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헌법 책 추천 소개

만국공법

작성자김재학(교육정의)|작성시간16.01.26|조회수236 목록 댓글 0

이 책은 19세기 만국공법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한반도에 전파, 인식되는 과정을 추적하고 있다. 19세기 중엽, 조선은 사대 질서에서는 상상할 수 없었던 이질 문명권과의 관계를 만국공법이라는 개념으로 규율해야 한다는 현실에 직면하였다. 새로운 사회 현상들이 전파되면서 향후의 충돌과 투쟁을 예감케 한 당시의 현실은, 1991년 이른바 탈냉전의 시기까지 세계정치의 변경이라는 큰 틀 속에서 변함이 없었다. 바로 여기에 19세기의 만국공법 문제를 추적하는 학문적 이유가 있다. [머리말]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저자소개

김용구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외교학과 졸업하였으며,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교수,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한국국제정치학 회장, 외교·행정고시전형위원 역임했다. 현재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원장 겸 특임교수, 서울대학교 국제정치학 명예교수, 대한민국학술원 회원이다.
주요 저서 및 역서로는 『루소의 전쟁과 평화』(편역, 1972), 『소련국제법이론연구』(1979), 『중·소 국제법이론 및 러시아-소련의 한국외교사연구: 문헌목록』(1979), 『러시아 국제법사』(역서, 1982), 『러시아 국제법』(1994), 『한일외교미간극비사료총서』 50책(편, 1995~1996), 『러시아 국제법학의 전통』(1996), 『한국 외교사 연구』(공편, 1996), 『세계관 충돌의 국제정치학』(1997), 『세계관 충돌과 한국 외교사 1866~1882』(2001), 『장 자크 루소와 국제정치』(2001), 『외교사란 무엇인가』(2002), 『임오군란 갑신정변: 사대질서의 변형과 한국 외교사』(2004), 『세계외교사』(2006), The Five YearsCrisis 1866~1871: Korea in the Maelstrom of Western Imperialism(2002), Korea and Japan: The Clash of Worldviews, 1868~1876(2006) 등이 있다.

[예스24 제공]

목차

「한국개념사총사」 발간사
저자의 말
서론 
Part 1 사대와 공법 
1. 사대 질서
특징│사대자소│조공│행위자의 불평등│내번과 외번│인신무외교│야만│천하 
2. 공법 질서
특징│유스 겐티움-비토리아, 스와레즈, 그로티우스│유스 겐티움과 기독교 세계│새로운 국제 현상과 신조어│실정법주의│유럽중심주의│팽창주의 
Part 2 번역과 충돌 
3. 「만국공법」
린쩌쉬와 마텔│마틴과 휘튼│마틴과 중국 조정│「만국공법」과 비스마르크│「만국공법」초판본│마틴 번역의 문제점│마틴과 고대 중국 국제법 
4. 마틴과 서양 공법
「성초지장」│「공법편람」│「공법회통」│「공법신편」 
Part 3 조선과 만국공법 
5. 사대교린 질서와 공법 질서의 충돌
강화도 조약│「만국공법」의 전래│이동인│「조선책략」│「이언」 
6. 만국공법 비판론
김기수│이유원│서양 개념 저항 운동 
7. 파행적 공법 질서와 저항
교지│지석영과 변옥│초기 개화파와 열강│갑신정변│거문도 사건 
8. 서양 공법 연구와 수용
「한성순보」│유길준│박영효│을미사변│칭제건원│조약론│공법의 허와 실 
결론 
문헌목록
찾아보기

[예스24 제공]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