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스크랩] 1909년 10월 26일 오전 9시 30분 탕탕탕 !!!

작성자기라선|작성시간21.03.22|조회수36 목록 댓글 0

 

 

"탕탕탕!!!"

 
1909년 10월 26일 오전 9시 30분,
 
만주 하얼빈 역에서 총성이 울렸다.
 
 
 
대한의군 참모 중장, 특파독립대장,
 
아령지구 군사장인 안중근 의사
 
이토 히로부미를 향하여 쏜 정의의 총성이었다.
 


 
<이토 히로부미가 죽기 직전에 촬영된 사진>
 
 
 
 
이토 히로부미는 일본의 근대화를 이룬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이고
 
 또 초대 내각 총리대신으로 임명된 인물이기도 하다.
 
 
이토 히로부미는 일본에서는 영웅이지만
 
대한민국의 측에서는 최대의 원수로 볼 수 밖에 없었다.

 
 
 

<안중근 의사가 사용한 7연?자동권총 외 동지들의 권총>
 
 
1905년 조선의 초대 통감부가 된 이토는
 
조선의 왕실을 모욕하였고 조선 지배 계획을 착실히 수행하였다.
 
이런 상황에 안중근 의사가 나서서 그를 처단한 것이다.

 
 
 

 
<1910년 2월 여순 법정에서 사형 선고를 받는 모습>
 
 
그는 러시아군에 의해 붙잡혀 일본으로 넘겨졌고 사형선고를 받았다.
 
그는 괴로운 감옥 생활 동안에도 동양평화론이란 책을 집필하였다.
 
또한 그의 곧은 의지는 그를 감시하던 일본인 간수마저
 
 그를 존경하게 만들 정도였다.


 
 
 

 
<만주 땅 여순에서 차디찬 아침 안개를 헤치며 형장으로 향하는 안중근 의사의 마지막 길...>
 
 
이런 안중근 의사의 의거에 당시 만주 철도 이사였던
 
 일본인 다나카 세이타로는 안중근의
 
인품과 사상에 감동을 받아서 이런 말을 남겼다. 
 
 
일본인으로서 이런 말을 하게 된 것은 가슴 아픈 일이지만,
 
 안중근은 내가 만난 사람들 중 가장 위대한 사람이었다.







 
 
 

 
<안중근 의사 순국 직후 유해를 감옥 묘지로 발인하는 장면>  
 
 
그러나 1910년 3월 26일 오전 10시 15분...
 
안중근 의사는 31세의 젊은 나이에 결국 순국하고 말았다...
 
 
 




 
<순국 직전의 안중근 의사>
 
 
대한민국의 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쳐 희생하셨던 안중근 의사...
 
그런데 여러분들은 아직도 안중근 의사의
 
유해도 찾지 못했다는 사실을 아시는지요?



 
 
 

 
<사형을 시켜서 높이 6~70cm도 안되는 이런 통 속에 시체를 구겨 넣는다> 
 
저 속에 안중근 의사의 통도 있을지…  
 
김일성이 살아 있을 때 안중근 의사의 시체를 찾기 위해
 
 이곳을 두번 방문 하였고,
 
또 많은 노력을 기울였지만,
 
결국 안중근 의사의 시체를 찾는데는
 
 실패 했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안중근 의사의 어록으로 제 글을 마칩니다..




 
 
 

<안중근 의사가 손가락을 자른 후 '대한국인'이라고 적은 문서>
 
 

爲國獻身軍人本分
나라를 위해 몸 바침은 군인의 본분이다.
 
見利思義見危授命 
위익을 보거든 정의를 생각하고
위태로움을 보거든 목숨을 바쳐라.

人無遠慮難成大業 
사람이 멀리 생각하지 못하면 큰일을 이루기 어렵다.

白日莫虛渡靑春不再來 
세월을 헛되이 보내지 말라.
청춘은 다시 오지 않는다.
 


 
 
 



<안중근 의사가 혈서로 쓴 대한독립 문서>
 
 
사형 집행인이 안중근 의사에게

"마지막 소원이 무엇입니까?"
 
라고 물었다.

사형 집행 전 사형수의 마지막 소원을
 
 들어주는 것이 관행이었기 때문이다.


그는 술을 마시게 해 달라거나

담배 한 대를 피우게 해 달라는 흔한 얘기를 하지 않았다.

"5분만 시간을 주십시오, 책을 다 읽지 못했습니다."


그는 5분 동안 읽고 있던 책의 마지막 부분을 다 읽고

그들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하고 세상을 떠났다.





 


자료 더보기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