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문대학 학생선발기준 분석-아이비리그 등

작성자소마|작성시간09.01.02|조회수70 목록 댓글 0

명문대학일수록 학생을 평가할 때 많은 사항들을 보고 판단하는데 학점은 빙산의 일각이라고 할 수 있다. 입학사정관들이 첫 번째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학생이 고등학교 4년 동안 택한 과목이다. 아무리 학점이 좋아도 어려운 과목을 피하고 쉬운 과목을 많이 이수한 학생은 일단 명문대에 합격하기가 어렵다. 특히 아이비 리그급 수준의 대학들은 학생이 자신의 학교에서 택할 수 있는 최대한 어려운 과목들을 선택한 경우에만 합격의 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쉬운 과목들로 전과목 A를 받은 학생은 최고 명문대 진학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명문대학은 어떤 기준으로 학생을 뽑는지 알아보자. 원하는 대학에 입학을 희망한다면 그 대학이 원하는 사항들을 정확하게 알고 준비해야 한다. 그들이 중요시하는 사항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선택과목의 어려운 정도 (Rigor of school record)
2. 고등학교 학점 (GPA) 및 학교 석차
3. 시험점수 (SAT I, SAT II, ACT, AP점수 등)
4. 교내외 활동 (Extracurricular activities), 리더십
5. 대입 에세이
6. 추천서
7. 활동 에세이 추천서등에서 나타나는 성격 및 품성
8. 특별한 재능

아이비리그 등 주요 명문대학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사항들을 3회에 걸쳐 (a)매우 중요한 사항, (b)중요한 사항, (c)고려하는 사항, (d)고려하지 않는 사항 등 네 가지로 분류해서 분석해 본다.

1. 예일
(a)매우 중요한 사항: 과목 선택, 석차, 학점, SAT 등 시험성적, 에세이, 교내외 활동, 성격 및 품성, 추천서, 특별한 재능
(b)중요한 사항: 무
(c)고려하는 사항: 인터뷰, 사는 지역, 해당 주에 사는지 여부, 인종, 봉사활동, 일한 경험
(d)고려하지 않는 사항: 무


 

2. 프린스턴
(a)매우 중요한 사항: 과목 선택, 석차, 학점, SAT 등 시험성적, 에세이, 교내외 활동, 성격 및 품성, 추천서, 특별한 재능
(b)중요한 사항: 봉사활동, 일한 경험
(c)고려하는 사항: 인터뷰, 인종
(d)고려하지 않는 사항: 해당주에 사는지 여부


3. 스탠포드
(a)매우 중요한 사항: 과목 선택, 석차, 학점, SAT 등 시험성적, 에세이, 교내외 활동, 성격 및 품성, 추천서, 특별한 재능
(b)중요한 사항: 무
(c)고려하는 사항: 사는 지역, 봉사활동, 일한 경험, 인종,
(d)고려하지 않는 사항: 인터뷰, 해당주에 사는지 여부

※예일, 프린스턴, 스탠포드대 분석: 프린스턴, 예일, 스탠포드대는 하버드대와 더불어 미 최고 대학 사인방으로 꼽힌다. 이 대학들은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항이 사실상 같으며 학생을 뽑는 기준이 가장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매우 중요한 사항들을 보면 학과목 선택부터 학점, SAT성적, 에세이, 교내외 활동 등 모든 사항들을 거의 완벽에 가깝게 해야 한다는 특징이 있다. 약간의 다른 점이 있다면 프린스턴대학의 경우 봉사활동이나 일한 경험을 중요한 요소로 꼽는데 비해 스탠포드대나 예일대는 그렇지 않다. 스탠포드대는 타 명문 사립대와 달리 인터뷰를 하지 않는다.


 

4. 다트머스
(a) 매우 중요한 사항: 과목 선택, 석차, 학점, SAT 등 시험성적, 에세이, 교내외 활동, 추천서, 성격 및 품성
(b) 중요한 사항: 특별한 재능, 봉사활동
(c) 고려하는 사항: 인터뷰, 인종, 사는 지역
(d) 고려하지 않는 사항: 일한 경험, 해당 주에 사는지 여부

▲분석: 다트머스 대학의 특징은 봉사활동을 다른 아이비리그 대학들보다 중요하게 여긴다는 점과 일한 경험을 입시에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5. 코넬
(a) 매우 중요한 사항: 과목 선택, 학점, SAT 등 시험성적, 에세이, 교내외 활동, 추천서, 특별한 재능
(b) 중요한 사항: 석차
(c) 고려하는 사항: 인터뷰, 성격 및 품성, 봉사활동, 일한 경험, 인종, 사는 지역, 해당 주에 사는지 여부
(d) 고려하지 않는 사항: 무

▲분석: 코넬대가 타 아이비리그 대학과 다른 점이 있다면 대부분의 아이비리그 대학이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학생의 성격 및 품성 부분을 그다지 중요한 요소로 보지 않는다는 점이다.

6. 브라운
(a) 매우 중요한 사항: 과목 선택, 특별한 재능, 성격 및 품성
(b) 중요한 사항: 석차, 학점, SAT 등 시험성적, 에세이, 교내외 활동, 추천서,
(c) 고려하는 사항: 인터뷰, 봉사활동, 일한 경험, 인종, 사는 지역, 해당 주에 사는지 여부
(d) 고려하지 않는 사항: 무

▲분석: 브라운대는 아이비리그 대학중 학생을 뽑는데 중요성을 두는 부분이 다르다 할 수 있다. 타 아이비리그대학들이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여러 요소들, 특히 학점 SAT 점수 에세이 교내외 활동 등이 둘째로 중요한 것이 특징이다.

7. MIT
(a) 매우 중요한 사항: 성격 및 품성
(b) 중요한 사항: 과목 선택, 특별한 재능, 석차, 학점, SAT 등 시험성적, 교내외 활동, 추천서, 인터뷰
(c) 고려하는 사항: 에세이, 봉사활동, 일한 경험, 인종, 사는 지역
(d) 고려하지 않는 사항: 해당 주에 사는지 여부

▲분석: MIT는 다른 대학과 학생을 뽑는 기준이 가장 다른 대학으로 손꼽힌다. 다른 대학과 다른 특이한 사항이라면 MIT는 입학사정관 뿐만 아니라 교수 및 대학생들 그리고 대학행정을 맡고 있는 사람들까지도 학생들을 뽑는데 직접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선출 방식은 인재가 인재를 알아볼 수 있다는 믿음과도 곧 직결된다.

MIT의 경우 성격 및 품성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꼽는다. MIT에서 높게 평가하는 학생의 재질들이 있는데 그것은 학생이 얼마나 자발적이고 선천적으로 호기심이 많으며 시작한 일을 끝낼 수 있는 끈기가 있나하는 점이다. 이런 학생들은 누가 시켜서가 아니라 자신의 만족감을 충족하기 위해서 학습하기 때문에 성공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MIT의 주장이다.

다른 대학의 경우 인터뷰가 그리 중요한 요소가 되지 않으나 MIT의 경우 인터뷰를 중요시 하는 점도 특이하다 할 수 있다. 인터뷰를 받은 학생이 받지 않은 학생보다 합격률이 2.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난 MIT의 통계를 보면 인터뷰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성격 및 품성을 가장 중요시하는 점과도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할 수 있다.

타 명문대학이 에세이에 큰 비중을 두는데 비해 MIT는 에세이가 차지하는 비중이 적은 것도 하나의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정석
<하버드대 물리학 박사>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