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강의 8 불사음, 불망어, 불음주

작성자Hiroe Shimizu|작성시간17.12.02|조회수474 목록 댓글 5

강의 8 불사음, 불망어, 불음주


--- 1. 제3계 불사음 (不邪淫) ---

( 1 ) 삿된 음행이란?
삿된 음행이란 바람직하지 않는 음행, 즉 인간을 인간으로 대하지 않고 인간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대하는 것이다. 상대의 의사에 반한다면 어떤 사랑의 표현이나 성적 표현도 이에 속한다.
① 상대를 괴롭힌다
성폭행, 성추행, 성희롱 모두 해서는 안된다.
② 상대가 동의했어도 누군가를 괴롭힌다
미성년자, 아내가 있는 남자, 남편이 있는 여자와는 서로가 동의 하더라도 이들의 부모, 아내, 남편을 괴롭히는 일이 되기 때문에 해서는 안된다.

( 2 ) 인도 사회에서 여성의 출가 과정과 그 의미
부처님 당시 인도 사회에서는 여성이 사람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시스템과 관습이었기 때문에 남성들에 의한 여성들의 성추행 피해가 매우 심각했다. 그래서 나중에 비구니는 비구의 보호를 받았다.
이런 어려운 상황에서 벗어나야 부처가 될 수 있다. 출가를 한다는 것, 비구니가 된다는 것은 여성이 독립적인 존재로 인정을 받았고 모든 의지에서 벗어난다는 것이다. 내가 주인이 된다는 생각은 당시 사회에서 큰 의미를 지녔다. 이 계율은 약자인 여성에게 피해를 주지 말라는 측면도 있고 또 여성도 한 인간으로서 독립적인 인간이 되라는 측면도 있다.


--- 2 제4계 불망어 (不妄語) ---

( 1 ) 남을 괴롭히는 말
첫째, 거짓말 ( 망어 妄語 ) 을하지 알라.
둘째, 욕설 ( 악구 悪口 ) 을하지 말라.
셋째, 양설 ( 両舌 ) 을 하지 말라.
넷째, 기어 ( 欺語 ) 를하지 말라.

( 2 ) 거짓말로 인한 피해
한 사람이 거짓말을 하면 그 말이 여러 사람에게 전달하게 되고 점점 피해가 확산된다. 신문이나 방송을 통한 정보의 왜곡이 엄청난 피해를 주는 것과 같다. 사람은 사람에게 진실을 말해야 하고, 선생님이 아이들에게 진실을 가르쳐야 하고,언론과 방송은 진실을 보도해야 한다. 또 중교인들은 거짓말을 해서는 안된다.


--- 3. 제5계 불 음주 ( 不飲酒 ) ---

( 1 ) 취하지 말라
술이든, 담배든, 마약이든, 중독성 물질을 섭취하지 말라. 정신적 혼미, 육체적 혼미를 가져 오지 말라.
안 먹는 게 가장 좋지만, 먹더라도 음식 수준을 넘기면 안된다. 들뜬다든지, 말이 많아진다든지, 욕설이 나온다든지, 흥분된다면 차분한 마음을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 2 ) 우리의 정신을 흐리게 하는 것들
정신을 흐리게하는 것들은 이런 물질만이 아니다. 사치와 노름 등 향락적인 문화나 정신적 중독이 더 무섭다. 이는 말초 신경을 건드려서 그것을 반복하게 만든다. 건전한 문화, 주체적인 삶을 해치게 만든다.


--- 4. 오계의 현실적 적용 ---

( 1계 ) 불살생은 생명 존중 사상
첫째, 함부로 살생하지 않고 생명을 귀중히 여기겠으며,
둘째, 폭력이나 살인, 고문, 사형을 반대하며 인권을 존중하겠으며,
셋째, 전쟁과 핵무기를 반대하여 평화를 옹호하겠으며,
넷째, 각종 공해를 추방하여 자연을 보호하겠습니다.

( 2계 ) 불투도는 성실한 생활
첫째, 함부로 남의 물건을 훔치지 않고 타인의 재물을 귀중히 여기겠으며,
둘째, 근검 절약함으로써 재화를 소중히 여기겠으며,
셋째, 매춘이나 마약 판매, 도박 등 부정한 직업을 갖지 않고 정당한 노동에 의해 생활하겠으며,
넷째, 남녀, 인종, 직업, 학벌 등에 따라 임금을 차별하지 않고 분배를 실현하겠습니다.

사치와 낭비는 세상의 재화를 낭비하는 것이다. 낭비는 누군가가 써야 할 것을 빼앗아서 쓰는 것이다. 자연 자원의 낭비는 미래 세대가 씨야 활 것을 빼앗아서 써 버리는 것이다. 우리는 필요한 최소한도의 생활을 해야 한다.
돈과 재물이 있음에도 가난하게 사는 곳을 깨끗한 가난, 청빈이라고 한다. 우리는 자발적으로 청빈하게 살아야 하고 아낀 것으로 가난한 사람에게 나누어야 한다. 이곳이 보시이다.

( 3계 ) 불사음은 청정한 삶
첫째, 부부간에 신의를 지킴으로써 가정을 화목하게 하겠으며,
둘째, 미인 대회, 상품 선전 등으로 인간을 상품화하지 않겠으며,
셋째, 인간을 성적 쾌락의 도구로, 노동의 도구로, 전쟁의 도구로 사용하지 않고 인격으로 대 하겠으며,
넷째, 여성의 지위를 향상시킴으로써 남녀 평등을 실현하겠습니다.

( 4계 ) 불망어는 진실을 말하는 것
첫째, 함부로 거짓말과 욕설을하지 않고 진실하고 자비롭게 말하겠으며,
둘째, 약속한 것은 꼭 지킴으로써 신뢰를 돈독히 하겠으며,
셋째, 직업적 양심을 지킴으로써 공익우선의 사회를 건설하겠으며,
넷째, 정보의 독점과 왜곡을 반대하며 공정한 보도를 위해 언론의 자유를 옹호하겠습니다.

( 5계 ) 불음주는 맑은 소견을 갖는 것
첫째, 술에 취하지 아니하며, 바르고 안정된 소견을 가지겠으며,
둘째, 스포츠의 직업화를 거부하고 스스로 심신을 단련하겠으며,
셋째, 마약 등 중독성 물질에 취하지 않아 내 인생을 나 밖의 그 어떤 것에도 내맡기지 않겠으며,
넷째, 향락적이고 소비적인 문화를 추방하고, 주체적이고 창조적인 문화를 꽃피우겠습니다.


--- 5. 오계의 중요성 ---

( 1 ) 오계는 윤리 도덕을 넘어서는 것
오계를 지키면 누구나 안심하고 평화롭게 살 수 있다.

( 2 ) 계율보다 더 높은 가치를 추구하는 개차법 ( 開遮法 )
계율은 절대시하면 인간을 해치게 된다. 계는 열기도 하고 닫기도 해야 한다. 이를 개차법이라고한다. 개자법은 네 가지가 있다.
① 계율을 지킴으로써 계율을 지키게 되는 것,
② 계율을 지킴으로써 계율을 파하게 되는 것,
③ 계율을 파함으로써 계율을 지키게 되는 것,
④ 계율을 파함으로써 계율을 파하게 되는 것

계율을 지키는 것이 본분이지만 어떤 때는 계율을 파해가면서도 더 높은 가치를 추구한다. 이 것이 보살이고 대승불교이다. 불교는 윤리 도덕적 가치를 철저하게 지키지만 윤리도덕적 가치에 얽매이지는 않는다.

3) 계율의 주체적 수용
계율에서 '계'는 좀더 근본적인 곳을 말한다. '계'란 우리가 지녀야 할 마땅한 길이고 '율'은 규범적인 요소이다.
이것은 가장 기본적인 가치관이고 우리가 더욱 정진하려면 다음의 세 가지를 지켜야 한다.
첫째, 사치해서는 안된다. 검소하게 살아야 한다
둘째, 겸손해야 된다. 높은 자리에 앉으려고하면 안된다.
셋째, 가무에 빠져서는 안 된다. 마음에 늘 평정을 유지 해야지, 홍분하고 들떠서는 안 된다.

계율은 우리의 삶을 더 풍요롭고, 질서 있고, 이익 되게 하기 위해서 존재한다. 계율을 지키는 것은 해탈로 가는 지름길이다.
수행자는 계율을 청정히 지켜야 된다. 불법승 삼보에 귀의하고 계정혜 삼학을 닦아야 한다. 계정 혜 중에 첫 번째가 계, 계율이다.

***
스님의 말씀을 듣고 머리로 이해할 수 있더라도 실천하는 어려움을 실감하고 있습니다. 매일 읽는 것으로 이 가르침을 잊지 않고 습관이 되도록 수행하겠습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우동찬 | 작성시간 17.12.02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작성자해은 | 작성시간 17.12.02 시미즈님 존경합니다.
  • 작성자차유인 | 작성시간 17.12.03 저도 정말 감동입니다
    감사합니다
  • 작성자성기옥 | 작성시간 17.12.04 고맙습니다
  • 작성자홍순임 | 작성시간 17.12.17 잘봤습니다.
    감동입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