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스크랩] 일제강점기 독립운동하다 옥살이한 5323명 확인

작성자기라선|작성시간21.01.09|조회수52 목록 댓글 0

 

 

일제강점기 독립운동하다 옥살이한 5323명 확인

  • 유용원 군사전문기자
  • 입력 : 2019.01.18 03:01


    당시 수형인 명부 첫 전수조사
    국가유공자 미포상자 2487명, 3·1운동 100주년 맞아 포상 검토


    일제강점기 수형(受刑)인 명부

    일제강점기 때 수감된 수형자 명부 전수조사를 통해 독립운동가 5323명을 확인했다고 국가보훈처가 17일 밝혔다.

    국가보훈처는 "지난해 3월부터 11월까지 전국 시(군)·읍·면이 보존하고 있는 '일제강점기 수형(受刑)인 명부〈사진〉'에 대한 전수조사를 벌여 독립운동과 관련해 옥고를 치른 수형자 5323명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독립유공자 포상을 받지 않은 수형자는 2487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보훈처는 이들 '민초(民草)' 독립운동가들을 올해 3·1운동 100주년 유공자 포상 대상자로 적극 검토할 계획이다.

    일제강점기 당시 수형인 명부는 형을 받은 사람의 성명, 본적, 주소, 죄명, 재판 일자, 형명·형기, 처형도수(재범 여부) 등을 담고 있다.

    수형인 명부는 국가기록원에 이관되지 않고 아직도 수형인의 본적지에 있는 경우가 많아 오래전부터 전수조사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처음으로 이뤄진 전수조사를 통해 1919년 마을 또는 읍·면 단위 주민들이 최대 192명이 동시에 태형(笞刑) 처벌된 사례가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조사 결과 독립운동 관련 죄명의 수형자는 광주·전남 지역이 1985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대전·충남 1205명, 인천·경기 456명, 대구·경북 404명, 제주 214명, 부산·경남 198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자료 더보기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