 일러서 죽쒀서 개준다고 하죠. 재주는 곰이 넘고 돈은
  • 답댓글 작성자푸른루니 | 작성시간 11.08.11 주인이 번다. 라고 해도 무리가 없다고 봅니다.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하여 해외 유통망을 구축하고, 그 동안은 타국 유통망을 이용해 일본 의존도를 줄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작성자까치21 | 작성시간 11.09.20 1.일본어로 노래를 부르면 j-pop으로 분류가되는것이니 k-pop으로 볼수없고 스타일지는 몰라도 한류라는 명칭을 붙이면안될것입니다. 2.한국인으로서 역사가 왜곡된 드라마를 수출하는데 비판은 못할지언정 찬성을 어떻게할까요. 3번과 4번같은 경우도 반대합니다. 조금 더 솔직히 말씀드리면 자긍심문제도 있지만 자존심도 상합니다.상처받은 자존심은 치유되더라도 남아있기때문이죠.
  • 작성자初心 | 작성시간 14.02.13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