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남의 허물을 말하지 마라.

작성자허굴산|작성시간23.08.25|조회수31 목록 댓글 0
법정 스님


모든 사람은 자신만의 아름다움은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남의 결점만 들추는 사람은 다른 사람이 지닌 미덕을 볼 수 없습니다. 그 사람의 미덕을 놓치게 됩니다. 봄날 꽃과 잎이 눈부시게 피어나고 만물이 소생하는 것은 훈훈한 봄기운 덕입니다. 가을날 잎이 지고 만물이 시드는 것은 차디찬 서리바람 때문입니다. 결점을 자꾸 들추는 사람의 시선에는 따뜻한 온기가 없습니다.


법구경에 이런 법문이 있습니다. “남의 허물을 보지 말라. 남이 했건 안했건 상관하지 말라. 다만 내가 했던 허물과 게으름만을 보라.” 여러분, 꼭 기억해두고 실천하십시오. 남의 허물이 눈에 띌 때는 그 시선을 돌려서 자기 자신을 주시할 수 있어야 합니다. “내게는 그런 허물과 결점이 없는가.”라고 말입니다.


한 제자가 스승에게 묻습니다. “어떻게 해야 참된 수행자가 될 수 있습니까?” 스승은 제자에게 “네가 진정으로 마음의 평안을 누리고 싶거든 언제 어디서나 ‘나는 누구인가’라고 스스로 물어라. 그리고 누구의 허물도 들추지 말라”고 답했습니다.


자기 자신을 들여다보면 밖으로 한눈 팔 일이 없습니다. 자기 자신을 주시하지 않기 때문에 사람은 한눈을 팔게 되는 겁니다. “과거를 묻지 마세요.”라는 말처럼 일단 지나간 일은 다시 들추지 마십시오. 그것은 아물려는 상처를 건드려 덧나게 하는 것과 같습니다.


지나간 일은 전생사(前生事)입니다. 우리가 지금까지 살면서 얼마나 많은 잘못을 저질렀겠습니까. 이것을 굳이 들추는 것은 타인을 불행하게 합니다. 자신도 업을 쌓게 됩니다. 업을 계속 들춰내면 남을 불행하기 이전에 자기 자신이 불행해집니다.


사막지대에서 수행하는 수도자들의 이야기를 들려드리겠습니다. 한 수행자가 선배인 원로에게 묻습니다. “내 이웃의 잘못을 저지르는 것을 봤을 때 지적하지 않고 덮어두는 것이 옳은 일입니까?” 이 때 원로는 “우리가 이웃의 잘못을 덮어주면 그 때마다 하느님은 우리 잘못을 덮어주시지. 반대로 우리가 이웃의 잘못을 폭로한다면 하느님께서는 우리 잘못도 폭로 하신다네”라고 말했습니다.


용서가 있는 곳에 신이 계십니다. 부처님이 계신다고 해도 좋고 누가 있다고 해도 좋습니다. 불보살이 날 지켜보고 있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우리가 이 세상을 사는 것은 ‘업의 놀음’입니다. 업이란 무엇입니까. 몸으로 행동하고 입으로 말하고 속으로 그와 같이 생각한 것이 업입니다. 업의 흐름은 한 생애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몸의 그림자 따라다니듯 따라다닙니다. 내가 이 세상을 하직할 때 내 영혼의 그림자처럼 나를 따르는 것은 내 삶의 자취, 찌꺼기인 업입니다.


우리가 신행활동을 하는 것은 업을 맑히는 과정입니다. 시작도 끝도 없는 육도윤회 속에서 사람은 업으로 인해 맺어진 것을 풀어야 합니다. 서로에게 맺힌 것을 풀어야 자유로워질 수 있습니다. 나 혼자 사는 세상이 아니라 관계 속에서 살고 있기 때문에 얽히게 되면 서로가 불편하게 됩니다. 우리는 언젠가 자기 차례가 오게 되면 이 세상을 떠납니다. 죽음이 찾아오면 모든 것을 놓아버리지만, 업은 놓아지지 않습니다. 다음 생까지 이어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살아있는 동안 반드시 업을 풀어야 합니다.


인생의 종점에서 용서 못할 일은 없습니다. 한 세상 ‘업의 놀음’에서 풀려나야 됩니다. 어머니는 자식을 기르면서 자식의 허물을 끝없이 용서하고 받아들입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 여성과 남성이 비로소 어머니, 아버지가 됩니다. 대지의 아버지, 어머니가 되는 것입니다.


용서는 내 입장이 아니라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것입니다. 용서는 상대방의 상처를 치유할 뿐만 아니라 마음의 빗장도 열게 합니다. 일단 마음의 문이 열리면 무엇이든 받아들이고 드나들 수 있습니다. 이런 용서를 통해 마음의 그릇이 커집니다. 이것이 사람이 꽃피는 소식이고 성숙해가는 소식입니다.


출처 : 불교신문 

저작자 표시컨텐츠변경비영리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