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인천교육청

육하원칙으로 알아보는 인천 5·3 민주항쟁

작성자인천시교육청|작성시간23.05.02|조회수55 목록 댓글 0

육하원칙으로 쉽게 알아보는

인천 5·3 민주 항쟁

여러분들은 인천 민주 항쟁에 대해 들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다가오는 5월 3일은 민주화 운동사의 중요한 사건인 인천 민주 항쟁 사건이 일어난 날입니다.

오늘은 6·10 민주 항쟁의 도화선이 된 인천 민주 항쟁에 대하여

육하원칙으로 쉽게 하나하나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인천 5·3 민주 항쟁은 언제 일어난 사건인가요?

인천 5·3 운동이라고 부르기도 하는 인천 민주 항쟁은

1986년 5월 3일에 일어난 우리나라 민주화 운동사에 있어 중요한 사건입니다.

약 36년 전 1985년은,

국민들이 대통령을 직접 뽑을 수 있는 권리를 빼앗긴 상황이었습니다.

대통령을 선출할 수 있는 당연한 권리를 되찾기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

1986년 5월 3일, 인천 민주 항쟁이 발생하였습니다.

인천 민주 항쟁은 어디에서 일어났나요?

지금의 시민공원역 일대인 인천시민회관 앞 광장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

국민으로서의 권리를 외치며 인천 5·3 운동이 일어났습니다.

그때 당시 인천은 수도권에 위치한데다가 공장 밀집 지역이었기에

많은 사람들의 지지를 받으며 공동 집회도 진행하였습니다.

 

시민공원역 인천2호선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경인로 371

인천 민주 항쟁에는 누가 참가했나요?

5·3 인천 결성대회에는 사회운동연합, 노동연합, 학생과 일반 시민 등

약 5만 명이 모여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습니다.

5월 3일에 무엇을 했나요?

국민으로서의 권리를 행사할 수 없었던 국민들은 대통령 선출이라는 기본권을 되찾기 위해

결성대회를 개최하며 서명운동을 진행하였습니다.

5월 3일 인천에서는 대통령 직선제·노동권의 보장·생존권의 보장을 외치는

우리나라 국민들의 민주 항쟁이 전개되었습니다.

인천 5·3 민주 항쟁은 어떻게 진행되었나요?

5월 3일 민주 항쟁이 전개되기 전, 결성 대회는 서울에서 먼저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부산, 광주, 대구, 대전 등 전국 각지에서도 민주화 운동이 이어졌고

인천에서도 5·3 결성 대회가 열리게 된 것입니다.

당시 군사 독재 정권은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단체를 수배·검거하였으며

이들에게 모진 고문과 압박을 가하였습니다.

군부 독재 정권의 무리한 탄압은 1987년 6월 항쟁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인천 5·3 민주 항쟁은 왜 일어난 것인가요?

군사 독재 정권에 대항한 가장 큰 민중 투쟁이자 이후 발생하는

1987년 6월 민주 항쟁의 불씨가 된 인천 5·3 운동은

국민이 대통령을 뽑을 권리와 노동권·생존권 보장을 위해

국민이 힘을 모아 국민의 권리를 외치며 발생한 민주화 운동입니다.

지금은 우리의 손으로 대통령을 뽑는 선거가 당연한 일처럼 여겨지지만,

불과 몇 십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투표할 수 있는 권리는 당연한 권리로 보장받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를 위해 국민의 권리를 되찾고자 인천 5·3 민주 항쟁이 일어난 것입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